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절논란에서 '무도'는 자유로울 수 있을까옛글들/명랑TV 2013. 11. 11. 09:55728x90
권력화된 <무한도전>, 뭐가 문제일까
<무한도전> 자유로 가요제에서 박명수와 프라이머리가 노래한 ‘I Got C’에 대해서 한예종 이동연 교수는 “교묘하고 노골적인 표절”이라고 질타했다. 네덜란드 가수 카로 에메랄드의 노래 세 곡을 짜깁기했다는 것. 국내 한 매체에 보낸 이메일에서 카로 에메랄드는 이미 ‘I Got C’를 포함해 프라이머리의 과거 몇몇 곡들도 자신들의 곡의 표절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프라이머리 소속사 아메바컬쳐는 여기에 대해 “기술적으로 전혀 다른 노래다. 레트로 스윙 장르다 보니 유사하게 들리는 것일 뿐 표절은 절대 아니다”라고 밝혔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물론 에메랄드 측은 법적 대응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그것은 표절이 아니기 때문이 아니라, 법적 대응을 해봐야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게다. 실제 법적 판단이란 판단하는 당사자에 따라 애매할 수밖에 없다. 심지어 표절이어도 표절이 아니라고 나올 수도 있고, 표절이라고 나와도 우리의 경우에는 얼마 안 되는 벌금으로 넘어갈 뿐이다. 물론 그 사이 벌어들인 음원수익은 엄청날 것이지만. 이만큼 국내의 가요계에는 표절에 대한 일종의 불감증 같은 것이 걸려있다. 구조가 그걸 부추기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글은 프라이머리의 표절 논란 문제가 아니다. 이 문제는 한두 해에 걸친 문제가 아니지 않은가. 그보다 표절 논란에 대해 <무한도전>이 취하고 있는 태도가 적절한가 하는 것이고, 과거부터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무한도전>이 취해왔던 방식이 올바른 것이었나 하는 점을 지적하고자 함이며, 또한 비판조차 하기 어려워진 성역화되고 권력화된 <무한도전>의 팬심이 과연 프로그램을 위해서도 또 대중을 위해서도 좋은 일인가를 생각해보고자 함이다.
<무한도전>은 프라이머리와 박명수가 자유로 가요제에 낸 곡이 표절 논란에 휘말렸지만 여기에 대해 이렇다 할 입장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 대신 김태호 PD가 트위터를 통해 쓴 내용은 스포일러성 기사에 대한 불쾌한 심경을 드러낸 것이다. 아마도 표절이냐 아니냐 하는 것에 대한 확실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는 것도 쉽지는 않은 일일 게다. 하지만 표절 문제는 결과가 나오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일단 이런 논란이 나온 것에 대한 입장 발표는 먼저 내는 것이 예의다.
프라이머리의 표절 논란은 현재 국내의 대중들의 이목이 집중된 사안이면서 동시에 해외에서도 주목하는 문제가 되어버렸다. 네덜란드 신문 ‘더 텔레그래프’는 ‘한국인이 카로 에메랄드를 상대로 좀도둑질을 해 인기를 끌고 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프라이머리라는 개인적인 표절 논란에 머물지 않고 이제는 한국인 전체, 즉 K팝에 대한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그저 예능 프로그램에서 만든 곡이라고 치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한도전> 가요제가 가진 파괴력은 이미 자신들도 알고 있는 사실이다. 유재석이 자유로 가요제에 앞서 굳이 음원제작자들에게 이해해달라고 양해를 구한 것은 그 때문이다. 하지만 이 양해란 유재석 개인적인 이야기일 뿐, 가요계와 방송계가 음악을 사이에 두고 벌어지는 헤게모니 전쟁에서 이미 방송이 그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일일 게다. 가요제가 끝나고 거기 나왔던 노래들이 음원차트를 점령하는 것이 그 증거다.
