-
<닥터 진>, 이게 어디 조선의 얘기인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6. 11. 10:20728x90
먹먹한 <닥터 진>, 막막한 현실에서 나온다
<닥터 진>은 허구다. 이 사극의 핵심 장치인 타임 리프(시간을 뛰어넘는 것)가 그걸 말해준다. 그러니 조선시대에 괴질(콜레라)로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수액을 주사하기 위해 링거(?)가 등장한다거나 천재적인 신경외과의 진혁(송승헌)이 끌과 정으로 뇌수술을 하고, 인공호흡으로 사람을 살리는 그런 장면들에 리얼리티를 운운한다는 것 자체가 넌센스다. 중요한 것은 이 이야기가 뭘 말하려고 하는가 하는 점이다. <닥터 진>이 이 조선시대까지 날아가서 하려는 이야기는 조선에 있지 않다. 바로 현재 우리들이 살아가는 현실에 있다.
'닥터 진'(사진출처:MBC)
'이 여인은 말에 치였던 그 때 아들을 구하고 죽었어야 하는 운명이었는지도 모른다. 내가 아무리 발버둥 쳐도 역사는 한번 정해지면 결코 변하지 않고 흘러가는 것일까. 하지만 저 사람들에게 역사니 운명이니 그런 거창한 말은 아무 의미도 없다. 그저 살아남아야 하는 사람들을 모른 척 할 수 없다. 핑계를 댈 수도 없다. 나는 이 아픔을 치료해야 한다. 그것이 내 운명이다.'
진혁의 이 내레이션은 이 드라마가 가진 생각을 잘 말해준다. 도성에서도 밀려나와 토막이라는 빈민촌에서 그저 죽지 못해 살아가는 가난한 이들. 진혁의 말처럼 이들에게 역사니 운명이니 하는 거창한 말들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더 중요한 것은 생존해야 한다는 것. 드라마가 굳이 조선까지 가서 그렇게 누군가의 손길 한 번 제대로 받지 못하고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을 가난한 이들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미는 것은 이 판타지가 주는 감흥이 현재의 현실에도 그만한 울림을 주기 때문이다.
죽음보다 사는 게 더 두려운 토막촌 사람들, 저들끼리는 호의호식하면서 가난과 질병에 시달리는 가난한 이들을 보살펴주기는커녕 격리하고 급기야는 마을 전체를 불질러버리는 권력자들. 이 가난한 자는 더 가난해지고 권력자들은 더 권력을 누리는 이야기적 정황은 작금의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청춘들은 성장의 사다리가 끊겨버린 현실에 절망하고(이 드라마의 김경탁(김재중)이란 서출을 떠올리게 한다), 현실에서 밀려난 우리네 가장들은 차라리 죽는 게 나을 성 싶은 고통스런 삶 속에 내몰려 있다. 그럼에도 정치인들은 저들 살 궁리만 한다. 민생은 없고 권력욕만 있다.
이 드라마 속 진혁이란 인물은 그래서 이 암흑의 현실 속으로 뛰어 들어온 메시아 같은 판타지다. '상것들'이라 천대받으며 아무도 들여다보지 않는 벌레 같은 삶에 뛰어든 이 진혁이란 인물은 제 온 몸을 던져 그들을 살려내려 한다. 그러다 정작 자신이 괴질에 걸려 쓰러지자 그는 그들이 느낀 고통과 두려움을 실감한다. '이런 것이었어. 이것이 바로 콜레라였어. 그들이 느꼈던 고통, 두려움이 몸 안으로 들어온다. 무섭다. 미치도록 무섭다. 이렇게 죽고 싶지 않아..' 이런 공감은 진혁이 얼마나 인간적인 메시아인가를 드러낸다.
이 강한 현실에 대한 판타지는 이 드라마의 떨어지는 리얼리티를 상쇄하고도 남는다. 본래 판타지란 현실에 부재한 것을 꿈꾸는 것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가. 가진 자들이 호의호식하면서 말 한 마디로 서민들을 죽음으로 내몰 때, 그들을 돌보는 것은 가진 자들이 아니라 오히려 천대받는 낮은 자들이다. 토막에 쌀가마니를 챙겨오는 기생들이나, 많은 약재들을 남모르게 갖다 놓는 홍영휘(진이한) 같은 혁명가들, 안동김씨의 세도정치로부터 밀려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한량처럼 살아가는 이하응(이범수) 그리고 몰락한 양반집 규수로 아버지를 잃고 어렵게 살아가는 홍영래(박민영) 같은 이들이 그들이다. 그들은 이 희망 없는 현실에 작은 촛불을 든다.
"민심은 보살피는 것이 아니라 다스리는 것이다"라며 토막을 불태우라 명령하는 김병희(김응수)와, 다 타버린 집들을 내려다보며 "집들이 불타고 사람이 죽어나가는데도 저 안(도성. 한양)에서는 아무 것도 뵈지도 들리지도 않는가 보이."하고 한탄하는 이하응의 대조적인 모습은 그래서 우리네 현실에도 울림이 적지 않다. 이것이 어디 조선시대의 이야기인가.
진혁이라는 가상의 판타지적인 인물이 조선까지 날아가 링거에 주사까지 만들어 서민들을 살리는 이 황당한 이야기가 왜 먹먹하게 느껴질까. 그것은 이 정도로 황당한 판타지를 꿈꾸게 하는 현실의 막막함 때문은 아닐까. 진심으로 사람을 살리기 위해 온 몸을 던지는 진혁 같은 메시아가 나타나기를 기대하는 마음. 정녕 판타지에 그치고야마는 그런 현실을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는 얘기일까. <닥터 진>이 주는 먹먹함의 실체는 그래서 이런 막막한 현실을 전제하고 있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시탈>이 민족주의를 넘는 방법 (0) 2012.06.15 <추적자>에는 <아저씨>도 <마더>도 있다 (0) 2012.06.12 '무신'과 '닥터 진', 사극의 극과 극 (1) 2012.06.10 <유령>의 질문, 설마 악플했다고 살인을? (0) 2012.06.08 <추적자>, 드라마가 드라마가 아니야 (4) 2012.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