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와 드라마 사이, '아이리스'의 선택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11. 25. 15:49728x90
'아이리스', 드라마와 영화사이 길을 찾다
'아이리스'의 대중적 인기는 이례적이다. HD나 대형화 되어가는 TV로 인해 안방극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여전히 드라마는 영화와는 확연히 다른 장르이기 때문이다. 그간 시도되었던 일련의 블록버스터 드라마들, 예를 들면 '로비스트'나 '태양을 삼켜라' 같은 드라마들이 실패한 것은 그 때문이다. 그 실패는 영화적인 볼거리를 드라마적인 스토리가 따라가지 못한 데서 비롯됐다. 그렇다면 '아이리스'의 선택은 볼거리가 아닌 스토리였을까. 그렇지 않다. 이 드라마의 스토리는 새롭지 않다. 우리는 이 드라마 속에서 수많은 영화들과 드라마들에서 보았던 익숙한 설정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엇이 '아이리스'의 대중적인 성공을 가져왔던 것일까.
'아이리스'의 성공은 장르적인 공식에 충실한 스토리와 그 스토리를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해낸 연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드라마는 그런 점에서 세련된 장르 영화에 가깝다. 이미 반복되어 하나의 형식이 굳어져 있지만, 색다른 연출을 통해 여전히 보는 이에게 쾌감을 주는 장르 영화. '태양을 삼켜라' 같은 블록버스터 드라마 역시 장르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태양을 삼켜라'의 스토리나 연출은 영화적이라기보다는 지극히 드라마적이다. 영화 같은 장면들이 존재하지만 그것은 볼거리가 그렇다는 것이지, 영화처럼 장면이 주는 심리적인 효과가 그렇다는 것이 아니다. 스토리 또한 영화처럼 압축되어 있지 않고 상당히 느슨하게 풀어져 있다.
하지만 '아이리스'는 '태양을 삼켜라'와는 다른 방향을 선택했다. 장면 하나하나가 영화적인 볼거리를 주면서도 그 감각적인 영상이 주는 심리적 효과를 영화적인 차원에서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현장성을 부각하기 위해 끝없이 흔들리는 카메라나, 짧게 압축적으로 보여지는 장면들의 연결, 인물의 심리를 포착해내는 섬세한 카메라 앵글 등은 '아이리스'가 그간 보아왔던 블록버스터 드라마들의 영상과 확실히 차별되는 지점이다. 게다가 이 드라마는 스토리 또한 대단히 압축적이다. 첫 회의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벌어지는 김현준(이병헌)의 암살과 탈출의 장면들은 4회에서 반복되는데, 이 1회에서 4회 사이의 거리는 대단히 좁다. 그리고 4회에서 5회까지 이어지는 헝가리 시퀀스 역시 그 속도감은 여전하다.
이 속도감 위에 현준과 승희(김태희)가 아키타현으로 여행을 떠나서 보여준 멜로는 팽팽한 긴장감 속에 휴식처처럼 존재하는 이완감으로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이 매력적인 멜로구도는 이어지는 속도의 액션 위에 인물들이 감정을 싣게 해주는 힘이 된다. 이미 공식화된 장르적인 스토리는 오히려 이 감정과 아드레날린의 속도 위로 달려 나가는 쾌감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것은 마치 너무 복잡한 스토리의 영화보다 단순한 스토리 위에 현란한 장면들로 펼쳐지는 영화가 보다 관객을 몰입시키는 것과 같다.
이처럼 '아이리스'는 드라마라는 틀로 들어오면서 장르 영화적인 선택을 함으로써 초반부 폭발적인 몰입을 이끌어내면서 대중들의 마음 속으로 들어왔다. 하지만 문제는 그 다음부터다. 드라마는 영화와는 달리, 몇 시간 내에 끝이 나는 결과물이 아니다. 따라서 속도감 넘치는 장면들이 주는 몰입감은 시간이 지나면서 둔감해지기 마련이고, 그 때는 이제 점점 새로울 것 없는 스토리가 드러나게 된다. 즉 새로운 스토리의 부재는 이제 이 몰입감을 더 이상 끌어올리지 못하는 이유로 작용한다.
게다가 초반부 이 드라마는 영화적인 연출에 몰두하면서 중요한 시퀀스 하나를 버리는 실수를 했다. 그것은 현준과 선화(김소연) 사이에 벌어지게 되는 멜로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편집해 버린 것이다. 이 드라마에서 멜로는 끝없는 긴장감 속에 이완감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한데, 현준과 승희가 서로를 죽은 것으로 생각하며 갈라져 있는 시간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현준과 선화의 멜로가 잘 연결되지 않는 것은 실로 아쉬운 부분이다.
'아이리스'가 후반부로 가면서 점차 액션의 반복이 지루한 감을 주는 것은 여기에 얹어지는 적절한 새로운 스토리가 보이지 않는데다가, 그 속도를 어느 정도 제어해줄 수 있는 장치(이를테면 멜로나 코믹적인 인물 같은) 또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영화적 선택을 하면서 드라마적 고려를 잘 하지 못한 이 작품의 모순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드라마를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은 이병헌 같은 배우들의 호연이 있기 때문이다. 반복적인 액션 속에서도 이병헌의 감정 연기는 이 복잡하고 정신없이 달려 나가는 드라마를 중장년층 여성들마저 바라보게 만드는 힘이 있다.
'아이리스'는 드라마와 영화 사이에서 길을 모색하고 있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그 모색이 일정 부분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시행착오는 여전히 존재한다. 하지만 어쨌든 앞으로 매체적인 변화는 드라마와 영화 사이의 거리를 상당부분 좁혀놓을 것이 확실하다. 그런 점에서 이 작품이 거두고 있는 일련의 성과들은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될 것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쾌한 드라마, 불쾌한 드라마 (0) 2009.12.03 이병헌과 고현정, 연기자 파워란 이런 것! (0) 2009.11.30 막장이 ‘지붕 뚫고...’에 배워야 할 것들 (2) 2009.11.24 주말극, 멜로를 보면 드라마가 보인다 (0) 2009.11.23 이준기의 '히어로', 왜 서민이 영웅일까 (2) 200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