그러니 음원 차트 1위를 기록한 프라이머리와 박명수의 ‘I Got C’의 표절 논란에 있어서 <무한도전>이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이 곡을 만든 것도 띄운 것도 또 소비하게 만든 것도 어찌 보면 <무한도전> 가요제니 말이다. 표절 논란의 초점을 프라이머리로 자꾸 맞추는 것도 정당하다 여겨지지 않는다. 과거 가요제로 노래가 떴을 때를 생각해보라. 그 때는 오히려 멤버들이 부각되지 않았던가. ‘I Got C’라는 곡은 프라이머리와 <무한도전>이 함께 만든 합작품이란 점이다. 그러니 거기에 대한 책임도 같이 져야 한다.
<썰전>에서 허지웅은 본인이 <무도> 팬임을 스스로 밝힌 후, 최근 <무도>의 아쉬움을 토로했다. “장미여관이 저런 음악을 하는 친구들이 아닌데 색깔을 많이 바꿨다. 그리고 마지막에 우리 같은 밴드에게 이런 기회를 얻는 것이 어렵다며 흐느꼈다”면서 “나는 그게 현재 <무한도전>이 처한 상황의 어두운 면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틀린 얘기가 아니다.
현재 <무한도전>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빅 재미가 없어서도 아니고 아이템이 고갈돼서도 아니다. 문제는 대한민국 평균 이하를 주창하며 탈권력화의 통쾌함을 선사해줬던 <무한도전>이 스스로 권력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무한도전>은 이제 가요제를 해도 자유로 가요제 정도의 규모를 취할 수밖에 없는 위치가 되었다. 심지어는 과도하게 팽창된 팬덤으로 인해 비판조차 허용되지 않는 분위기마저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결국 <무한도전>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권력화를 가중시킬 뿐이기 때문이다.
<무한도전>의 멤버들 중 몇몇은 최근 사회적인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다. 정형돈은 함량미달 돈가스를 홈쇼핑에 팔아 논란이 됐었고, 길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건물의 임대 문제로 갑을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물론 거기에는 그만한 곡절이 있을 게다. 하지만 이 문제에 대해서 당사자들은 이렇다 할 자숙이나 해명을 내놓지 않았다. <무한도전>이기 때문에 가능한 얘기다. 작은 논란 하나만으로도 일파만파의 파장을 일으키는 것이 우리네 연예계 아닌가.
<무한도전>은 과거에도 논란이 나올 때마다 그것을 오히려 프로그램 안으로 끌어들여 예능화하는 식으로 문제를 풀어내기도 했다. 그것은 대단히 영민한 대응이지만 중요한 것은 이 과정에서 사안이 가진 논점들은 사라지고 덮어진다는 점이다. 게다가 이건 <무한도전>이 아닌가. 이 정도의 영향력과 팬덤을 가진 프로그램이 덮어주고 지나치겠다고 하면 실제로 문제가 덮어지는 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닐 것이다.
우리나라에 한 번쯤 <무한도전>의 팬이 아니었던 사람이 있을까. 아니 거의 대부분이 나서진 않아도 심정적인 지지를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일 게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점점 성역화되고 권력화되는 것은 <무한도전>을 위해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과거 힘없던 시절을 괜스레 코스프레할 필요도 없지만, 그렇다고 달라진 위상 속에서 최소한의 지켜야할 초심을 버려서도 안될 것이다. 대중들에 의해 생겨난 힘에는 대중들에 대한 그만한 책임도 따르는 법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법도박 파문, 왜 이수근에게만 집중될까 (1) 2013.11.15 끝없는 사건사고, 모두가 유느님이 될 순 없는 일 (0) 2013.11.13 '상속자들'과는 다른 '응답1994'의 수평적 멜로 (0) 2013.11.10 '1박2일' 시즌3, 멤버 교체보다 중요한 것 (4) 2013.11.08 '아빠 어디가'의 교육학개론, 정답은 없다 (0) 2013.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