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달희와 장준혁, 당신이 원하는 의사는?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7. 2. 9. 08:56728x90
봉달희, 장준혁이 보여주는 의사의 모습
‘병원드라마’의 새 장을 열어 가는 ‘외과의사 봉달희’와 ‘하얀거탑’. 하지만 시청자들이 열광하는 이 드라마들의 봉요원 분)와 장준혁(김명민 분)으로 대변되는 의사의 모습은 전혀 다르다. 물론 이 두 드라마에 나타난 의사의 모습은 극화된 것. 실제 의사와는 거리감이 있다. 하지만 이 두 드라마는 모두 의사에 대한 환타지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소망하는 혹은 욕망하는 의사의 모습을 드라마라는 형식 속에서 보여주고 있다.
현실적인 전문가 vs 이상적인 풋내기
장준혁이란 캐릭터에 투영된 의사상의 한 단면은 권력이다. 장준혁 스스로 얘기했듯이 “자신은 최고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말처럼 거기에는 늘 권력이 개입되어 있다. ‘하얀거탑’에서 그려지는 1인 체제의 구조는 극화된 것일 뿐 우리나라의 현실은 아니다. 그럼에도 장준혁이란 캐릭터에 매료되는 것은 그것이 의사사회를 떠나 우리 사회가 가진 권력 지향적인 조직의 모습을 고스란히 대변하기 때문이다.실력만큼, 혹은 실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처세라는 현실은, 어찌 보면 우리 의사사회와는 거리감이 있는 이 드라마의 구조조차 받아들이게 만드는 힘이 있다. 우리는 똑똑하고 최고의 기술을 가진 자가 그 능력을 약자를 위해 쓰기를 바라지만 실제 현실은 그런 자들이 그 힘을 권력을 잡는데 사용한다는 것. 시청자들이 열광하는 것은 바로 이 살 떨리는 리얼한 현실에 있다.
반면 봉달희라는 캐릭터는 현실보다는 이상을 꿈꾸게 한다. 실력은 없지만 환자를 위해 달리고 또 달리는 모습은 우리가 이상으로서 꿈꾸는 의사상이다. 능력보다 중요한 것은 마음이라는 것. 의술보다는 인술이라는 것. 이 이상적인 풋내기는 모든 환자들의 질병을 자기 몸처럼 아파하며 그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하지만 마음만으로는 생과 사를 오가는 환자를 살려낼 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부자들을 위한 vs 가난한 자들을 위한
권력에 올인하는 의사와 오로지 인술에만 매진하는 의사의 모습을 그리다 보니 이 두 드라마가 살려내는 환자들은 그 대상이 달라졌다. ‘하얀거탑’의 장준혁은 세계외과학회장의 부인을 수술하기 위해, 평범한 권순일 환자를 희생시킨다. 드라마는 이 두 장면을 극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짧게 끊어가면서 교차편집을 했는데, 그 대비되는 모습이 보여주는 현실은 역시 섬뜩한 것이었다.수 차례의 수술을 시도했고 이젠 더 이상 고치기 힘든 상태의 세계외과학회장 부인은 장준혁의 노력으로 살아났고, 이상징후를 보였지만 재빨리 처치했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권순일 환자는 죽었다. 이것은 시쳇말로 “부자들에게 암은 병도 아니지만 가난한 자들에게는 감기도 두려운 병이다”라는 냉정한 현실을 보여준다.
반면 ‘외과의사 봉달희’에 등장하는 환자들은 저마다 사연도 많은 평범한 사람들이다. 특히 봉달희는 말단 의사이다 보니 접하는 환자들이 평범 이하일 경우가 많다. 당연히 ‘외과의사 봉달희’가 보여주는 현실은 가난한 자들의 그것이다. 그것은 돈 5백 만 원이 없어서 자살 기도한 환자의 치료비가 2천만 원이 넘고, 치료비에 허덕일 부모를 위해 자살을 기도하는 아이의 현실 같은 것이다.
