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현무는 왜 퇴사할 수밖에 없었을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2. 9. 2. 08:00728x90
KBS 아나운서들의 잇단 퇴사, 이유 있다
전현무 아나운서는 왜 퇴사할 수밖에 없었을까. 물론 그 첫 번째는 금전적인 이유일 것이다. 한 프로그램을 하는데 직원으로서 고작 1만8천 원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프리선언을 하면 작게는 몇 십배에서 몇 백배의 출연료를 받을 수 있다. 물론 캐스팅이 되어야 그것도 가능한 일일 것이지만. 좋든 싫든 자본주의 시장 체제에서 살아가는 샐러리맨들에게 있어서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는 누구든 외면하기 어려운 일이고, 그걸 활용하는 것이 그렇게 나쁜 일도 아니다.
'전현무'(사진출처:KBS)
물론 본 글에서 하려는 이야기는 전현무의 선택이 옳은 것인가 아닌가 하는 그런 것이 아니다. 전현무 개인의 문제보다 더 심각하게 바라봐야 할 사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KBS라는 공영방송의 조직운용의 문제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KBS 아나운서실이 과연 제대로 운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이 질문을 던지기 앞서서 전현무 아나운서의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그가 변화되고 있는 방송 환경 속에서, 변화하지 않고 있는 KBS 아나운서실의 문제를 제대로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먼저 KBS 아나운서실의 규모에 대한 질문부터 시작하자. 아마도 대중들에게 KBS 아나운서 중 기억에 남는 이들이 몇 명이나 되느냐고 묻는다면 적게는 서너 명에서 많아도 다섯 명을 넘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KBS 아나운서실에는 무려 90여 명에 이르는 아나운서들이 있다고 한다. 어떻게 이렇게 많은 방송의 얼굴이라 칭해지는 아나운서들이 존재하는데, 우리가 기억하는 아나운서는 몇 명에 지나지 않을까. 이것은 몇몇 대중들에게 주목받는 아나운서들에게 거의 방송 프로그램이 의지하고 있다는 얘기다. 왜 이렇게 기형적인 조직 운용에 이르렀을까.
가장 큰 문제는 아나운서실이 변화하고 있는 방송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방송 프로그램들이 일제히 인포테인먼트화 하면서 시사와 뉴스를 빼고는 예능적인 요소와 결합하지 않는 방송 프로그램이 없어진 지 오래다. 심지어 <짝>처럼 다큐로 시작해 예능과 결합한 프로그램이 나오기도 하고, <정글의 법칙>처럼 다큐 팀과 예능 팀이 함께 프로그램을 만들기도 한다. <비타민>처럼 건강의학정보도 이제는 예능처럼 인포테인먼트로 풀어내지 않으면 대중들이 잘 보지 않는 시대다.
그런데 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아나운서들은 그들이 본래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 MC 자리를 연예인들에게 내줄 수밖에 없었다. 즉 연예인 MC 전성시대는 거꾸로 말하면 아나운서들이 자기 자리를 잃기 시작한 시대라고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몇몇 시사나 뉴스에 자리매김한 아나운서들이나 예능에 적응한 아나운서들은 예외지만, 그렇지 못한 아나운서들은 사실상 갈 곳이 없게된 상황이다. KBS 아나운서실에는 심지어 하루에 잠깐 보도 몇 번 하는 걸로 고액의 연봉을 받는 아나운서들도 많다고 한다. 공영방송으로서 KBS가 국민의 혈세로 운용되는 점을 생각해보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그나마 전현무처럼 예능과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에 적응한 MC들은 어떨까. 그들 몇몇은 사실상 KBS의 많은 프로그램을 움직이는 동력이다. 그런데 이렇게 다른 아나운서들과 비교해서 과중한 업무를 하고 있는 이들의 성과는 조직에서 알아주지 않는다. 정해진 연공서열에 의해 책정된 연봉체계로 봉급이 주어지고, 프로그램 수에 따라 고작 1만8천 원 정도의 출연료를 받을 뿐이다. 게다가 이렇게 예능에까지 진출하는 아나운서들을 아나운서실에서 좋게 봐주는 것도 아니다. 사실상 방송사는 예능이 먹여 살리고 있지만 사내에서 예능은 저 밑으로 보고 있는 게 실제 정서다.
이러니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전병헌 의원(민주통합당)이 27일 공개한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지난 7년 간 무려 18명이나 되는 아나운서들이 프리랜서 활동 등을 이유로 퇴사하게 된 것이다. 물론 돈 문제가 가장 클 수 있지만, 변화되고 있는 방송 환경 속에서 아나운서실의 잘못된 조직 운용도 이들의 선택에 일조한 면이 있다는 얘기다. 이런 조직에서는 열심히 일할 수 있는 의욕 자체가 생겨나지 않는다. 보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예능인 다 됐다’는 식으로 낮게 보는 시선까지 있으니 그럴 바엔 나와서 연예인화되는 길을 걷게 되는 셈이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아나운서들이 조직 내에서 성장하지 못하고 밖으로 나와 다시 프로그램에 합류하게 되면 방송사로서는 이중의 부담을 갖게 된다. 즉 아나운서라면 적정한 포상금으로 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던 것을 이제는 몇 백 배의 출연료를 지급하면서 방송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현무가 빠져나간 자리에 들어오는 연예인들은 더 많은 비용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그 돈은? 바로 우리가 낸 세금이다.
물론 모든 아나운서가 예능에 적응할 필요는 없다. 제대로 된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진행하려면 오히려 예능을 피하고 자신의 말에 신뢰를 쌓는 길을 걷는 게 맞다. 하지만 아나운서들이 모두 뉴스나 시사 프로그램을 꿈꾸고 또 거기에만 길이 있는 것도 아니다. 다양한 아나운서를 요구하게 된 방송 환경 속에서 이제 아나운서들도 그 적성과 특기에 맞게 특성화시켜 운용할 필요가 있다. 그저 아나운서를 다 동일하게 보고 여기 자리 비면 다른 사람이 채우는 땜빵식으로 운용된다면 KBS 아나운서실의 미래는 찾기가 어려울 것이다.
전현무의 퇴사는 물론 개인적인 선택이다. 거기에는 개인적인 이유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안에는 또한 KBS의 아나운서 조직이 가진 문제가 바탕에 깔려 있다. 아나운서로 들어왔지만 그 누구보다 열심히 예능에 뛴 전현무라는 존재는 그래서 어찌 보면 이 달라지는 방송 환경에 달라지지 않는 아나운서실 속에서 홀로 저 혼자 달라지려 몸부림친 아나운서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어쨌든 달라진 시대에 아나운서들의 운용도 달라져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잘하는 아나운서들은 결국 퇴사하는 악순환은 반복될 것이다.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능작가의 가능성 보여준 이우정 작가 (0) 2012.09.08 드라마보다 이 다큐에 열광한 까닭 (1) 2012.09.03 왜 대중들은 은정에 동정하지 않을까 (3) 2012.08.30 그 누가 카라를 친일로 내모나 (1) 2012.08.29 사회적 공포, 귀신을 넘어선 까닭 (1) 201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