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화신', 진정 대중의 마음을 지배하려면

728x90

<화신>, 포장지만 바꾼 신변잡기 토크쇼의 한계

 

김희선이라는 예능의 새 얼굴은 신선하다. 신동엽의 콩트와 순발력은 여전히 발군이다. 윤종신의 주워 먹기 토크도 살아있다. 최강 솔직함을 보여준 강혜정, 의외의 애교만점 예능감을 선사한 정만식, 거침없는 19금 입담을 선보인 소이현 등등 매 회의 게스트진도 약하지 않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부족하다. 부제로 ‘마음을 지배하는 자’를 달고 있는 <화신>이지만 시청자들의 마음을 지배하지는 못하고 있다.

 

'화신'(사진출처:SBS)

화려한 포장지로 잘 포장되어 있어 뭔가 특별한 선물인 줄 알았는데 막상 뜯어보니 늘 봐왔던 흔한 선물이다. 게다가 이 선물은 받는 사람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선물 준 사람이 마치 자신을 뽐내기 위해 준비한 것처럼 보인다. <화신>은 그런 선물 같다. 선물이라고 받았으니 즐겁긴 한데 별로 남는 의미나 강렬한 인상은 없는.

 

<화신>의 ‘문제의 발견’은 신동엽의 <헤이헤이헤이>를 재연한 듯 하고, 설문을 가져다 연예인들의 자기 경험을 빗대 얘기하는 부분은 <야심만만>을 보는 듯하다. 물론 <헤이헤이헤이>나 <야심만만>은 훌륭한 형식이지만(그래서 그 조합 역시 나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중요한 건 이 형식들이 지금의 대중들의 정서를 담고 있느냐는 것이다.

 

만일 <야심만만>이 연일 화제를 끌어 모으던 시절이었다면 지드래곤이 나와서 털어놓는 자신의 연애경험이나 김경호가 최초로 13살 연하의 일본인 여자 친구가 있다는 고백 자체가 화제가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대중은 그 때와는 정서가 달라졌다. 당시 2003년에는 연예인의 신비주의가 벗겨지기 시작하던 시절로서 그들의 맨 얼굴이 담겨진 이야기 자체가 신선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2013년 현재, 완연한 대중의 시대가 열린 지금 연예인의 일상은 그다지 큰 관심거리가 아니다.

 

‘더 이상 다가오지 않는 상대를 내 애인으로 만들 결정타, 남녀 1위는?’에 지드래곤이 과감한 스킨십을 얘기한다고 해도, 또 ‘당장 헤어지고 싶은데... 이별의 발목을 잡는 것, 남녀 1위는? ’에 대성이 아픈 여자 친구 때문에 여권을 잃어버린 척 하고 해외 공연에 가지 않은 사연을 털어놔도 그다지 흥미롭지가 않다. 왜 그럴까. 그것이 내 얘기가 아니라 저들의 이야기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과거 <야심만만>이 연예인 신변잡기에 머물러 있었어도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신비주의가 벗겨져 나가는 연예인에 대한 관심이 높았기 때문이다. 이 훌륭한 형식은 우리와 연예인 사이에 공감대를 형성시켜 주었다. <화신>은 여전히 이 공감대를 내세우고 있지만, 요즘은 대중이 ‘왜 저들의 이야기를 들어줘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채워줄 수 있어야 공감대가 생기는 시대다. 이제 연예인의 이야기라고 해서 무조건 귀를 세우는 시절은 지나갔다는 얘기다.

 

심지어 예능에는 거의 출연하지 않던 설경구가 나와 자신의 깊은 속내를 드러낸다고 해도 그것이 내 이야기가 아니라 저들의 이야기라고 여겨질 때 대중들은 공감하지 못한다. 하물며 이렇게 강한 이야기도 먹히지 않는데 <화신>처럼 겉만 살짝 드러내는 이야기가 약하게 여겨지는 건 당연한 일이다.

 

토크쇼에서 연예인 프리미엄은 이미 사라져버렸다. 한참 저들의 이야기에 웃기는 했는데 그게 우리에게 어떤 감흥이나 의미를 남기지 못했을 때 TV를 끄고 현실로 돌아온 우리는 무언가 허전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점점 더 저들과는 달리 힘겨워지는 현실은 그 괴리감을 더욱 높이기만 할 뿐이다. 그렇다고 의미에 빠져 침잠하는 것은 예능으로서의 본분을 망각하는 일이지만 그래도 그 시간이 헛되지 않음을 느끼게 해주는 건 중요한 일이다.

 

<화신>이 부제와는 걸맞지 않게 대중의 마음을 지배하지 못하는 것은 그 형식이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하더라도 그 주제가 2003년 <야심만만>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대중의 마음을 지배하려면 먼저 대중의 지금 현재 관심사를 끌어와 대중의 이야기를 해야 한다. <화신>은 심지어 19금 토크를 하는 연예인의 속내로 파고들기보다는 진솔하게 대중의 마음을 읽어야 한다. 그래야 그 마음을 지배할 수 있을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