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세영, 안은진 이어 이하늬가 꽃피운 MBC 사극(‘밤에 피는 꽃’)이주의 드라마 2024. 2. 18. 11:01728x90
‘밤에 피는 꽃’의 성공이 MBC 사극에 갖는 의미와 가치
결국 조여화(이하늬)는 자신의 오라비가 시아버지인 좌상 석지성(김상중)에 의해 죽었다는 걸 알게 됐고, 왕 이소(허정도) 또한 선왕의 죽음이 석지성이 사주한 독살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밤처럼 깜깜한 어둠 속에 묻혀 있던 진실이 꽃이 고개를 드는 중이고, 이제 그 꽃은 마지막 서사를 향해 꽃피울 참이다.
MBC 금토드라마 <밤에 피는 꽃>이 단 한 회만을 남기고 있다. 최종 빌런 석지성이 어떤 결말을 맞이하게 될지, 또 조여화가 이 수절과부의 굴레를 벗어나 금위영 종사관 박수호(이종원)와 행복한 미래를 그려나갈지 자못 궁금하고 기대된다. 이미 어느 정도 결말이 예상되는 가운데, <밤에 피는 꽃>이 거둔 성취가 MBC 사극에 갖는 의미와 가치가 새삼스럽다.
사실 MBC 사극은 저 이병훈 감독이 이끈 일련의 사극들로 확고한 브랜드를 갖고 있었다. <허준>, <상도>, <대장금> 같은 작품이 퓨전사극을 이끌었고 그 열풍은 <주몽>, <선덕여왕>, <해를 품은 달>까지 이어지며 ‘MBC 사극’이라는 표현이 그저 지칭에 머무는 게 아니라 그 독특한 특색으로 규정되게 만들었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으로 가면서 MBC 드라마의 위상이 떨어질 정도로 큰 위기를 겪었고, 결국 그 후유증으로 인한 경영악화를 극복하기 위해 드라마 제작편수도 줄이면서 MBC 드라마의 존재감 자체가 흐려졌던 게 사실이다. 그걸 깨고 다시금 MBC 드라마가 부활의 신호탄을 날린 작품이 바로 2021년 방영된 <옷소매 붉은 끝동>이라는 사극이었다. 이산 정조와 성덕임의 운명적인 사랑을 그린 이 작품은 실제 역사와 인물들을 가져오되 여성서사가 전면에 등장하는 현재적 관점이 담긴 해석으로 과거 MBC에서 제작됐던 <이산>과는 다른 재미를 선사했다.
그리고 MBC 사극의 이 흐름은 작년 <연인>으로 이어졌다. <연인> 역시 실제 역사적 사건이었던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하고 여기에 인조나 소현세자 같은 역사적 인물이 등장하지만, 현재적 가치관을 담은 이장현(남궁민), 유길채(안은진) 같은 허구적 인물들의 새로운 서사로 채워졌다. 지상파 드라마 편수가 전반적으로 줄어들 정도로 지상파 전체가 어려운 현실을 맞이했지만 MBC 사극은 여전히 건재하다는 걸 보여준 작품이었다.
그래서일까. 그 흐름을 이어받은 <밤에 피는 꽃>의 성공은 남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이 작품은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무관한 완전한 상상력으로 채워진 사극이었다. 조선사회를 시공간으로 가져왔지만, 그 상상력은 현대적이었고 수절과부가 밤이면 담을 넘어 ‘전설의 미담’으로 활약한다는 과감한 이야기를 펼쳤다. 어찌 보면 적절한 역사를 바탕으로 하는 퓨전사극들보다 쉬울 것 같지만 사실은 정반대다. 역사를 벗어나 마음껏 상상력을 피워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래서 한껏 가벼워질 수 있는 부분들을 어떻게 눌러주고 무게감을 갖게 하는가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밤에 피는 꽃>은 다소 무거운 선왕의 죽음과 관련된 사건들(조여화와 박수호의 가족도 연관된)을 밑그림으로 깔아놓는 반면, 매회의 그 흐름은 ‘활극’의 경쾌함과 유쾌함으로 톤을 잡았고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의 코믹한 연기들을 채워넣어 상상으로 구축된 세계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조여화 역할의 이하늬는 바로 이 코믹하면서도 시원시원한 활극이 펼쳐지고 또 박수호와의 달달한 멜로를 그려가면서도 진실에 다가가는 무게감도 균형있게 가져가는 연기를 펼쳤다. 그가 가진 색깔이 <밤에 피는 꽃>이라는 사극의 색 그 자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결국 작품의 메시지나 색깔은 인물에서 나오기 마련이다. <옷소매 붉은 끝동>의 이세영, <연인>의 안은진의 연기가 주목받았던 건 그것이 그 작품이 하려는 메시지와 색깔을 분명히 그려냈기 때문이었다. 그런 점에서 보면 그 바톤을 이어받은 이하늬의 공은 칭찬받아 마땅하다. <밤에 피는 꽃>까지 성공함으로써 MBC 사극이라는 브랜드가 다시금 활짝 꽃 피게 되는 상황을 이끌었으니 말이다.
또한 <별에서 온 그대>로 스타 감독으로 떠올랐지만, <바람의 화원>, <뿌리깊은 나무>에 이어 <홍천기> 그리고 <밤에 피는 꽃>까지 사극 연출에도 갈수록 일가를 만들어가는 장태유 감독의 성취 또한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물론 <하이에나> 같은 현대극에도 많은 성공작을 내놓은 감독이지만 일련의 사극들에서도 분명한 성적을 내고 있으니. (사진:MBC)
'이주의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봉식, 장혜진 같은 따뜻한 기댈 어깨 하나만 있어도 (0) 2024.02.26 장태유 감독의 균형잡힌 톤 없이 ‘밤피꽃’의 성과가 가능했을까 (0) 2024.02.26 비정과 다정 사이... 조정석이 쥐락펴락하는 ‘세작, 매혹된 자들’ (0) 2024.02.18 ‘닥터슬럼프’, 위로와 응원이 더 필요한 우리 시대의 사랑 (0) 2024.02.12 드라마와 영화의 경계를 보기좋게 허문 ‘킬러들의 쇼핑몰’ (0) 2024.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