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킹맘’의 해피엔딩이 불편한 이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9. 19. 09:37728x90
워킹맘은 없고 불량남편만 활약하는 ‘워킹맘’
‘워킹맘’에는 ‘불량남편 길들이기’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언뜻 보면 이 제목과 부제는 어떤 상관관계를 가진 것인다. 워킹맘, 최가영(염정아)이 불량남편 박재성(봉태규)에 의해 번번이 발목을 잡히는 상황은 실제로 이 상관관계가 더욱 신빙성 있는 것처럼 생각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것은 드라마가 그려놓은 상관관계일 뿐이다. 현실에서 워킹맘의 문제와 불량한 남편의 문제가 겹쳐지는 부분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이 땅에 살아가는 워킹맘들의 고민은 남편이 불량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사회적인 시스템의 부재와 아줌마 직장인을 바라보는 편견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이 드라마가 워킹맘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하는 점은 기획의도를 들여다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기획의도에 들어가 있는 내용은 총 세 가지. 첫째는 워킹맘의 친정엄마 만들기이고 둘째는 짝퉁 친정엄마의 육아파업 선언, 셋째는 연하남편 인간개조 프로젝트다. 즉 워킹맘의 문제를 친정엄마가 없어서라고 상정하고, 그 친정엄마조차 파업을 선언하는 상황을 연출하며 이로써 육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부지 연하남편을 개조한다는 내용을 풀어내겠다는 것이다. 작가는 워킹맘의 문제가 육아문제라는 건 인식하고 있지만, 그것의 해결책이 사회(직장 같은)와의 대결에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작가는 육아를 대신해줄 그 누군가를 찾고 있을 뿐이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이처럼 주제의식에서 한참 멀어져 보이는 ‘워킹맘’이 드라마를 끝까지 보게 만드는 어떤 힘이 있었다는 것은. 그 해답은 바로 코미디에 있다. 이 드라마의 진짜 힘은 워킹맘이라는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대한 따뜻한 시선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불량남편이 길들여지고, 없는 친정엄마가 생기고, 육아파업을 선언하는 친정엄마가 결국에는 자식을 맡게되는 그 복잡다단하지만 얽히고 설키는 코미디 상황에 있기 때문이다.
주제의식에서 멀어지는 대신, 코미디를 선택하면서 워킹맘 당사자인 최가영보다 더 중심에 서게 된 박재성과 고은지(차예련)는 매번 코믹한 상황 속에 던져져 시청자들을 포복절도하게 만들면서 이 드라마의 실제적인 주인공이 된다. 여기에 봉태규와 차예련의 몸을 사리지 않는 연기는 김현희 작가 특유의 코미디에 제대로 살을 입힌다. 실로 이 작가의 재능은 사회적 문제를 극화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끝없이 코믹한 상황을 연출해내는데서 반짝반짝 빛난다.
‘워킹맘’은 그다지 심각한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는다면 꽤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드라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불량남편 길들이기’라는 부제에 해당하는 코미디를 지향하면서 이 드라마는 정작 제목인 ‘워킹맘’을 잃어버린다. 따라서 해외출장의 기회 앞에서 서둘러 최가영이 일보다는 가정을 선택하고 불량남편을 받아들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 이 드라마의 결말은 워킹맘으로서의 사회적 성공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길들여진 불량남편과의 재결합에 있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최가영에게 육아문제는 어떤 것도 해결된 것이 없는 반면, 불량남편은 확실히 길들여졌다. 차라리 워킹맘이라는 거창한 제목을 달지 않았으면 어땠을까. 하지만 그렇게 했다면 이 드라마에 대한 화제성이나 주목도는 그만큼 떨어졌을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의식적으로 어울리지 않는 제목을 붙일 필요가 있었을까.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이니 편하게 웃고 즐기면 그만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워킹맘’같은 사회적 문제를 정면으로 제시하는 제목을 달고 있는 드라마를 그저 즐기면서만 볼 수 있을까.
세상엔 실제 워킹맘들이 많고 그들은 이 드라마의 제목만 보고도 단박에 관심을 가졌을 것이다. 삶이 피곤한 워킹맘들이니 그저 이 드라마를 보며 실컷 웃고 즐기면 되지 않겠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실컷 웃다가 끝에 가서 남는 어딘지 부족한 씁쓸함은 코미디로 전화하면서 이 사회적 문제가 결국은 내 가족이 감당하고 해결해야할 문제로 환원된 그 부분에서 비롯되는 것일 것이다. 이 시대 워킹맘들이 원하는 건, 박재성의 개과천선이 아니라, 최가영이 마음놓고 출장을 갈 수 있을 정도로 편견 없는 사회적 풍토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뿔', 이 시대 가족의 뿔을 보듬다 (0) 2008.09.21 리얼 버라이어티, 1등이 공공의 적이 되는 이유 (8) 2008.09.20 ‘1박2일’과 ‘우결’, 왜 둘 다 보면 안 돼? (0) 2008.09.18 ‘에덴의 동쪽’, 가족애 그 이상을 그릴까 (0) 2008.09.17 ‘베토벤 바이러스', 초반부터 전염성 강한 이유 (7) 2008.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