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드 넘버 원', 사전제작드라마가 아니었다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7. 28. 07:12728x90
'로드 넘버 원'의 높은 완성도와 남는 아쉬움
"봉순아. 보이는 겨. 이놈들이 사람이었구먼. 귀신이 아니고 사람이었어. 얼마나 집에 가고 싶었을까. 얼마나..." 어느 날 갑자기 징집되는 바람에 가족과 헤어져 전장에 와 있는 박달문(민복기) 이병이 적의 참호에서 쇠사슬에 묶인 채 도망치지도 못하고 처절하게 죽어간 북한군 병사의 사슬을 풀어주며 하는 대사는 '로드 넘버 원'이 어떤 드라마인가를 잘 드러내준다. '로드 넘버 원'을 가지고 애초에 '반공으로의 회귀'를 걱정했던 것은 기우에 지나지 않았다. 전쟁이 있고, 남과 북이 서로 총칼을 들이밀고 싸우고 있지만, 그들에게서 서로에 대한 증오보다 더 절실해 보이는 건 생존이다. 그들이 싸우는 것은 단지 승리를 위한 것만이 아니고, 가족이 있는 집으로 돌아가기 위한 것이다. '로드 넘버 원'은 바로 그 길, 가족으로 가는 길과 다름 아니다.
그 길은 단순해보이지만 험난한 여로다. 만일 평시였다면 아무런 이야깃거리가 되지 않았을 그 길은 전쟁이라는 상황 속에서 거의 모든 것이 이야기가 된다. '로드 넘버 원'은 강물 하나를 건너는 에피소드에 드라마의 시간으로서는 꽤 긴 30분 이상을 쓰고, 진지 하나를 넘어서기 위해 한 회 분의 시간을 사용하는 드라마다. 평시라면 단 몇 분의 에피소드에 그쳤을 길이지만 한 발자국 한 발자국이 힘겹기 만한 그 길은 이다지도 새로운 의미들이 피어난다. 누군가는 길 위에서 살고, 길 위에서 죽으며, 또 길 위에서 가족을 만나 하룻밤을 보내고 길 위에서 동료에게 총을 들이대기도 한다. 그 평범한 길이 예측불가능해진 건 전쟁 때문이다. 그러니 '로드 넘버 원'은 전쟁물이면서도 또한 로드무비이기도 하다.
그렇게 힘겹게 찾아간 고향은 또 어떨까. 가족을 만나기 위해 사선을 넘어 찾아온 오종기(손창민) 앞에 놓여진 고향의 모습은 절망 그 자체다. 가족이 마을사람들의 내부고발로 몰살된 것. 이것은 아마도 오종기 개인의 비극은 아니었을 것이다. 자신이 살기 위해 누군가를 지목하는 그 상황의 기억은 당대를 살아낸 이들이라면 누구에게나 남아있을 트라우마일 테니까. 이미 그들이 찾아갈 고향의 모습은 그들이 길 위에서 상상하던 그 고향이 아니다. 그 무엇도 희망이 되지 못하는 그 길을 포기하지 않고 걸어 나가는 이들의 발걸음은 어떤 면에서 보면 전쟁물의 차원을 넘어서 인간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마저 던지는 것만 같다.
'명령에 살고 명령에 죽는다'는 군인들의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계급이라는 구조는 종종 불합리한 그 얼굴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장우(소지섭)와 신태호(윤계상)의 계급 관계가 그렇다. 처음에는 신태호가 이장우의 상관이었지만, 고지 점령의 전과를 올린 이장우는 중대장이 되어 이장우의 직속상관이 된다. 하루아침에 호칭을 달리해야 하는 어색한 상황이 허용되는 그 길. 바로 전쟁이라는 상황이 만들어낸 그 길의 법칙이 사회의 축소판처럼 그려내는 모습들도 흥미롭다.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는 그 계급의 허용은 상관의 리더십이 그 구성원들에게 얼마나 깊은 영향을 미치는가를 잘 말해준다. 혹자는 계급을 자신만을 위해 사용하려하고 혹자는 승리하기 위해서만 사용하려 한다. 물론 이장우처럼 모든 이들이 무사히 고향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세운 이들도 있지만.
'로드 넘버 원'은 사전제작 드라마로서 꽤 높은 완성도를 갖고 있는 드라마다. 이것은 단지 뛰어난 영상의 완성도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드라마 스토리구조에 있어서도 '로드 넘버 원'이 거두고 있는 휴머니즘적 시각의 성과를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것이 가능했던 것 역시 사전제작이라는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이 큰 역할을 한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초반부의 분위기를 장악하며 전체적인 스토리의 균형을 흔든 이장우와 신태호 그리고 김수연(김하늘)의 멜로 라인은 옥에 티를 넘어서 드라마에 대한 매력을 떨어뜨려 놓았다. 왜 멜로를 그처럼 내세웠을까 하는 이유는 일면 이해가 된다. 전쟁드라마이기 때문이다. 전쟁드라마라면 떠올리던 반공이라는 트라우마를 넘어서기 위해서라도, 또 도외시될 수도 있는 여성 시청층을 공략하기 위해서라도 멜로는 필요했을 것이다.
하지만 바로 이 점은 '로드 넘버 원'의 한계로 작용했다. 오로지 김수연을 만나기 위해 전쟁에서 생존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이장우와 신태호의 모습은 지나친 멜로로의 귀결로 보일 수밖에 없다. 멜로가 아니라 휴머니즘 자체에 천착했더라면 어땠을까. 부대원들 개개인들이 갖고 있는 인간적인 이야기만으로도 충분히 멜로를 대체할 수 있는 힘이 있지 않았을까. 이 부분에서 아이러니하게 갖게 되는 생각은 드라마의 완성도를 만들어낸 사전제작 드라마가 또한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다. 만일 '로드 넘버 원'이 사전제작 드라마가 아니었다면 어땠을까. 초반부 멜로에 쏟아진 비판을 받아들여 어떤 궤도 수정이 가능하지 않았을까. 오로지 길 하나에만 집중해도 충분했을 이 완성도 높은 드라마에 못내 남는 아쉬움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이언트'의 대반전, 무엇이 거인을 일으켰나 (1) 2010.08.04 70년대가 피었습니다, 활짝! (2) 2010.07.29 장희빈은 왜 미실만큼 매력이 없을까 (3) 2010.07.27 구미호는 왜 인간이 되려할까 (2) 2010.07.26 까치의 부활? 옛사랑에 빠져드는 이유 (2) 2010.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