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진요 스캔들이 보여준 우리 사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2. 7. 10. 08:31728x90
왜 그들은 희생양을 찾았을까
타진요(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합니다) 스캔들. 이것은 마치 사이비 종교를 닮았다. 20세기 말 휴거가 일어날 것이라는 예언에도 불구하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던 그 때의 사건 말이다. 당시 그들은 모두 자신의 믿음이 잘못됐다고 여기며 집으로 돌아갔을까. 아니다. 뇌리에 각인되어버린 믿음이란 그렇게 쉽사리 지울 수 없는 일(고통이 따른다)이기에 그들은 또 다른 믿음을 스스로 만들기 마련이었다. 타진요 공판에서 법정이 증거와 사실정황을 들어 그들에게 유죄선고를 내릴 때조차 몇몇은 끝까지 그것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타블로'(사진출처:MBC)
물론 사법적 판결은 이들의 유죄선고로 일단락됐지만, 그렇다고 이 사건의 불씨가 모두 꺼진 것으로 보긴 어렵다. 무엇보다 타진요 문제를 일으킨 장본인인, 이른바 왓비컴즈(whatbecomes)로 알려진 김모(58)씨가 여전히 아무런 제재 없이 활동하고 있다. 많은 이들은 왓비컴즈가 일으킨 사건에 애꿎은 동조자들만 처벌되었다고 말한다. 사이비 종교로 치면 믿음에 속은 이들만 처벌되고 교주는 여전히 활동 중인 셈이다. 당사자인 왓비컴즈가 소재파악이 되지 않아 기소 중지되었다는 사실은 대중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하지만 누가 처벌되고 사법적 판결이 어떻게 나왔는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왜 이런 사건이 터졌는가를 제대로 이해하는 점이다. 타진요 스캔들의 핵심은 단지 몇몇 스토커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전면에 나선 이들이 있었고 그들이 사법적으로 유죄판결을 받았지만, 그들의 이야기에 휘둘린 사회도 일정 부분 의도치 않은 가해자가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다시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왜 그들이 한 사람의 학력사실에 그토록 의혹을 제기했는가와 대다수 대중들이 그 의혹에 흔들렸던가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타진요 스캔들은 몇 가지 심리학적인 실험들을 떠올리게 한다. 그 첫 번째는 솔로몬 애쉬가 했던 이른바 ‘동조현상’에 대한 실험이다. A와 같은 길이의 선을 찾는 문제에서 그 답이 명백히 B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의도적으로 C를 선택하자 따라서 C를 선택하는 행위. 이 실험 결과 무려 37%의 학생이 B가 답임을 알면서도 C를 선택했다고 한다. 집단의 압력에 의해 설사 답이 확실하다고 해도 다수 의견을 따라가는 심리. 집단과 다른 의견을 이야기하면 소외되고 평판이 나빠질 것으로 두려워하는 심리가 동조현상이다.
타진요 카페를 통해 김모씨가 미국 명문 스탠퍼드대를 졸업했다는 타블로의 주장이 거짓이라고 의혹이 제기된 이후, 언론에 공개되면서 많은 대중들이 그 주장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에는 사건 이면에 숨겨진 대중정서가 작용했다. 우리 사회에 깊이 드리워져 있던 뿌리 깊은 학력과 스펙사회에 대한 대중적인 분노가 그것이다. 이미 교육조차도 돈과 태생에 의해 좌우되는 사회에서 학력이란 이른바 고위층들이 시스템을 저들 마음대로 운용할 수 있는 기반인 셈이다. 여기에 병역과 국적문제가 겹쳐지면 대중정서는 폭발하고 만다.
어찌 보면 이 사회적인 분노가 타블로라는 개인을 엉뚱한 희생양으로 삼았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일단 사회정의 차원의 ‘믿음’이 되어버린 타블로의 학력문제는 사실이 드러남에도 불구하고 끝없이 부인되었다. 이것은 심리학적으로 전형적인 ‘인지부조화’의 사례다. ‘인지부조화’는 위에서 말한 사이비 종교의 사례가 대표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 감정, 행동이 불일치하게 될 때 일종의 스트레스를 갖게 되는 상태로, 사람들은 그것을 없애기 위해 사고와 신념을 바꾸는 식으로 ‘자기합리화’를 시도한다고 한다. 물론 ‘인지부조화’는 때론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 보호막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위험한 폭력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타진요 스캔들에서 발견하게 되는 동조현상이나 인지부조화는 지금 우리 사회가 어떤 위험에 처해 있는가를 잘 말해준다. 동조현상은 그만큼 우리 사회가 강박적으로 갖고 있는 개인의 자존감 부재나 혹은 집단에서 배제되는 것에 대해 갖게 되는 두려움을 보여준다. 그리고 인지부조화는 이렇게 강박적으로 소속된 집단이 공격성을 띄게 되었을 때 사실과 상관없이 신념을 합리화해버리는 위험에 도달한 우리 사회의 단면을 드러낸다. 크게는 황우석 사건에서부터 작게는 심형래 사건에 이르기까지 그 기저에는 이러한 집단적인 심리가 깔려 있다.
무엇보다 타진요 스캔들이 위험한 것은 그것이 단순한 광신의 차원에 머문 것이 아니라, 그 광신이 한 개인에 대한 공격성으로 이어졌다는 점이다. 거의 모든 사적인 이야기들이 공개적으로 끄집어내지고 때로는 날조되기도 하는 이 폭력은 동조현상과 인지부조화와 맞물리면서 더 큰 사회적인 폭력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심지어 가해자들조차 스스로 무엇을 가해했는지 알지 못하게 만든다.
실제로 재판 선고 마지막 변론에서 타진요 측 일부 피고인들이 한 이야기는 이 스캔들 밑에 깔려진 심리를 드러낸다. "학벌주의 사회에서 타블로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느꼈다. 그가 제시한 학위를 믿을 수 없었기에 더욱 분노가 치밀었다." "대한민국에서 언제부터인가 학력세탁이 성행하고 있다. 학력을 갖고 장난치는 무수한 사람들이 단죄 받을 필요가 있다. 이것이 국익이지만 아무도 나서지 않기에 우리가 대신하게 됐다." 전형적인 자기합리화의 발언들이다. 자신들은 무죄이고 나아가 애국자라는 얘기다.
물론 분노는 이해되는 부분이다. 아마도 직접적으로 이 스캔들에 가담하지 않은 일반 대중들 역시 학력사회가 주는 분노에는 모두 동조할 것이다. 하지만 그 분노가 적절하지 않은 방향으로 한 희생양을 강요하게 된 것은 우리가 분명히 인식해야 할 지점이다. 앞으로 제2의 타진요 스캔들이 터지지 않기 위해서는.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예인들의 음주운전, 왜 그렇게 많은가 (0) 2012.07.27 연예인 쇼핑몰 사건, 왜 문제일까 (0) 2012.07.13 '각시탈' 논란, 한류의 현주소 (4) 2012.05.28 투표의 시대, 투표는 하셨는지요 (1) 2012.04.11 JYJ 음성파일에 빠져있는 것 (1) 2012.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