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섬뜩한데 웃기고 짠하고.. '빙의' 송새벽의 독보적인 아우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9. 3. 10. 10:23728x90
복합장르 ‘빙의’, 인간미 넘치는 배우 송새벽의 진가
OCN 수목드라마 <빙의>는 섬뜩한데 웃기고 한편으론 짠해진다. 그도 그럴 것이 연쇄살인범이 등장하고, 여기에 빙의 소재의 귀신이 등장한다. 그러니 스릴러와 공포 장르가 섞여 긴장감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송새벽이 연기하는 강필성이라는 이른바 ‘영이 맑은 불량 형사’라는 캐릭터는 어딘지 코믹하다. 살인현장을 누비며 그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범인을 잡기 위해 뛰는 열혈형사지만, 편의점 바닥에 떨어진 구미를 벌레로 오인하고 깜짝깜짝 놀라는 새가슴이다. 밤마다 혼자 자는 밤이 무서워 영어회화 프로그램을 틀어놓고 자는 통에 간단한 영어회화를 구사하기도 하는 그런 인물.
그러니 그가 갑가지 영을 보는 눈이 열려 귀신을 마주하게 될 상황이 우습지 않을 수 없다. 귀신을 보고 오금이 저려 쓰러지고 소리 지르는 강필성은 그가 하는 형사라는 직업의 강인함과 상반된 면을 드러내며 웃음을 만든다. 그런데 이 강필성은 그저 새가슴인 겁 많은 형사 그 이상의 면모를 갖고 있다. 그것은 타인의 입장을 들여다보는 남다른 감수성을 가진 인물이라는 점이다. 먹고 살기 힘들어 행상을 하는 아주머니에게 단속 나왔다며 피하라 알려주는 형사이고, 하다못해 제 집에서 보게 된 귀신 부녀에게 무서워 쫓아내려 하다가 슬픈 눈빛을 보고는 오히려 제사를 지내주며 먹을 걸 주는 그런 인물. ‘영이 맑다’는 건 그의 이런 남다른 감수성에서 비롯된 착한 심성의 다른 표현이다. 그러니 이 지점에서는 그 인간적인 면모에 짠한 감정이 생겨난다.
이건 <빙의>라는 형사물이 가진 독특한 특징이다. 기본적으로 연쇄살인범을 추적하는 형사 스릴러 장르를 갖고 있지만, ‘빙의’ 소재라는 오컬트적 요소가 들어가 있고 여기에 코미디와 휴먼드라마가 더해져 있다. 살해당한 엄마가 아이에게 인형을 사주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못해 귀신이 되어 슬퍼하는 모습을 본 강필성이 아이에게 인형을 대신 사다주며 엄마가 보냈다고 말하는 장면은, 이 복합적으로 얽혀진 장르와 그래서 감정 또한 복합적으로 만들어지는 <빙의>라는 드라마가 가진 색깔을 잘 보여준다. 심지어 이 드라마는 강필성과 영매인 홍서정(고준희)이 함께 수사를 하게 되는 과정과 더불어 두 사람 사이의 멜로까지 겹쳐놓았다. 이토록 자유자재로 장르가 뒤섞여 있다는 건 실로 놀라운 일이다.
그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잘 들여다보면 그 중심에 강필성이라는 독특한 인물을 연기하는 송새벽이라는 배우의 진가가 보인다. 송새벽은 어떤 역할도 자신의 색깔로 소화해내는 독보적인 자기 세계를 가진 배우다. <방자전>에서 변학도라는 인물을 완전히 자기 스타일로 곱씹어 표현함으로써 그는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 이후 그는 웃기면서도 섬뜩하고 때론 인간미 넘치는 그런 다양한 역할들을 자유자재로 선보인 바 있다. 지난해에는 <나의 아저씨>를 통해 화 많지만 그만큼 따뜻한 박기훈이라는 인물을 매력적으로 연기하기도 했다.
그가 가진 독보적인 연기 세계의 핵심은 아무래도 ‘인간미’가 아닐까 싶다. <빙의>에서 어딘지 불량해보이지만 우스꽝스럽고 그러면서도 따뜻함이 느껴지는 건 한 인물을 단면적으로 연기하지 않고 다양한 상황 속에서 다양한 면모들(그것이 반전요소를 갖고 있을 지라도)을 자연스럽게 담아내는 그의 인간미 넘치는 연기 때문이다. 인간은 결국 한 가지의 얼굴만 갖고 있는 게 아니고 다양한 얼굴의 복합체라는 걸 송새벽은 연기를 통해 보여준다.
이런 관점으로 보면 <빙의>라는 작품은 송새벽에게 맞춤인 드라마로 보인다. 결국 이 드라마가 ‘빙의’라는 소재를 다루고 있는 건 단지 형사물에 오컬트적 요소를 더하는 정도의 차원이 아니라 이 형사물을 통해 담으려는 주제의식까지도 거기에 담겨져 있어서다. 우리가 흔히 ‘빙의된다’고 표현하는 건 어찌 보면 강필성이라는 인물이 그러하듯이 ‘타인의 입장을 들여다보고 되어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니 강필성이 그토록 겁이 많은 형사지만 사건에 열정적으로 뛰어드는 그 힘은 ‘빙의되듯’ 피해자의 입장을 들여다보려는 노력일 수 있다.
반면 연쇄살인범은 살해현장에 거울을 놓아 피해자가 자신이 죽어가는 모습을 바라보며 고통스러워하는 걸 즐긴다. 또 과거 끔찍한 연쇄살인범이었던 황대두(원현준)는 자신을 추적하던 형사 김낙천(장혁진)의 아내와 아이를 죽여 그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즐기는 그런 살인자였다. 그건 어찌 보면 빙의의 가학적인 활용처럼 보인다. 타인이 얼마나 고통스러울까를 느끼며 즐거워하는 살인범.
<빙의>는 그래서 타인의 고통을 들여다보며 즐거움을 느끼는 살인범과 그 고통을 이해함으로써 이를 막으려 뛰어드는 형사의 대결구도가 만들어진다. 송새벽이 강필성이라는 인물을 겁에 질린 모습을 보여주다가도 피해자의 고통을 들여다보며 더더욱 범인을 잡기 위해 뛰는 ‘인간적인’ 캐릭터로 그려내는 건 그래서 이 드라마의 주제의식까지 연결되는 중요한 고리가 된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건 이 복합적인 감정들의 롤러코스터를 한 인간적인 형사를 통해 빙의할 수 있게 해주는 송새벽이라는 배우가 있어 가능해진 일이라는 점이다.(사진:OCN)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이 부시게' 가슴 뜨거워지는 드라마, 참 오랜만이다 (0) 2019.03.14 '열혈사제' 느릿한 전개, 속 터져도 계속 챙겨보게 된다는 건 (0) 2019.03.11 '해치', 정일우의 하드캐리 박수 받아 마땅한 이유 (0) 2019.03.10 '눈이 부시게' 김혜자라는 아름다운 에러에 먹먹해진다는 건 (0) 2019.03.06 '왕이 된 남자' 파격적 선택, 여진구와 김희원 PD가 살려냈다 (0) 2019.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