수직적인 조직 vs 수평적인 조직
두 드라마의 상반된 조직형태의 모습은 또한 의사상의 한 단면들을 보여준다. ‘하얀거탑’에 등장하는 의사조직의 구조는 피라미드형. ‘하얀거탑’이라는 제목의 드라마에서 전형적인 수직적 권력구조가 보여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과장이라는 꼭대기에 있는 ‘직책’을 얻기 위해 갖은 권모술수도 마다 않는 장준혁의 이야기가 이 드라마의 반을 차지한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단지 욕망을 쟁취하는 한 인간의 모습을 그리려는 것이 아니다. 그러니 일찌감치 장준혁에게 그 과장이란 ‘직책’을 부여하는 것이다. 나머지 반은 따라서 이 피라미드 구조 꼭대기에 불안하게 선 장준혁의 이야기가 이어질 것이 분명하다.이 구조에서 시청자들은 두 가지의 상반된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현실적인 욕망의 추구에 따른 카타르시스와 함께, 그 절정에 오를수록 더 절실해지는 이상, 즉 의사로서의 본분에 대한 양가감정이다. 이것은 우리가 조직생활을 통해 갖는 두 감정과 일맥상통한다. 상승욕구와 함께 그럴수록 더 증폭되는 회의감과 불안감 말이다.
반면 ‘외과의사 봉달희’가 그려내는 의사조직의 구조는 수평적이다. 물론 교수, 부교수가 있고 수련의가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기능적인 구분일 뿐이다. 봉달희는 그 긴장된 수직적 체계 속에서도 자신의 할 이야기를 다 하는 당찬 여자다. 심지어는 교수와 ‘연애하자’고 말할 정도로. 그녀가 원하는 것은 외과의사라는 ‘직업’이지 ‘직책’이 아니다. 이것은 또한 시청자들이 조직의 모습에서 바라는 환타지에 불과한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그 조직체계 속에서 진정으로 찾아가고 싶은 병원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른 듯 하면서도 같은 환타지
언뜻 보면 이 두 드라마는 우리가 생각하는 의사상에 대한 서로 다른 환타지를 그려내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것은 이 드라마들이 주제를 전달하는 다른 방식에서 비롯될 뿐 궁극적으로 하려는 이야기는 같다. ‘하얀거탑’은 부정적인 코드로 이야기를 전달한다. 즉 ‘욕망과 권력만을 추구하는 한 의사의 추락’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외과의사 봉달희’는 긍정적인 코드로 ‘이런 의사가 있다면 병원 가고 싶은 캐릭터의 성장’을 보여준다. 한쪽은 추락하고 다른 한쪽은 성장한다. 두 드라마에서 우리가 결국 원하는 것은 사필귀정이다.그럼에도 이 의사에 대한 환타지를 통해 보여지는 우리네 의사들의 모습은 참으로 혹독하다. 최고의 실력을 가진 천재의사들은 인술보다는 권력에 눈멀어 있고, 마음만은 환자 이상이라 자기간이라도 빼줄 정도로 뛰는 풋내기 의사들은 실력이 없다는 것. 그래서 ‘부자들은 살아나고 가난한 자는 죽는다’는 것. 또 그네들을 위한 양극단의 의사, 즉 오로지 권력과 부를 축적하기 위한 부자의사와, 의사 본연의 사람 살리는 길만을 고수하는 가난한 의사가 존재한다는 것. 실제 의사의 모습이 어떻든 간에 이것이 병원드라마라는 환타지 속에서 우리네 시청자들이 생각하는 막연한 의사상이 아닐까.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달희와 안중근, 열정적 인간 vs 냉정한 의사 (0) 2007.02.16 장준혁과 최도영, 당신은 어느 편인가 (1) 2007.02.12 ‘인간 의사, 봉달희’의 재미 (0) 2007.02.02 원작 없는 문화, 뼈대 흔들린다 (0) 2007.01.26 드라마 성패를 좌우하는 연기자들 (0) 200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