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래하는 가수들이 온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7. 3. 24. 08:52728x90
TV가 버린 가요, 라디오로 회귀하나
침체된 가요계에도 봄은 오는가. 최근 라디오를 통해 또 라이브 무대를 통해 그동안 실종되었던 우리네 가요들이 조금씩 귓가에 들려오기 시작했다. 이것은 마치 봄날 눈 녹듯이 서서히 그러나 확실한 변화라고 밖에 할 수 없는 가요계 전반의 움직임으로 다가오고 있다. 그것은 바로 ‘보는 음악’에서 ‘듣는 음악’으로의 회귀이다.
눈감고 음미하게 만드는 관록의 중견가수들
그 변화의 중심에 서 있는 이들은 90년대 가요의 호황을 이끌고는 한동안 긴 동면을 하고 있던 중견가수들. 이승환, 현진영, 이승철, 신해철, 신승훈, 김현철, 김동률, 김건모 등이 그들이다. 이들은 모두 최근 십대 중심의 댄스음악시장으로 침체된 분위기에, 일제히 신보를 들고 나왔다. 그들의 면면을 하나하나 열거할 수는 없지만 한 마디로 압축해 말한다면 “역시 관록! 아직도 쟁쟁하다”는 것이다. 그 노래들은 과거나 지금이나 한결같이 ‘눈을 감고 음미하게 만드는’ 구석이 있다.그들이 동시에 비슷한 행보를 보이는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숨어있다. 가장 큰 이유는 과거 90년대 가요계의 호황을 만들었던 7080이라는 구매력을 갖춘 가요소비층이 존재한다는 것. 그동안 몇몇 기획사들이 독점하다시피 한 가요시장이 다양성보다는 10대 중심의 획일성을 보여왔고 이로써 그간의 가요소비층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지점에서 중견가수들의 복귀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그간 가창력과 음악성으로 승부해온 가수들의 든든한 뒷심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섹시컨셉을 벗어나려는 가수들
‘10대 중심의 가요’라는 상품기획에는 반드시 댄스뮤직이라는 장르와 TV라는 매체의 결합이 포함되어 있다. 즉 나이 지긋한 사람들이 팔짱끼고 앉아 듣는 음악보다는 좀더 ‘참여하고 행동하는 음악’으로서 댄스뮤직은 10대의 전유물이 되었고, 그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는 TV는 ‘보는 음악’에 폭발적인 엔진을 장착시켰다. 가수들은 점점 더 현란한 댄스와 파격적인 의상으로 무대에 올랐다. 이른바 섹시컨셉가수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왔다.그러나 이들은 처음 몇 번 눈길을 끌면서 눈을 즐겁게 해줬는지 모르겠지만 귀는 그다지 즐겁지 못했다. 그래서일까. 최근 이들 섹시컨셉가수들은 발라드라는 장르를 선보이거나(이효리), 섹시컨셉을 벗으려 하거나(서인영), 가창력과 도전적인 여성상으로의 변신을 꾀하고(아이비) 있다.
비트보다 멜로디를 택한 힙합
그나마 힙합이 우리의 귀를 즐겁게 해줬지만 여기에는 하나의 과제가 존재한다. 그 하나는 힙합이라는 장르가, 마치 이전 가요계에서 정통 록이 처한 위치에 서 있다는 것. 너무 파격적이면 대중성이 따르지 않고 적절한 타협(?)은 자칫 정체성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파격적이라는 것은 힙합이나 정통 록 자체가 갖는 특성(이를테면 저항정신 같은)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타협이라 함은 서구장르를 우리 것화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지칭하는 것이다.따라서 정통 힙합의 인기는 대중성보다는 매니아적인 특성이 강하게 되었다. 몇몇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바비 킴이나 윤미래 같은 아티스트는 그저 힙합이라 부르기보다는 ‘바비 킴적인’, ‘윤미래적인’이란 수식어가 더 잘 어울린다. 그들의 성공은 힙합의 성공이라기보다는, 힙합이란 장르 속에서 살아온 그들이 우리 가요문화와 절묘한 결합을 이뤄냈다는 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만들어내 성공한 힙합(?)들의 특징 역시, 퍼포먼스적인 랩보다 멜로디성이 강조된 ‘듣는 음악’이라는 점에서 최근의 가요경향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라디오, 비디오스타 죽일까
이러한 ‘보는 음악’에서 ‘듣는 음악’으로의 회귀에는 재미있는 현상이 있다. 그것은 TV와 라디오 사이에서 가요가 점차 라디오 쪽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점이다. 가요순위 프로그램들의 TV로부터의 퇴출은 사실상 이 ‘보는 음악’이 자초한 결과가 크다. ‘TV 가요 프로그램 = 10대 프로그램’이라는 인식이 박히게 되면서 요란한 의상에 현란한 몸 동작이 난무하는 가요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점점 떨어진 것. 게다가 자정에나 편성되는 라이브뮤직 프로그램들은 그저 명맥만 유지할 뿐, 과거의 영광을 가져다주지는 못했다.이제 TV와 가요가 동거하던 시대는 끝나고 있는 것 같다. 대신 그 자리를 차고 들어오는 것은 라디오다. 이것은 TV가 가요를 버렸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라디오라는 특성이 지금의 ‘듣는 음악’으로의 회귀현상과 잘 맞아떨어지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언제 어디서나 쉽게 들을 수 있고, 듣는 것만으로도 만족감을 주는 공개방송이란 장점을 가진 라디오는 기획과 상품화로 치달으면서 가요계가 처한 현실을 본 모습으로 돌리는 기능을 해준다. 여기에 컴퓨터와 라디오가 만나자 그 폭발력이 더해진다. 컴퓨터라는 일상도구에 자연스럽게 음악이 붙게된 것이다.
비디오가 라디오스타를 죽였다(Video killed the Radio star)고 하지만, 이제는 라디오가 비디오스타를 죽이는(Radio killed the Video star) 시대가 아닐까. 역시 노래는 귀로 듣는 것이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호필의 문신에 빠지다 (0) 2007.06.22 ‘고맙습니다’의 또 다른 주연, 푸른도 (0) 2007.05.29 전문직 드라마가 말해주는 시청률 (0) 2007.03.24 캐릭터, TV의 아이콘이 되다 (0) 2007.03.12 퓨전사극 ‘주몽’이 남긴 숙제 (0) 2007.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