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상한 가정부', 왜 최지우도 무표정일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9. 25. 08:20728x90
김혜수, 고현정에 이어 최지우까지, 일드 캐릭터는 무표정?
‘시키는 일이면 뭐든 할 수 있다. 심지어 사람도 죽일 수 있다.’ 이 몇 줄의 대사는 이 수상한 드라마의 가정부 박복녀(최지우)의 캐릭터를 잘 보여준다. 최소한 <수상한 가정부> 첫 회에 그녀가 남긴 인상은 사람이 아니라 로봇이라는 것이다. 이제 겨우 7살인 유치원생 은혜결(강지우)이 죽은 엄마의 49제가 뭐냐고 묻자 박복녀가 “사람이 죽고 49일이 지나면 살아있는 사람들이 마음 편하게 잊고 살기 위해 만든 날”이라고 말하는 장면은 <스타워즈>에서 루크를 따라다니는 알투디투를 연상케 할 정도다.
'최지우,고현정,김혜수(사진출처:SBS,MBC,KBS)'
이처럼 예의나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는 상관없이 기계적으로 답을 말하고 심지어 사람도 죽일 수 있을 정도로 명령에 복종하는 수상한 가정부라는 설정은 흥미롭다. 그것은 뭐든 다 공유할 것 같은 한 가족 내에서도 드러내지 못하는 숨겨진 속내와 갈등들을 이 로봇 같은 수상한 가정부라는 캐릭터로 모두 끄집어내기 위함이다. 마치 잠잠한 시험관 속 액체 같은 은상철(이성재)네 가족 속으로 촉매제 같은 박복녀가 들어가 일대 화학작용을 통해 그 실체를 드러내는 것.
이 설정만 두고 봐도 드라마의 원작인 일본 드라마 <가정부 미타>가 왜 그토록 일본에서 열광적인 반응을 일으켰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즉 일본의 좀체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성향(심지어 가족 내에서도)이 만들어내는 사회 전체의 억압 같은 것을 로봇 같은 가정부 미타가 마구 헤집어내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드러내지 않아 오히려 더 곪아갈 수 있는 가족의 환부를 드라마라는 공론의 장으로 끌어내는 일이기도 하다.
흥미로운 건 <수상한 가정부>의 박복녀처럼 올해 초부터 계속 되고 있는 일드 리메이크들 속 캐릭터들이 비슷비슷하다는 점이다. <직장의 신>의 미스 김은 자발적 비정규직으로 직장 내에서 어떻게든 살아남으려는 정규직들이 속으로 마음을 숨기는 것과 달리 뭐든 문제를 드러내놓고 부딪치는 캐릭터다. 이 무표정한 얼굴로 퇴근 시간이 되면 뒤도 돌아보지 않고 퇴근해버리는 로봇 직장인(?)은 그래서 직장에 투입된 촉매제 캐릭터인 셈이다.
<여왕의 교실>의 마여진(고현정) 캐릭터도 마찬가지다. 마치 마녀 같은 음산하기 이를 데 없는 무표정으로 이제 초등학생인 아이들에게 꿈 따위를 얘기하기보다는 살벌한 현실을 또박또박 보여주는 수상한 선생 캐릭터. 마여진이라는 로봇 선생님은 그래서 아이라는 막연한 대상 때문에 허위의식에 빠지기도 하는 교육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인물이다.
물론 <직장의 신>의 미스 김이나, <여왕의 교실>의 마여진 캐릭터 모두 전반부의 한없이 스산한 무표정 로봇 캐릭터에서 후반부에는 지극히 인간적인 캐릭터로 변해간다. 그녀들이 로봇처럼 무표정해진 데는 자신들만의 상처가 있어서이고, 그 상처가 주변 인물들과의 접촉으로 치유되면서 비로소 그녀들의 표정을 찾아가기 때문이다. 이것은 아마도 <수상한 가정부>에도 해당되는 얘기일 것이다.
이렇게 보면 <직장의 신>과 <여왕의 교실> 그리고 <수상한 가정부>는 한 세트의 드라마처럼 보인다. 다만 직장과 학교와 가정이라는 상황만 달라졌을 뿐, 그 캐릭터나 전개 양상이 유사하다. 그리고 이들 드라마들의 원작이 가진 성공에는 일본이라는 나라의 특수한 정서적 배경이 깔려 있다. 일본은 지금 사회적으로 조장되어 있는 집단의식 속에 억압된 개인적인 감정이나 속내들이 드라마라는 틀로서 표출되고 있는 중이다.
물론 이런 상황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우리와 그다지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 특히 직장 문화나 교육 문화 그리고 가족 문화가 가진 경직성은 일본이나 우리나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것을 혹자들은 일제의 잔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아주 근거 없는 이야기는 아니다. 그러니 그 경직된 문화를 사정없이 발로 차버리는 <직장의 신>의 미스 김이 그토록 통쾌했던 것이 아닌가.
하지만 비슷하다고 해도 우리에게 특히 억압의 정도는 직장과 학교와 가정이 다르다. 아마도 가장 현실적으로 억압의 강도를 느끼는 것은 직장일 게다. 따라서 <직장의 신>이 나왔을 때 그것은 마치 우리 드라마 원작처럼 여겨질 정도의 반응이 생겼었다. 심지어 갑을정서까지 일어날 정도였으니 말이다. 또한 학교 역시 억압의 강도가 높은 건 사실이다. <여왕의 교실>이 보여준 것처럼 초등학교부터 생기는 치열한 경쟁과 왕따나 폭력 사건 같은 것들이 우리에게도 그리 낯선 것만은 아닌 일이니까.
그렇다면 가정은 어떨까. 우리네 가정은 <수상한 가정부>가 보여주는 것처럼 서로의 속내를 숨기며 평탄한 것처럼 보여도 실상은 곪아 들어가고 있는 건 아닐까. 첫 회는 분명 이 은상철네 가족의 면면이 조금은 낯설게 다가온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은 어쩌면 처음 드러나기 때문에 낯선 것은 아니었을까. 우리도 모르게 우리 가족 내에 무언가 벌어지고 있는 건 아닐까.
이 수상한 드라마는 일종의 우리네 가족의 실상을 실험하는 리트머스지가 되었다. <직장의 신>의 김혜수, <여왕의 교실>의 고현정에 이어 <수상한 가정부> 최지우가 얼마나 시청자들의 반향을 이끌어낼 수 있는가 하는 점은 그래서 우리네 가족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가를 말해주는 흥미로운 실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수상함과 낯설음이 익숙함이 되어간다면 그 때 우리 가정의 또 다른 이면을 보게 될 지도.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화통 터지는 '왕가네', 공영방송도 시청률이라면... (0) 2013.10.02 '투윅스' 시청률 2위? 다 가진 드라마였다 (0) 2013.09.28 '투윅스'의 이준기, 추석에 보니 더 짠했던 이유 (2) 2013.09.22 '왕가네'의 섣부른 가르침 왜 듣기 불편할까 (0) 2013.09.09 '투윅스', 이준기의 몸은 왜 슬픈가 (2) 2013.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