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드 같은 <유령>, 그 선전의 의미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6. 16. 08:15728x90
멜로, 가족 없이도 선전하고 있는 <유령>
<유령>은 기존 우리네 드라마와는 다른 점이 많다. 우선 우리 드라마에 반드시 있기 마련인 멜로가 두드러지지 않는다. 같은 사이버 수사팀에 김우현(소지섭)과 유강미(이연희)가 있지만 이들 관계는 멜로라기보다는 서로 돕는 관계에 가깝다. 유강미는 김우현의 비밀(사실은 박기영(최다니엘)이라는)을 알고 그를 적극적으로 돕지만 두 사람 사이에 멜로 같은 화학반응은 없는 편이다.
'유령'(사진출처:SBS)
이 드라마의 또 하나의 특징은 주요 인물들의 가족 관계가 중요하게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김우현의 아버지나 조현민(엄기준)의 아버지는 물론 이 드라마의 사건에 깊이 관계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것은 일반적인 우리 드라마의 가족관계와는 다르다. 유강미나 박기영의 가족관계는 다뤄지지 않는다. 따라서 부모들이 등장해 주인공의 감정을 뒤흔들거나 영향을 주는 그런 장면들은 등장하지 않는다.
멜로와 가족관계가 별로 드러나지 않는 <유령>은 그래서 쿨하다. 이것은 사랑과 가족애 사이에서 끈적끈적한 정에 휘둘리는 우리네 전형적인 드라마와는 다르다. 오히려 미드나 일드를 닮았다. 인물들의 관계보다는 사건과 에피소드 중심으로 흘러가고, 감정의 늪에 빠지기보다는 아드레날린을 자극하는 서스펜스와 속도감 있는 스토리 그리고 반전의 힘에 더 의지한다.
이런 드라마 스타일은 한때 멜로와 가족 드라마에 식상해한 대중들의 요구에 의해 등장했던 전문직 장르 드라마의 계보라고 볼 수 있다. 늘 삼각 사각 멜로들이나 출생의 비밀이 난무하는 가족드라마들이 양산되면서, 그 새로운 탈출구로서 미드나 일드를 통해 발견한 장르적인 접근을 시도하게 됐던 것. 하지만 이러한 전문직 장르 드라마들은 차츰 사라지거나, 기존 우리 드라마의 요소들 즉 멜로나 가족관계 등과 섞여지기도 했다. 드라마 주 시청층인 중장년층들에게 낯설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런 흐름에서 보면 <유령>은 다분히 도발적이다. 더 엄밀한 전문직 장르 드라마의 계보를 잇고 있기 때문이다. 멜로도 가족관계도 드러나지 않는데다가 소재적으로도 쉽지 않다. 해커들이 벌이는 사이버 테러의 양상은 그 용어들이 생소할 수밖에 없다. 상세한 설명 자막이 있다고 해도 시청자들이 웬만큼 집중하지 않으면 따라가기가 어렵다. 그만큼 <유령>은 쉽지 않은 소재를 쉽지 않은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놀라운 건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인 지지도가 높은 편이란 점이다. <각시탈> 같은 누가 봐도 이야기 흐름을 쉽게 알 수 있고 전형적인 우리네 드라마 형태인 멜로와 가족관계의 이야기가 분명한 드라마가 15%(agb닐슨)의 시청률을 내고 있는 와중에, <유령>이 12.2%의 시청률을 낸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도대체 어떤 점이 주효한 것일까.
먼저 특유의 속도감을 지목하지 않을 수 없다. <유령>은 보통 우리네 드라마였다면 몇 회 분량이 되었어야 하는 에피소드를 단 한 회에 쏟아 부을 정도로 압축적이다. 그만큼 속도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제 6회를 방영했을 뿐이지만, 박기영이 김우현으로 페이스오프한 상황은 거의 밝혀지고 있다. 또 일찌감치 좀 더 거대한 사건과 연루된 것이 분명한 신효정 살인사건의 범인이 조현민(엄기준)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이 드라마가 스토리나 아이디어면에서 차고 넘친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하지만 사건들이 그저 먼 나라 얘기처럼 여겨졌다면 이 속도감 넘치는 롤러코스터에 선뜻 시청자들이 동승할 수 없었을 것이다. <유령>은 우리에게 익숙한 연예인 루머라든가, 타진요 사건, 디도스 공격 같은 사이버 범죄를 먼저 소재로 끌어냄으로서 대중들의 관심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목하고 싶은 건, 이런 사건들의 에피소드로 꾸려지는 드라마들이 가진 맹점인 툭툭 끊어질 수 있는 이야기 흐름을 <유령>은 전체를 꿰뚫는 사건을 통해 잘 봉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예인 자살사건과 디도스 공격에 이은 국가 주요기관 시스템 공격까지 에피소드들이 나눠지지만, 그것은 또한 조현민이라는 김우현이 쫓는 유령(팬텀)으로 다시 모아진다. 각각의 에피소드와 전체 드라마의 흐름을 잘 조화시키고 있다는 것은 이제 이 김은희라는 작가(그녀는 <싸인>의 작가이기도 하다)가 본격적인 전문직 장르드라마의 틀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사실 <유령>은 다른 드라마들에 비해 쉽지 않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대단히 매력적이다. 쉽다는 것은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드라마라고 하면 그저 그런 것의 반복이라고 스스로 인정하기 때문은 아닐까. 왜 드라마는 새로운 소재를 다루고 새로운 시도를 하면 안 되는 것일까. <유령>은 그런 점에서 비슷비슷한 우리네 드라마들 속에서 유령 같은 존재가 아닐 수 없다. 그것도 대단히 바람직하고 반가운.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적자>의 대결, 뻔하지 않은 이유 (1) 2012.06.21 <신사의 품격>, 그 판타지와 현실 사이 (0) 2012.06.18 <각시탈>이 민족주의를 넘는 방법 (0) 2012.06.15 <추적자>에는 <아저씨>도 <마더>도 있다 (0) 2012.06.12 <닥터 진>, 이게 어디 조선의 얘기인가 (0) 2012.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