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런닝맨'은 알고보니 '무한게임도전'옛글들/명랑TV 2011. 12. 28. 10:12728x90
RPG로 진화한 '런닝맨', 어디까지 갈까'런닝맨'(사진출처:SBS)
'런닝맨', 그 시작은 미미했다. 그저 도시 공간에서 팀을 나눠 익숙한 게임을 벌이는 그런 버라이어티쇼라고 생각됐다. 그도 그럴 것이 게임이라는 것이 이미 스튜디오형 게임 버라이어티쇼나 '1박2일', '무한도전', '패밀리가 떴다' 등에서 시도됐던 야외형 게임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런닝맨'은 끊임없이 공간에 맞는 게임을 진화시켰고, '스파이'라는 개념을 넣어 제작진과 출연자들 간의 두뇌싸움을 시도하더니, 급기야 RPG(Role-playing game)로까지 발전시켰다. '런닝맨' 초능력자 특집은 그 결과물이다.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하하, 공간을 재배치할 수 있는 유재석, 분신술(?)을 사용할 수 있는 개리, 육감으로 모든 감각을 확장할 수 있는 김종국, 죽어도 다시 살아날 수 있는 지석진, 모든 이들의 능력을 꿰뚫어볼 수 있는 송지효 그리고 데스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이광수. SF, 판타지에서나 봤을 법한 캐릭터들이 총출동한 초능력자 특집은 이제 이 끝없이 진화하는 게임 버라이어티가 또 한 번의 전기를 마련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실 지금껏 게임 버리이어티쇼에서 캐릭터는 인물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었다. 캐릭터가 있기 때문에 게임은 그저 승패를 떠나 그 과정이 재미있게 된다. 즉 캐릭터들 사이에 관계의 이야기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초능력자 특집은 RPG게임에서 우리가 캐릭터를 정하면 그 독특한 능력이 자신의 캐릭터가 되듯이, 이제 이 게임 버라이어티가 캐릭터 또한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캐릭터의 시발점은 어찌 보면 런닝맨 출연자들의 등판에 붙인 이름표, 죽게 되면 나타나는 저승사자들(?), 그리고 게임에 활용됐던 통신수단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처음 이름표는 그저 출연자들의 존재를 알리고 승패를 위한(떼면 죽는) 도구로 활용되었지만, 차츰 그 이름표 뒤에 '스파이' 같은 비밀 캐릭터를 덧붙임으로써 RPG의 단계로 넘어오게 되었다. 초능력자 특집은 이 이름표를 활용한 캐릭터의 무한 확장 버전이다. 즉 개리가 갖고 있는 분신술은 사실 똑같은 '개리' 이름과 복장을 한 네 명의 캐릭터가 등장해 개리를 보호하는 콘셉트이고, 죽어도 다시 되살아나는 지석진은 이름표 안에 두 개의 이름이 더 붙어 있어 하나를 떼어도 두 개의 '생명'이 남는 콘셉트다.
여기에 시간을 되돌리는 하하나 공간을 되돌리는 유재석 캐릭터는 게임에서 죽게 되면 나타나는 저승사자들의 새로운 활용법이다. 중간에 게임을 하다가 시간을 되돌리면 저승사자들이 나타나 1시간 뒤의 상황으로 캐릭터들을 되돌려놓는 식이다. 또 육감을 활용하는 김종국은 그간 게임에 활용되었던 전화기와 무전기의 새로운 해석이다. 사실 통신수단이라는 것은 감각의 확장이 아닌가.
RPG 게임을 도입하자 스토리는 더 다양하고 풍부해졌다. 모두가 허무하게 죽게 된 상황에서 하하가 시간을 되돌리는 능력을 사용하자 다시 모두 되살아나 원점으로 돌아가게 된 것은 이 게임의 반전 요소 역시 이렇게 부여된 캐릭터를 통해 더 강화되었다는 걸 말해준다. 만일 이 RPG 게임적인 요소가 앞으로 적절히 활용된다면 '런닝맨'은 좀 더 복잡하지만 훨씬 더 흥미로운 게임 버라이어티를 구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실 RPG 게임은 이미 많이 알려진 것이지만, 이것을 TV예능프로그램에서 그것도 실제 인물들이 하는 것은 어쩌면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게임이 만일 '런닝맨' 초기에 시도되었다면 대중들이 이해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이제 대중들은 '런닝맨'의 게임은 물론이고 그 캐릭터 개념도 이해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초능력자 특집은 이제 더 이상 낯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도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그만큼 시간이 필요했지만 그 시간을 겪은 후에 나온 결과물은 대단히 고무적이다.
도대체 이 놀라운 게임 버라이어티쇼는 어디까지 진화할 것인가. 사실 게임 버라이어티에서 진화는 숙명인지도 모른다. 게임은 한 번 진행되고 익숙해지면 식상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그 반복적인 느낌을 계속 상쇄시켜주기 위해서는 진화가 필요하다. 물론 이건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새로운 게임을 도전하고 있는 '런닝맨'은 그래서 마치 '무한도전'이 취하고 있는 끝없는 형식 실험의 게임버전을 보는 것만 같다. '런닝맨'이 '무한게임도전'처럼 보이는 건 그 때문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S연예대상', 개념 시상식된 비결 (0) 2012.01.01 '무한도전', 왜 홀대받은 느낌일까 (0) 2011.12.31 빈손 김병만, KBS에 밉보였나 (5) 2011.12.26 '정글'과 '남극', 오지에서 발견한 것은 (0) 2011.12.25 류담|별을 빛나게 하는 별 (1) 201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