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Issue
‘나의 완벽한 비서’의 이준혁이 자극하는 판타지‘살림’이나 ‘비서’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우리는 저도 모르게 여성을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가부장적 시대를 거치며 오래도록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우리도 모르게 갖게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성 역할 고정관념은 깨지고 있다. 드라마만 봐도 그렇다. ‘소년심판’ 같은 드라마에 등장하는 여성 판사가 그렇고, ‘낭만닥터 김사부’에 등장하는 남성 간호사처럼 한때 판사하면 남성을 간호사 하면 여성을 떠올리던 고정관념을 깨는 인물들이 최근에는 일상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나의 완벽한 비서’는 이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드라마다. 제목에 등장하는 ‘비서’는 다름 아닌 이준혁이 역할을 맡은 유은호라는 남성이니 말이다. 그런데 이 유은호가..
Hot Contents
-
가족 바깥에서 가족을 찾다
다시 주목받는 가족서사, 우리 시대의 가족은?가족드라마가 점점 퇴조하면서 가족은 지나간 옛 코드라 여겨졌지만 최근 들어 가족 서사는 다시금 전면에 떠오르고 있다. 어째서 가족 서사가 다시 부상하고 있을까. 또 그 가족 서사는 과거와 무엇이 달라졌을까.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가족의 탄생최근 ENA에서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 ‘나미브’는 해고된 스타 제작자 강수현(고현정)이 방출된 장기 아이돌 연습생 유진우(려운)를 스타로 키워내 재기하려는 과정을 담은 작품이다. 소재적으로 보면 ‘드림하이’나 ‘아이돌:The Coup’ 같은 K팝 아이돌을 소재로 담고 있지만, ‘나미브’에서 어른거리는 건 가족 서사다. 강수현은 잠시 한눈을 판 사이 아들 심진우(이진우)가 교통사고를 당해 청각을 잃게 된 데 대한 죄책감에 ..
-
‘오징어 게임2’, 이 배우들이 있어 한국적 정서가 짙어졌다
강애심, ‘오징어 게임2’로 전 세계가 주목할 한국엄마의 아우라“이러지들 마시고, 여러분, 여러분. 저 나도 그렇고 여러 선생님들도 그렇고 여기 이 선생님 덕분에 아직까지 목숨줄 붙어 있는 거예요. 다들 욕심 좀 그만 부리고 이 목숨 중한 줄 알고 다들 이제 여기서 나갑시다. 예?”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2’에서 아들 용식(양동근)의 빚을 갚겠다며 게임에 참가한 엄마 금자(강애심)는 사실 돈보다 목숨이 더 귀하다는 걸 아는 인물이다. 그저 돈을 벌어보겠다고 참가한 이들과는 사뭇 다르다. 그럼에도 그녀가 이 게임에 들어온 건 아들 때문이다. 아들을 위해 아들이 진 빚을 어떻게든 대신 갚아보겠다며 게임에 들어온 것. 그런데 첫 번째 게임을 통해 이것이 목숨줄을 내놓고 하는 게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
유연석의 냉온 연기가 만든 ‘지금 거신 전화는’의 몰입감
‘지금 거신 전화는’, 유연석이 보여준 로맨스릴러의 정석냉탕과 온탕을 오간다. 차가운 눈빛을 날릴 때면 모든 걸 얼려버릴 것 같은 서릿발이 느껴지지만, 그 눈빛이 한없이 풀어지면서 금방이라도 울 것 같은 물기를 머금을 때 따뜻하고 뜨거운 이 인물의 숨겨졌던 속내가 드러난다. 차가움이 강렬할수록 뜨거움도 강렬해지는 냉온을 오가는 연기. MBC 금토드라마 ‘지금 거신 전화는’에서 유연석이 보여주는 이 냉온 연기는 살벌한 스릴러와 달달한 로맨스의 양극단을 오가는 ‘로맨스릴러’를 탄생시켰다. 시작은 스릴러였다. 앵커 출신으로 대통령실 대변인의 자리에 오른 백사언(유연석)과 어린시절 자동차 사고의 충격으로 함묵증에 걸린 채 수어 통역사로 일하는 백사언의 아내 홍희주(채수빈). 이들이 쇼윈도 부부라는 사실은 어느..
