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무 다른 '워크래프트'와 '정글북'의 세계관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6. 6. 24. 08:13728x90
<워크래프트>와 <정글북>, 타자를 보는 두 개의 시선
최근 개봉된 두 편의 할리우드 영화는 CG 기술이 어디까지 갈 것인가에 대한 예견을 가능케 한다. 블라자드의 게임을 영화화한 야심작 <워크래프트 : 전쟁의 서막>과 월트디즈니의 <정글북>이 그 영화들이다.
사진출처 : 영화 <정글북>
<정글북>은 이미 수차례 애니메이션, 영화화된 전적이 있을 정도로 우리에게는 익숙한 이야기다. 정글에 버려진 아이 모글리가 늑대들에 의해 키워지면서 이를 반대하는 호랑이 쉬어 칸과 함께 공존하려는 무리들(늑대들과 곰 발루, 흑표범 바기라 등)이 대립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정글에서 인간 모글리와 공존할 것인가 아니면 정글은 정글대로 인간은 인간대로 살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이야기. 결국 인간에게서 불을 가져온 모글리는 쉬어 칸 같은 맹수들을 물리치고 정글의 평화를 이끈다.
이미 다 알고 있는 이 이야기가 영화로 재현되고 전 세계적인 흥행을 이끈 데는 CG 기술이 큰 몫을 차지했다. 모글리를 빼놓고 정글까지 온통 CG로 완성한 작품은 한 마디로 애니메이션 기술의 총아를 보는 듯하다. 이야기의 성격 상 아이와 맹수들이 정글에서 함께 뒤엉키는 장면들은 결국 CG가 아니면 불가능한 것들이다. 월트디즈니는 이 작품을 통해 이제 자신들이 세워놓은 상상력의 제국에 날개를 단 셈이다. <정글북>은 기존의 월트디즈니 만화 애니메이션들이 이제 실사 애니메이션으로 나갈 준비를 마쳤다는 선언처럼 보인다.
한편 블리자드사의 <워크래프트 : 전쟁의 서막>은 유명한 게임을 영화화했다. 게임 원작 영화들은 물론 이전에도 <툼레이더>나 <레지던트 이블>, <페르시아의 왕자> 등등 많았다. 하지만 <워크래프트>는 마치 영화가 판타지물을 끌어안게 됐던 <반지의 제왕>처럼 영화가 게임을 끌어안은 신기원으로 여겨진다. 물론 <반지의 제왕>만큼의 탄탄한 완성도를 보여주진 못하지만 <워크래프트>의 성취는 이후 블리자드를 비롯한 많은 게임사들의 영화화 러시를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
<워크래프트>는 게임 원작이기 때문에 그 스토리가 게임을 해보지 않은 이들에게는 낯설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른바 ‘덕후’라면 이 영화에도 열광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다른 차원에 살고 있는 오크족의 행성이 황폐해지자 인간의 행성으로 와 새로운 왕국을 건설하려는 오크들과 이와 맞서는 인간과 마법사 등의 대결이 그 스토리다. 오크족의 듀로탄은 이 영화의 화자이자 거의 주인공에 가까운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흥미로운 건 <정글북>의 세계관과 <워크래프트>의 세계관이 너무나 상이하다는 점이다. 이것은 <정글북>이 키플링에 의해 소설로 나왔던 19세기 말과 <워크래프트>가 게임화된 20세기 말, 1세기가 변화해온 세계관의 영향 때문에 생기는 일이다. 알다시피 <정글북>은 근대의 제국주의의 시선이 정글과 인간이라는 대립구도를 통해 담겨져 있다. 야만을 대변하는 맹수를 무너뜨리고 정글의 질서와 평화를 유지한다는 이야기는 언뜻 공존의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그 시선이 정글에서는 이방인에 해당하는 인간의 시점에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제국주의의 그림자를 덧씌운다. 물론 영화는 흑표범 바기라의 내레이션으로 흘러가지만 그것은 모글리에 대한 찬양에 가까운 것이다.
반면 <워크래프트>는 인간이 아닌 오크족의 듀로탄이라는 영웅을 내세움으로써 이러한 시선의 중심이 해체된다. 오크족도 인간들도 서로 싸우게 되는 건 그들 자체가 반목해서가 아니라 그 각각의 내부에 존재하는 진짜 적들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워크래프트>는 오크족과 인간들의 대결 이면에 오크족 내부와 인간 내부의 대결을 다루고 있다.
물론 오락영화로서 <정글북>과 <워크래프트>는 CG 기술이 만들어낼 미래의 영화를 가늠할 정도로 흥미롭다. 하지만 그 화려한 스펙터클 이면에 깔려 있는 너무나 다른 세계관은 역시 CG가 제아무리 화려한 미래의 영화라고 해도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오히려 잘 드러내준다. 동시간대에 방영되고 있는 놀라운 CG 기술의 영화지만 <정글북>이 어딘지 구시대적이고, <워크래프트>가 동시대적인 느낌을 주는 건 바로 이런 세계관 때문이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이 김선달', 유승호만큼 신스틸러들이 빛난 까닭 (1) 2016.07.09 기대 이하 '사냥', 그래도 안성기만큼은 독보적이다 (5) 2016.07.08 영화가 산골로 가니 진짜 영화가 보이네 (0) 2016.06.05 청춘을 지지한 이준익 감독, 백상이 응답한 까닭 (0) 2016.06.05 '아가씨', 남성성의 폭력을 넘는 유쾌한 여성성 탈주극 (0) 2016.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