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막장이 ‘지붕 뚫고...’에 배워야 할 것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11. 24. 08:40728x90
‘지붕 뚫고...’, 시트콤으로 드라마의 한계를 넘다
도대체 이게 시트콤이 맞아? 우리는 아마도 시트콤을 오해해도 단단히 오해했었나 보다. ‘지붕 뚫고 하이킥’을 보다보면 이것이 웬만한 드라마보다 훨씬 재미있고 또 감동적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저 웃기기만 하는 것이 시트콤이라고 생각했다면, 이 시트콤은 웃음 위에 진한 페이소스를 얹어준다는 점에서 우리의 통념을 깨뜨린다. 게다가 이 가볍기만 할 것 같은 시트콤은, 그 경쾌함 위에 실로 진중한 무게가 느껴지는 의미를 전혀 어색하지 않게 척척 붙여낸다. 자극을 걷어내고 진실된 웃음과 의미를 붙여, 보는 이들을 유쾌하게 만드는 이 시트콤이 보여주는 자세가, 때론 막장으로 치닫는 작금의 드라마들에게 전하는 말은 그래서 결코 작지 않다.
이른바 막장 드라마가 가장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것은 인간을 마치 인형처럼 마구 다룬다는 점이다. 이해할 수 없는 자극적인 상황 속에 인물을 몰아넣고 마치 그 불행을 즐기듯 들여다보는 그 태도는 보는 이들의 마음까지 불쾌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 인물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여겨지는 순간, 어이없게도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것은 실로 시청자의 마음을 마음껏 갖고 놀겠다는 작가의 만행에 가깝다. 이 캐릭터에 대한 태도는 바로 작가가 인간을 바라보는 태도와 맥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작가가 시청자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를 에둘러 말해준다.
‘지붕 뚫고 하이킥’이 다른 점은 바로 이 인물들에 대한 작가와 연출자의 시선이 남다르다는 점이다. 이순재는 칠순의 나이에도 낯간지러운 애정행각을 벌이고 있지만(그래서 때론 엄청난 이벤트를 벌이기도 한다) 그것이 주책이라는 느낌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그 나이에도 여전히 활활 타오르는 연애감정에 시청자들은 응원의 마음을 갖게 된다. 세경과 신애의 상황은 어찌 보면 지나친 신파적인 설정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그것이 단지 눈물샘 자극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 혐의를 벗어난다. 우리는 꿋꿋이 살아가는 그들을 도와주는 이웃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현대인들의 바쁜 삶 속에 잊고 살아온 인간애를 발견하는 즐거움을 얻는다. 고개 숙인 아버지, 아들 앞에서는 그래도 당당한 모습을 보이려하는 아버지 정보석과, 그렇지만 힘없는 아버지를 자신의 어깨에 기대게 하는 아들 준혁(윤시윤) 사이에는 끈끈한 부자 간의 정이 느껴진다.
이러한 인물에 대한 애정은 “빵꾸똥꾸”를 연발하던 해리(진지희)에게서 극적으로 보여진다. 해리는 자기 물건에 손을 댔다며 신애의 뺨을 올려부치는 그 순간에 이 시트콤에서 가장 자극적인 캐릭터로 주목되었다. ‘아내의 유혹’의 패러디로 해리가 민소희로 변신할 수 있는 것은 이 어린 아이가 가진 캐릭터가 그만큼 독한 악역이라는 점 때문이다. 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자, 이 해리가 점차 어쩐지 불쌍한 아이라는 느낌을 주기 시작하고, 때로는 역시 ‘아이는 아이’라는 확신을 주기 시작한다. 신애가 쓰는 동화를 읽기 위해 갖은 일을 대신하면서 빨리 동화를 쓰라고 욕을 해대는 모습이나, 신애가 놀러간 하룻밤 내내 그 허전함을 참지 못하고 다시 만나는 순간 신애에게 달려가는 그 모습은 이 아이가 겉으로는 욕을 해대도 마음은 늘 애정을 갈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캐릭터에 대한 애정은 이 시트콤의 멜로 라인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정확하게 말하면 이 시트콤은 드러내놓고 애정을 과시하는 이순재-김자옥을 빼고는 아직 아무런 멜로 라인이 등장하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는 세경과 지훈(최다니엘), 세경과 준혁(윤시윤), 그리고 지훈과 정음, 준혁과 정음의 멜로 라인을 기대하게 된다. 지훈은 따뜻하게 세경의 어려운 점을 몸소 행동으로 챙겨주고, 준혁 역시 세경을 위해 보이지 않게 그녀를 도와준다. 반면 지훈과 정음, 준혁과 정음은 서로 툭탁 거리며 보기만 하면 으르렁대지만 바로 그런 점 때문에 어떤 애정라인이 생겨날 것 같은 기대를 준다.
그런데 실제로 멜로 라인은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기대감만 부풀뿐이다. 이것은 중요한 지점이다. 이들은 멜로의 기대감을 높이는 관계들이 중첩되어 있지만, 사실은 다만 멜로만을 얘기하고 있지 않다. 거기에는 누가 누구를 도와주든 그 바탕에 남녀관계를 넘어선 인간 대 인간 간의 따뜻한 애정이 깔려 있다. 이 휴머니즘 속에서 이들의 멜로 관계는 단순 사랑 타령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된다. 실로 막장드라마들이 쉽게 애정에 몰두하고, 그 애정의 반역과 불륜의 파탄을 자극으로 몰아가는 것과는 대조적인 양상이다.
‘지붕 뚫고 하이킥’은 이미 단순한 시트콤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그것은 이 시트콤이 우리에게 주는 웃음의 다양함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 시트콤은 정통 시트콤이 주는 폭소를 터뜨리게 하면서도, 크진 않아도 여운이 오래도록 남는 미소를 짓게 만드는 작품이다. 그러니 폭소에서 미소까지, 풍자가 주는 서늘함에서 인간애를 통해 보여주는 감동까지 주는 이 작품을 어찌 그저 시트콤이라는 수식어로 한정할 수 있을까. 시트콤이라는 장르가 오히려 드라마 바깥에 위치해 있어, 드라마가 가진 한계를 넘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작품. 그 곳이 이 시트콤이 서 있는 자리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병헌과 고현정, 연기자 파워란 이런 것! (0) 2009.11.30 영화와 드라마 사이, '아이리스'의 선택은? (1) 2009.11.25 주말극, 멜로를 보면 드라마가 보인다 (0) 2009.11.23 이준기의 '히어로', 왜 서민이 영웅일까 (2) 2009.11.19 '천하무적 이평강', 신데렐라일까 평강공주일까 (0) 2009.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