-
‘오징어 게임2’, 왜 우리는 빵 대신 복권을 선택할까
‘오징어게임2’, 시즌1과 달라진 건 시스템에 대한 대결의식딱지남(공유)은 노숙자들에게 다가가 빵과 복권을 내밀고 둘 중 하나를 가지라고 한다. 당장 먹을 수 있는 빵을 선택할 것 같지만 이들은 대부분 복권을 선택하고 긁고 난 후 꽝이 된 복권 앞에 절망한다. 딱지남은 그렇게 절망한 모두가 보는 앞에서 빵을 버리고는 이렇게 말한다. “이 빵을 버린 건 제가 아니라 선생님들입니다.” 그리고는 인정사정없이 빵을 짖밟아 버린다.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 첫 회에 등장하는 이 장면은 가난한 이들이 더욱 가난해지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작동방식을 드러낸다. 골고루 빵을 선택해 나눠 먹으면 똑같이 굶주리지 않을 수 있지만, 이들은 빵보다 더 큰 걸 원한다. 하지만 손에 잡힐 것 같은 돈은 사실상 헛된 욕망이다..
나의 K오딧세이
-
'나의 아저씨'와 서소문 아파트나의 K오딧세이 2025.01.09 16:00
중년기의 한국사회 “이 건물 밑이 원래 하천이야. 야 봐봐. 물길 따라 지어가지고 이렇게 휘었잖아. 복개천 위에 지어가지고 재건축도 못하고. 그냥 이렇게 있다가 수명 다하면 없어지는 거야. 터를 잘못 잡았어... 그것도 나랑 같아. 나도 터를 잘못 잡았어. 지구에 태어나는 게 아닌데...”- '나의 아저씨' 중에서'나의 아저씨'가 방영될 때 내 나이도 오십을 막 넘기고 있었다. 87학번인 나의 대학시절만 해도 최영미 시인이 '서른, 잔치는 끝났다'고 할 정도로 서른만 넘으면 인생이 꺾어지는 줄 알았다. '또 하루 멀어져 간다'로 시작하는 김광석의 '서른 즈음에'도 그렇다. 지금은 달라졌다. 서른에 결혼하는 이들은 거의 없어졌고 마흔이 넘어야 이제 중년에 들어선다고 여긴다. 중년과 노년의 나이 개념이 달라..
죽고 싶지만 TV는 보고 싶어
-
TV키드와 TV의 작은 역사죽고 싶지만 TV는 보고 싶어 2025.01.09 16:07
프롤로그 : 바보상자에서 똑똑한 TV까지상자 속의 바보상자, 그저 물건의 하나였던 TV엉뚱한 소리로 들리겠지만 TV에 대한 가장 강렬한 첫 기억으로 무엇이 떠오르냐고 묻는다면 나는 '자물쇠'라고 말할 것이다. 70년대 내가 아이였을 때, 큰맘 먹고 아버지가 모셔온(?) TV는 방 한가운데를 떡 하니 차지하고 있었지만 우리에게는 도무지 접근 불가의 물건이었다. 무슨 보물이라도 되는 양 가구 속에 꼭꼭 숨겨져 있는 TV라니! 지금으로서는 아마도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겠지만 당시 그 TV는 가구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TV를 보려면 먼저 가구에 달린 커다란 자물쇠를 풀고 문을 양옆으로 연 후에야 비로소 그 속에 놓인 TV를 볼 수 있었다. 이른바 'TV는 바보상자'라는 말이 공공연했던 시절, 교육열이..
Essay
-
다리 위와 다리 밑소소하지만 빛나는 일상의 리뷰 2025.01.09 16:10
삶이 흘러가는 곳, 천변을 걸으며 다리 밑에 서니 다리 위가 보였다. 그 위에서 사람들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걸어간다. 출근 시간이라 대부분이 정장차림이다. 다리 밑에도 사람들이 천변을 따라 걸어간다. 그들은 다리 밑을 가로질러 천을 따라 오르거나 혹은 내려간다. 다리 위를 지나면 전철역이 나온다. 아침이면 사람들은 거기서 전철을 타고 서울로 출근한다. 다리 밑을 지나 천을 따라 오르면 저 앞에 북한산이 보인다. 사람들은 그 천변을 따라 구불구불 나 있는 산책로를 뛰거나 걷는다. 딱 구분되는 건 아니지만 다리 위를 지나는 사람보다 다리 밑을 가로질러 가는 사람들의 나이가 많은 편이다. 아마 그들도 조금 젊어서는 그 다리 위를 매일 같이 지나갔을 게다. 하지만 그렇게 하루하루를 보내다 어느 날 '어 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