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만번 사랑해’, 그 고전적 스토리가 가진 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11. 9. 09:00728x90
‘천만번 사랑해’, 심청 모티브? 신데렐라 이야기? 모성애!
‘천만번 사랑해’는 여러 가지 이야기의 모티브들이 겹쳐져 있다. 그 첫 번째 이야기의 모티브는 우리네 고전 중의 고전, ‘심청전’이다.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공양미 삼백 석에 팔려 인당수에 몸을 던지는 심청이처럼, ‘천만번 사랑해’의 고은님(이수경)은 갑자기 쓰러진 아버지의 수술비를 벌기 위해, 대리모를 자청한다. 자살을 택하는 것이 비윤리적인 것이지만 그것이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이 심청이의 정당성을 만들어주는 것처럼, 대리모의 비윤리성은 아버지의 목숨을 위한 것이라는 사실이 고은님의 정당성을 만들어준다.
결국 아버지는 살려내지만, 자신의 살을 베어낸 것 같은 대리모의 아픔은 고은님에게 천형처럼 남는다. 스스로 사랑할 자격조차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 하지만 이 부분에서 신데렐라 이야기가 들어선다. 죽음 앞에 서 있는 아버지를 두고도 여전히 자기들 살 궁리에만 골똘하는 계모와 배다른 언니 난정(박수진)은 ‘신데렐라’ 속의 계모와 언니들의 전형을 그대로 보여준다. 게다가 난정이 좋아했던 현대판 백마 탄 왕자님 강호(정겨운)는 우여곡절 끝에 고은님을 좋아하게 된다.
심청의 이야기나 ‘신데렐라’의 이야기나 모두 그 바닥에 깔려 있는 것은 극단적인 신파와 판타지적인 해결이다. 심청은 아버지를 위해 희생하는 효녀로서 죽음이라는 바닥에서 절절한 눈물을 흘리지만, 결국 용왕에 의해 구출되어 왕후의 자리까지 오르게 된다. ‘신데렐라’는 상드리용(Cendrillon), 즉 재를 뒤집어 쓰다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으로, 늘 부엌 아궁이 앞에 앉아 일을 해서 붙여진 것이다. 즉 이 전형적인 구박받는 며느리 같은 ‘신데렐라’는 우여곡절 끝에 왕자와 결혼하는데, 이 모티브는 현대 트렌디 멜로의 전형이 되었다.
이러한 극단적인 신파의 끝에 극단적인 판타지를 제공하는 신데렐라 이야기는 ‘천만번 사랑해’의 핵심 모티브가 된다. 고은님은 대리모의 아픔을 숨기고, 자신은 더 이상 사랑조차 할 수 없는 죄인이라고 여기는 바닥에 내려서서 저 위에서 손을 내밀고 있는 강호를 만나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인 이야기는 이 고은님이 결국에는 자책감과 고통에서 벗어나 다시 행복을 찾는다는 것이 그 골자가 될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강호가 ‘신데렐라’ 이야기에서처럼 겉으로 보기엔 왕자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출생의 비밀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자신이 함께 살아온 엄마, 손향숙(이휘향)의 친 자식이 아니다. 그래서 집안에서도 늘 자신은 천덕꾸러기 신세로 살아온다. 이 지점에서 강호와 은님의 만남은 어떤 새로운 접합점을 갖게 된다. 그것은 모성애다. 즉 강호는 단 한 번도 살아오면서 모성을 가져본 적이 없는 인물이고, 은님은 대리모를 겪으면서 삶의 태도가 모성으로 바뀌어버린 인물이다. 강호의 모성 없는 빈자리는 은님의 모성이 채워준다.
이 지점에 이르면 이 ‘천만번 사랑해’의 이야기가 겉으로 갖고 있는 심청이나 신데렐라의 모티브는 드라마의 극적 재미를 위해 설정된 것일 뿐,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는 아니라는 것이 드러난다. 결국 은님과 강호의 행복은 다만 결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들은 모두 잃어버린 모성을 되찾아야만 행복에 이를 수 있다. 강호는 자신의 집안에서 정당한 자식으로서의 위치를 인정받아야 하고, 은님은 비밀처럼 숨겨진 대리모의 사건이 오히려 밝혀져 그 속의 상처를 치유해야 한다.
‘천만번 사랑해’는 이처럼 복잡한 이야기들의 모티브들이 마구 뒤엉켜 있지만 결국 모성애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러한 모티브가 갖는 힘을 무시할 수는 없다. 단지 모성애에 대한 이야기를 전격적으로 그려냈다면 아마도 이 드라마가 시청자들에게 주는 고전적인 판타지(즉 신파에서 판타지적 성공에 이르는)의 재미를 놓쳤을 테니까. ‘천만번 사랑해’는 분명 어딘가 지금 시대와는 어울리지 않는 퇴행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 주말 밤의 주 시청자들에겐 이러한 고전적인 이야기들이 주는 힘을 무시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현정의 미실, 드라마史에 남을 캐릭터 (1) 2009.11.11 ‘지붕 뚫고 하이킥’, 그 망가짐의 미학 (1) 2009.11.09 ‘수상한 삼형제’, 그 수상한 행보 (1) 2009.11.08 아이돌이 궁금해? 고미남에 빠져봐! (2) 2009.11.06 살맛 없는 세상, 살맛나는 드라마 (0) 2009.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