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도>, 이 절묘한 복수극의 끝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5. 23. 08:55728x90
눈에는 눈, <적도>의 복수극에 담긴 함의
이제 그 단순하게 시작되어 점점 고조되는 반복되는 배경음악만 들어도 우리는 <적도의 남자(이하 적도)>를 떠올릴 수 있다. 갑자기 시간이 멈춘 듯한 장면 속에 대면하는 것조차 불편할 수밖에 없는 두 사람이 서 있다. 겉으로는 친구처럼 행동하지만, 그 이면에 공격성과 복수심을 감추고 있기 때문에 그 느릿느릿 움직이는 장면의 긴장감은 고조될 수밖에 없다.
'적도의 남자'(사진출처:KBS)
이 '불편한 상황'이 끊임없이 반복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드라마 자체가 하나의 연극적인 느낌을 주기도 한다. 심지어 실험적인 심리극처럼 여겨질 때도 있다. 그 안에 놓인 사람들, 즉 선우(엄태웅)와 그와 관계된 사람들(장일(이준혁), 진노식 회장(김영철), 수미(임정은), 이용배(이원종), 최광춘(이재용))과의, 혹은 사건 속에서 불편해진 사람들(예를 들면 진노식 회장과 이용배, 이용배와 최광춘 같은)간의 이면이 발가벗겨진다.
김경필이 죽었고 그들은 모두 이 죽음 앞에 죄를 지었다. 진노식 회장은 살인을 미수했고, 이용배는 자식의 앞날을 위한다는 욕망에 사로잡혀 살인을 저질렀으며, 최광춘은 그것을 목격하고도 덮어버렸다. 또 아버지가 김경필을 죽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장일은 사실을 캐내려는 친구 선우의 뒤통수를 치고 바닷물에 던져버렸고, 수미는 그 장면을 목격하고도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그렇게 모든 게 덮어지는 줄 알았다. 선우가 눈을 뜨고 다시 돌아오기 전까지는.
선우의 복수극은 이들이 묻어버린 진실을 하나씩 끄집어내 그들의 눈앞에 던져 놓는 것이다. 죄 위에서 성공한 후, 그 죄 자체가 없는 것처럼 살아온 그들에게 이만한 형벌은 없다. <적도>의 복수극이 질깃질깃하고 여타의 복수극과 확연히 다르게 여겨지는 건, 그 복수과정이 단번에 이뤄지지 않고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이다. 선우는 너무 쉬운 복수를 원하지 않는다. 그는 자신과 아버지가 당한 것들을 똑같이 그들에게 되돌려주려고 한다.
흥미로운 것은 복수의 양상이 과거 그들이 저질렀던 죄로 그들에게 되돌아온다는 점이다. 도심의 빌딩 옥상에서 벌어진 과거 바닷가 벼랑에서의 사건을 재현하는 수미와 선우와 장일의 퍼포먼스는 연극적일 정도로 의미심장하다. 여기서 선우는 장일이 벼랑 끝에서 자신에게 저질렀던 행위들을 똑같이 재현한다. 장일은 선우에 의해 빌딩 난간 끝으로 몰린 채 당시 선우가 느꼈을 그 배신감을 경험하지만 거기서도 끝내 용서를 구하지 않는다. "선우야 그 때 내가 널 더 세게 쳐서 죽여 버렸어야 됐는데."하고 그는 말한다.
하지만 선우의 진짜 복수는 장일의 아버지 이용배의 죽음으로 이루어진다. 자식인 장일에게 피해가 가는 걸 원치 않는 이용배는 유서를 남긴 채 자신이 매달았던 김경필처럼 스스로 목을 매단다. 그것을 본 장일은 선우가 그랬던 것처럼 오열한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똑같은 상황으로 복수를 하는 셈이다. 사실을 알고도 덮어버린 최광춘은 바로 그 사실을 안다는 것 때문에 이용배에 의해(그가 자살하기 전에) 뒤통수를 맞는데, 이것은 진실을 파헤치려다 뒤통수를 맞는 선우가 겪은 일의 현재적 재연이다.
사실을 목격하고 그것을 그림으로 그리고도 장일을 가지려는 욕망 때문에 사실을 숨겨온 수미는 그 그림이 선우에 의해 만천하에 공개됨으로써 무너져버린다. 장일이 다시는 그녀에게 돌아올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진노식 회장은 어떻게 될 것인가. <적도>가 그려내고 있는 이 절묘한 복수극의 양상을 생각해보면 그 결말이 예측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자신이 사랑했던 여자가 딴 남자(아마도 문태주의)의 아이를 가졌다고 오해함으로써 그 분노가 어이없게도 김경필의 죽음으로까지 이어지게 된 진노식 회장의 경우, 실제로는 그 아이가 자신의 친 아들이라는 사실에 의해 복수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이 복수의 대상에는 복수를 하고 있는 선우 또한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그는 과거 자신이 겪은 고통을 그들에게 그대로 되돌려주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 또한 복수에 눈이 멀어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진노식 회장이 자신의 아버지라는 사실은 선우에게 부메랑처럼 돌아온 가장 큰 보복인지도 모른다. 이 드라마의 첫 회 첫 장면을 다시 떠올려 보라. 절망적인 장일이 진노식 회장에게 총을 겨누고, 이제는 거꾸로 선우가 그 앞을 가로막는 장면을. 이 얼마나 기가 막힌 상황인가.
그렇다면 이 과거가 똑같이 현재에 반복되는 복수의 양상은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모든 죄와 벌이 그러하듯이 그것은 상대방이 당한 고통을 똑같이 겪으며 참회한다는 의미가 들어가 있을 것이다. 즉 어떤 의미에서 보면 복수극이란 가해자와 피해자가 똑같은 공감에 이르는 이야기다. <적도>의 복수극은 이미 지나버린 과거의 묻혀 사라진 듯한 그 고통이 다시 우리 눈앞에 펼쳐지고 지금 살아남은 자들에게 똑같은 고통으로 되돌려지는 과정이다. 그래서 <적도>를 보다보면 그 안에 담겨진 역사의식 같은 것을 보게 된다. 어쨌든 진실의 역사는 은폐되거나 거스를 수 없다는 것.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적자>, <적도>의 빈자리 채울까 (0) 2012.05.31 '빛그림', 도돌이표 드라마의 한계 (3) 2012.05.30 캐릭터의 반격, <신만찬>에 무슨 일이 (1) 2012.05.21 다 갖춘 이승기, 이젠 아우라를 가져야 (6) 2012.05.20 <스탠바이>가 <하이킥>보다 나은 점 (2) 201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