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야의 FM', 수애를 발견하는 두 시간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0. 10. 22. 10:55728x90
'심야의 FM'은 어떻게 수애의 껍질을 깼나
연기자의 자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뭘까. 연기력? 외모? 글쎄. 그럴 수도 있겠지만 많은 이들이 목소리를 꼽는다. 신뢰성 있는 목소리는 연기와 외모에 어떤 아우라를 갖게 해준다. 수애는 그런 배우다. 그녀의 착 가라앉은 안정된 목소리는 믿음을 주며 심지어 대단히 분위기 있는 여성의 아우라를 덧씌워준다. 그런 목소리로 커다란 눈에 그렁그렁 눈물이 맺히면 웬만한 사내들은 그걸로 넉다운이다. 수애는 목소리를 타고난 여배우다.
그런 그녀는 왜 자신의 소리를 부정하는 영화를 찍었을까. '심야의 FM'을 말하는 것이다. 이 영화는 스릴러를 장르로 삼고 있지만 소리로 시작해 소리로 끝나는 소리에 관한 영화다. 수애는 '심야의 FM'을 두 시간 동안 진행하는 DJ다. 이렇게 분위기 있는 목소리가 고요한 심야에 울려 퍼진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 수애의 신뢰가 가는 목소리는 앵커였다가 DJ가 된 선영이라는 캐릭터의 이력을 단박에 수긍하게 해준다. 게다가 그녀는 방송 멘트의 영역을 넘어서더라도 할 말은 하는 여자다.
문제는 바로 이 마성의 목소리에 지나치게 빠져버려 현실감각조차 잃어버린 한동수라는 연쇄살인범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그녀의 말 한 마디 한 마디를 지나치게 현실로서 추종하며 그저 말일 뿐인 진술들을 실행으로까지 옮기는 연쇄살인범. 한동수를 라디오라는 미디어에 열광하는 대중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면, 이것은 미디어, 특히 라디오가 가진 힘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만약 이것이 없었다면 히틀러가 대중들을 움직일 수 없었을 것이라고 그 강력한 힘을 일찍이 보여주었던 라디오. 라디오로 대변되는 미디어의 힘.
하지만 연쇄살인범이 선영의 삶 속으로 뛰어 들어오면서 상황은 역전된다. 그녀의 차분하게 가라앉은 신뢰감 가는 목소리는 차츰 떨리고 흔들리고 결국에는 방송에서는 절대로 할 수 없는 욕설까지 튀어나오게 된다. 그러면서 선영은 자신이 그동안 그토록 떠들어왔던 수많은 말들이 의심스러워진다. 이미 발화되는 순간 기억 속에서조차 지워버린 자신의 그 말들이 듣는 이들에게는 전혀 다른 힘으로 작용해왔다는 것. 그녀의 신뢰감 있는 목소리는 또 얼마나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어댔을까.
이렇게 수많은 말을 쏟아내며 그것으로 자신의 존재를 세우며 살아온 그녀가 이제 자신의 딸을 살리기 위해 연쇄살인범의 말을 하나하나 행동으로 옮겨야 된다는 것은 상황의 역전이다. 수 년 간 쏟아낸 말들의 보복을 두 시간 동안 압축해서 받아내며 그녀가 구해야할 존재가 아이러니하게도 말을 하지 못하는 딸이라는 것은 이 영화의 메시지를 분명히 해준다. 우리가 던지는 수많은 말들, 때론 감미로운 목소리로 때론 강압적임 목소리로 다른 사람을 움직인 그 말은 과연 얼마나 진심이었을까. 과연 그것은 진정한 소통에 이르렀을까. 라디오 같은 미디어는 과연 그 말의 진심을 제대로 전달하고 있는 것일까.
이 영화 속 모든 이야기는 다시 수애라는 목소리를 타고 난 여배우의 이야기로 돌아온다. 늘 단아하고 분위기 있는 그 목소리는 듣는 이에게 확실한 신뢰감을 주었지만, 그것이 과연 그녀가 가진 전부일까. 혹시 그녀의 더 많은 모습들은 목소리로 덮여져 보여지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 어쩌면 수애는 이 영화 속 선영이 겪은 껍질을 깨는 고통을 연기하면서 자신의 장점이자 한계로 지목된 그 목소리를 깨려 한 것은 아니었을까. 모든 사건이 종결되고 앰블런스를 타고 가면서 그녀가 "저기요 라디오 좀 꺼주세요"라고 말할 때, 혹시 그것은 더 이상 늘 단아함과 분위기 있는 목소리로 규정되던 자신의 이미지를 꺼달라고 말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또 "오늘이 여러분과의 마지막 밤이네요"라고 말할 때도.
"영웅은 고통 속에서 성장한다." '택시 드라이버'의 한 대목이면서 이 영화 속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이 대사는 그래서 수애를 두고 하는 말처럼 들린다. '심야의 FM', 그 두 시간은 온전히 수애가 연기자로서 한 껍질을 벗어내는 시간이 되었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량남녀', 임창정이어서 가능한 멜로란? (0) 2010.11.08 더스틴 호프만의 중년멜로, 그 특별함 (1) 2010.11.06 '방가 방가', 욕조차 뭉클해지는 영화 (2) 2010.10.01 '무적자', 왜 무국적자가 됐을까 (0) 2010.09.24 '마루 밑 아리에티', 소소한 소통이 주는 큰 즐거움 (0) 201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