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글'에서는 행복하면 안돼?옛글들/명랑TV 2013. 3. 3. 11:08728x90
<정글>의 초심은 다큐가 아니라 예능이다.
<정글의 법칙(이하 정법)> 뉴질랜드편의 짧은 예고 속에서는 이번 논란의 시발이 되었던 박보영이 “언니 나 이거 안하면 안돼?”라고 하는 말이 짧게 삽입되었다. 아마도 뉴질랜드라는 우리들이 생각하기에 멋진 풍광의 지상낙원에서 뜻밖의 상황을 맞이한 그들이 겪게 되는 고생담이 이어질 것이란 예고다. 부제도 ‘뜻밖의 여정’이다. 뉴질랜드를 배경으로 피터 잭슨 감독이 찍은 <호핏 : 뜻밖의 여정>에서 따온 부제겠지만, <정법>이 뉴질랜드에서 맞닥뜨린 뜻밖의 상황을 말하는 제목이기도 할 것이다.
'정글의 법칙'(사진출처:SBS)
어딜 가든 여전히 힘들고 고생스러운 것은 아마도 <정법>의 현실일 게다. <정법> 아마존편의 마지막회에서 제작진들의 고생담을 편집해서 보여준 것은 이번 논란에 대한 제작진의 안타까움이 묻어난다. 정글에서 넘어지면서도 카메라를 놓지 않고 끝까지 촬영에 임하고, 때론 온몸이 긁혀 피가 나도 촬영을 포기하지 않는 제작진의 모습 속에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 고생담이 진짜라는 걸 보여주고픈 <정법>의 안간힘이 느껴진다.
사실 국내에서 1박2일로 여행을 간다 해도 그것이 촬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면 그 자체도 고생일 수밖에 없다. 하물며 해외에서 20여일 가까이 강행되는 촬영은 오죽할까. 하지만 제 아무리 고생이라고 해도 그 안에서 느끼는 행복감도 있기 마련이다. <정법> 아마존편의 마지막회는 정글 속에서 오히려 느끼는 행복을 잘 보여주었다.
마지막날을 위해 김병만이 민물새우를 어떻게든 잡으려는 그 의지는 이미 가족이 된 병만족에 대한 그의 애정이 그대로 묻어났고, 그렇게 잡은 새우와 사유지 주인이 제공한 통돼지로 바베큐 파티를 벌이는 장면이나, 박솔미가 한 자 한 자 적어 보낸 진심어린 편지를 읽는 장면에서는 정글이기 때문에 더 느낄 수 있는 행복이 있다는 걸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것은 어쩌면 <정법>이 작금의 논란을 넘어설 수 있는 길처럼 보이기도 했다. 물론 제작진에게 정글에서 겪는 고생담은 상상을 초월할 수 있지만 적어도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고생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드러내주는 것. 정글에서도, 아니 정글이기 때문에 느낄 수 있는 행복감을 알려주는 것은 <정법>이 지금 현재 처한 현실에서 어쩌면 꽤 중요한 일이 될 수 있다.
다큐적인 요소와 예능적인 요소가 섞여있는 것이 바로 <정법>만의 특징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그 둘 중 어디에 더 가까운가를 말하라면 아마도 예능일 것이다. 그 곳이 정글이라고 해도 우리는 여전히 김병만과 병만족을 통해 어떤 웃음을 기대한다. 사실 이 부분은 <정법>만이 갖는 특별한 매력이기도 하다. 처음 <정법>이 아프리카의 악어섬에 들어갔을 때도 우리를 놀라게 했던 것은 그 힘겨운 상황이 아니라 그 상황 속에서도 심지어 콩트에 가까운 예능을 선보이던 김병만의 모습이었다. 정글에서도 여전한 달인의 모습에 <정법>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던 것.
그 진위가 어떻든 이미 진정성이 훼손되어버린 상황에서 <정법>의 고생담은 어쩌면 시청자들에게 그다지 어필하지 못할 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실제로 겪은 고생담을 의도적으로 편집해낼 수도 없을 것이다. 그것은 거기서 실제 고생한 출연진과 제작진에 대한 예의가 아닐 테니 말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정법>이 작금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 어떤 돌파구를 찾기 위해서는 그것이 고생담만이 아니라 그 안에 즐거움과 설렘, 심지어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요소들이 함께 했다는 것을 균형 있게 보여주는 일이다.
고생을 강조하다 보면 자칫 다큐적인 요소가 전면에 강조될 수 있다. 이것은 작금의 <정법>에게는 그다지 좋은 선택이 아닐 수 있다. 고생 보다는 ‘뜻밖의 여정’에서도 느낄 수 있는 행복감과 여유를 동시에 보여줘야 한다. 그리고 물론 고생스럽기는 하지만 이것이 결국은 예능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드러내줘야 한다. 그러려면 그간 공개되지 않았던 정글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갖게 되는 휴식조차 프로그램의 일부로 끌어들이는 과감함이 필요하지 않을까.
고생과 휴식의 자연스러운 병치는 그 자체로 다큐와 예능의 상승효과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정글의 야생과 고생만을 집중해서는 정글이 또한 제공할 수 있는 행복감을 놓칠 수 있다. 마치 그 어떤 상황 속에서도 웃음을 전하려 애쓰던 영화 <인생의 아름다워>의 로베르토 베니니처럼, 혹은 달인이 되기 위해서 그토록 고생을 하면서도 그 고생담을 얘기하기보다는 대중들에게 오히려 웃음을 제공해왔던 김병만처럼, 정글 속에서도 웃음과 행복감을 전해 주려할 때, <정법>의 훼손된 진정성은 어쩌면 회복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속으로는 울고 있어도 겉으로는 웃음을 주는 예능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것. 그것이 진정한 <정법>의 초심이 아닐까.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만큼 개념, '인간'과 '남격'을 가른 한 수 (0) 2013.03.08 '남격'의 추락, 진짜 원인은 뭘까 (6) 2013.03.05 악동뮤지션은 버스커버스커가 될 수 있을까 (5) 2013.03.02 '아빠 어디가' 아이들 몰카, 과연 괜찮은 걸까 (0) 2013.02.28 이광수는 어떻게 베트남의 장동건이 됐을까 (4) 2013.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