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 정치 시대, '킹스 스피치'가 시사하는 것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4. 3. 08:30728x90
히틀러와 라디오로 한 판 붙은 말더듬이 왕, '킹스 스피치'
'킹스 스피치'
이미 많은 히틀러를 다룬 저술들이 말해주듯이 라디오는 나치즘을 말해주는 가장 대표적인 매체다. 만일 라디오가 없었다면 히틀러의 나치즘도 없었을 것이라 말해질 정도로. 라디오는 전형적인 일방향적인 매체다. 한쪽에서만 말을 한다. 그것은 당연히 듣는 다수를 상정한다. 한쪽이 입이면 다른 한쪽은 무수히 많은 귀가 있다. 선전도구로서 히틀러가 이만한 도구가 없다고 여긴 건 당연한 일이었을 게다.
게다가 라디오가 사용하는 청각이라는 감각은 시각보다 훨씬 강력하다. 본다는 행위는 능동적인 주의집중을 더 필요로 하지만, 듣는다는 건 굳이 집중하지 않아도 그 메시지가 전해지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 말이 가진 청각적인 특징은 종교적인 힘으로까지 발휘되기도 한다. '성서'에 그토록 많은 메시지들을 우리는 '말씀'의 형태로 받아들이고 있지 않은가.
'킹스 스피치'는 바로 이 라디오라는 매체가 말을 만나던 그 시대에 벌어지는 정치적인 변화의 상황들을 절묘하게 포착해낸다. 앨버트 왕자를 차기 왕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말더듬이 때문에 고민에 빠진 영국의 왕 조지 5세는 그에게 시대가 바뀌었다고 말한다. 이제 왕들은 국민들을 이끌기 위해 전장에 나가는 것보다 라디오 앞에서 연기를 해야 한다고. 앨버트 왕자의 말더듬이를 고치는 인물이 학위나 자격을 가지지 못한 연기자인 로그(제프리 러쉬)라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왕이 연기를 해야 하는 시대. 미디어 정치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조지 6세가 된 앨버트 왕자가 히틀러의 대중을 휘어잡는 연설을 보면서 "무슨 소린지 모르겠지만 말은 청산유수네"라고 하는 말은 그 라디오라는 매체가 가진 힘을 이제 앨버트가 인정하면서 거기에 맞서 말로서 승부해야 될 시점이 다가온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영화는 이 라디오라는 매체에 대한 흥미로운 관점들을 보여주고 있지만, 또한 앨버트가 말더듬이가 된 내적인 문제들, 즉 왕실의 억압을 벗어나는 그 성장의 과정을 담아냄으로서 스토리에 힘을 부여한다. 누구에게도 밝히지 못하는 그 내면을 평민인 로그에게 차츰 열어가는 그 치유의 과정은 두 사람이 친구가 되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런데 조지 6세가 말더듬이를 극복하고 연설을 하는 그 장면이 감동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단지 그 개인적인 성장이나 극복 때문이었을까. 아니다. 여기에는 히틀러로 대변되는 라디오 독재에 맞서는 자가 다름 아닌 말더듬이 왕이라는 사실이 숨겨져 있다. 연설문 내용은 통상적인 것일 수 있겠지만, 영화는 그 연설문의 한 줄 한 줄을 읽어가는 과정을 마치 말더듬이 왕이 벌이는 힘겨운 전투의 한 장면처럼 그려놓는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지 6세 앞에 서 있는 로그라는 평민의 존재다. 라디오라는 매체가 가진 힘은 그 후에도 루즈벨트에 의해 활용된 적이 있었고, 그로부터 7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선전에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다. 굳이 맥루언의 '미디어는 메시지'라는 말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이것은 라디오라는 매체의 속성 자체(일방향적, 청각적)가 가진 운명이다. '킹스 스피치'에서 히틀러와 다르게 조지 6세의 라디오 활용이 그려진 것은 거기 로그가 앞에 서 있기 때문이었다. 로그는 조지 6세가 연설에 들어가기에 앞서 이렇게 말한다. "저를 보고 얘기하는 것처럼" 얘기하라고. 즉 친구로 상정되는 듣는 대상이 서 있었기 때문에 같은 국민들의 눈높이에서 조지 6세는 진심을 담아 연설할 수 있었다는 얘기다.
물론 영화는 낭만적이다. 로그와 조지 6세는 그 후로도 친구처럼 나머지 생을 지냈다고 한다. 하지만 모든 라디오 권력자들이 조지 6세처럼 로그 같은 친구가 있는 건 아닐 것이다. 물론 매체는 또 변화를 겪었다. 그리고 이른바 미디어 정치 시대는 활짝 열렸다. 이미 라디오의 그 일방향적 속성은 인터넷의 쌍방향과 만나고 SNS와 연결되어 어느 쪽으로든 정보가 흘러가는 시대다. 따라서 이 시대에 라디오 같은 미디어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겠다면, 이제 말더듬이 같은 외형적 장애를 극복하는 것보다 더 중요해진 건 그 말이 갖는 진심일 것이다. 과연 지금 그 진심은 우리 대중들에게 닿고 있을까.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전’은 어떻게 전쟁영화를 넘어섰나 (2) 2011.08.10 '써니', 추억을 조립하는 재미 쏠쏠하네 (0) 2011.05.20 ‘블랙스완’, 소름은 어떻게 전율이 되었나 (0) 2011.03.08 이순재의 관록, 원작을 이겨내다 (0) 2011.02.19 설 연휴, 아이랑 볼만한 영화 뭐가 좋을까 (0) 2011.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