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전
-
'알쓸신잡3' 유시민이 불편해한 논개 국가주의, 공감하셨나요?옛글들/명랑TV 2018. 11. 5. 09:35
‘알쓸신잡3’, 우리 시대에 맞는 논개 해석이 필요한 까닭“우리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논개라는 한 인간의 선택에 대해서 우리가 들어온 이야기가 국가주의 서사라는 거예요. 국가라는 어떤 권위 있는 인간조직을 위해서 한 여인이 국가를 위해서 뭘 한 것과 같이 스토리를 만들어낸 이 서사가 왠지 불편한 거예요.” 진주에서 펼쳐진 tvN 예능 에서는 그 지역에서 빼놓을 수 없는 논개 이야기가 화제로 올랐다. 우리에게는 왜장을 껴안고 강물로 뛰어들었다는 기생으로 알려진 이야기. 그래서 진주성의 촉석루에서 보이는 진주교의 다리 밑으로는 논개가 왜장을 껴안을 떼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끼었다는 황동가락지 모양이 조형물로 들어가 있었다.한 때는 이 논개의 이야기가 마치 국민이라면 누구나 숭앙해야할 애국적 서사로 읽혔..
-
故 김주혁 유작 ‘흥부’, 아쉬움 남지만 그래도 인상 깊었던 건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8. 2. 21. 10:12
'흥부', 해학과 웃음이 더해졌다면 훨씬 좋았을영화 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흥부전이 어떻게 탄생했는가를 담고 있는 영화다. 당연히 허구지만 그 탄생에 대한 재해석 속에는 현재적인 관점이 녹아 들어있다. 은혜를 갚은 제비가 물어다 준 박씨가 커다란 박이 되어 그걸 타자 엄청난 보물들이 쏟아져 나왔다는 이야기는 아마도 19세기 조선시대의 힘겨웠던 민초들의 꿈과 힘겨웠던 현실을 말해주는 것일 게다. 재해석된 영화 가 지금 2018년 서민들의 꿈과 현실을 담는 건 당연한 일이다. 는 여러모로 2016년 촛불정국을 그 재해석의 모티브로 그려내고 있다. 광화문 현판이 보이는 곳으로 횃불을 들고 모여드는 민초들의 광경은 2016년 너도 나도 들고 거리로 나오게 했던 촛불집회의 그것과 다를 바 없고, 조항리(정진영)..
-
'푸른바다', 왜 전지현 캐릭터가 심청인가 했더니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 7. 09:59
가 갖고 있는 흥미로운 심청전의 재해석 심하게 멍청해서 심청이다? SBS 에서 인간세상으로 나온 인어에게 허준재(이민호)는 그렇게 반 농담을 섞어 ‘심청’이란 이름을 붙여준다. 사실 바다와 관련 있는 심청이란 고전소설의 인물이 인어의 이름으로 떡하니 붙여진다는 건 흥미로운 접근방식이다.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공양미 삼백 석에 팔려 바다로 뛰어든 효녀. 하지만 용왕에 의해 죽지 않고 살아 돌아온 인물. 인어란 가상의 존재가 결국은 그렇게 바다로 사라져버린 사랑하는 사람들에 대한 수많은 그리움들이 만들어낸 것이라면, 심청 역시 그 부활의 기저에는 비슷한 맥락이 깔려 있지 않았을까. 그저 코미디의 하나로 농담 반 진담 반 ‘심청’이란 이름이 붙여진 것이 아니라는 게 명확해진 건 그녀가 사랑하는 허준재..
-
'마담 뺑덕', 정우성의 노출 말고 무엇이 남았나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10. 16. 11:36
, 제 아무리 정우성이 벗어도 안 되는 까닭 은 ‘심청전’을 현대적인 치정멜로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심학규(정우성)는 성추행 루머 때문에 지방으로 내려왔다가 거기서 덕이(이솜)를 만나 위험한 사랑에 빠진다. ‘욕망에 눈 멀다, 집착에 눈 뜨다’라는 포스터 문구가 보여주듯이 심학규는 점점 욕망에 빠져들어 시력을 잃어가는 남자이고, 덕이는 집착에 눈을 떠 파괴적인 사랑을 하게 되는 여자다. 심학규의 설정이 소설가인데다 영화가 그의 내레이션으로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고 있어 영화는 다분히 문학적인 느낌을 준다. 하지만 그러한 문학적 표현이 너무 지나치게 인물의 심리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는 것은 이 작품의 치명적인 오류다. 만남에서부터 갑자기 눈이 맞아 버리는 심학규와 덕이의 이야기에는 치밀한 심리 묘사가 빠져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