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콘', ‘오성과 한음’, 이들을 껴안아주고 싶은 이유옛글들/명랑TV 2013. 6. 19. 09:31728x90
빵빵 터지다 먹먹해지는 실업청년들의 한 방
한음아 이따 저녁에 뭐 먹을래? 불고기 어때? 별론데? 그럼 숯불갈비 먹을까? 고기 말고 밥 먹자. 그럼 전주비빔밥 먹자. 그냥 참치 마요네즈 먹을래. 그래. 삼각김밥은 그게 최고야. 새로 나온 날치알 먹어봤냐? 그건 원 플러스 원 아니잖아.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오성(김진철)과 한음(이혜석)이 캐치볼을 하며 이런 대화를 나누는 곳은 아마도 변두리 공터 어디쯤일 게다. 모두가 서울로 출근해서 텅 비어버린 한낮에 동네 한 귀퉁이에서 저녁으로 어떤 삼각김밥을 먹을까 고민하는 이들의 얼굴은 무표정하다. 희망조차 사치인 이들 실업청년들은 그 단단한 현실의 절망 덕분에 좀체 웃지도 울지도 화를 내지도 못하는 얼굴이 되어버린 듯하다.
한 치 앞도 안 보이는 답답한 현실이다. 2002년 월드컵의 감동을 이야기하다가, 그 감동이 월드컵 경기 때문이 아니고 당시 광화문 사거리에서 지갑을 주운 것 때문이라는 사실을 말한다. 지갑 안에 들어있던 ‘만 사천 구백 원’을 그리워(?) 하며 “그 때처럼 막 쓰고 싶다”고 말하는 대목에서는 빵 터지다가도 마음 한 구석이 저릿해진다.
모두가 누리거나 즐기는 어떤 것들이 이들에게는 생계가 되는 현실을 ‘오성과 한음’은 애써 무덤덤하게 표현한다. “오랜만에 해외에 나가서 바람이나 쐬고 오자”는 말에 “이번에도 새우 잡냐?”고 말하고, 클럽에 마치 놀러갈 것처럼 얘기하다가 “주방은 오천오백 원, 홀서빙은 사천구백 원”이라고 말하며, 차에 여자 태우고 여자 집에 간 친구에게 “좋았겠네”라고 말하자 “그럼. 일산은 대리비 2만원이거든”이라고 말하는 식이다.
심지어 보이스 피싱을 당하면서도 “다행히 구천 원은 인출이 안된다”며 안도하는 이들은 함께 근무하면서 월급도 제 때 나오고, 유니폼도 쫙 차려입고, 교회도 열심히 다녔던 ‘군대 시절’을 그리워하며 “아 다시 삽질하고 싶다”고 말한다. 가진 것 없고 미래도 보이지 않는 변두리 청년백수들이지만 이들이 보이는 허세는 그래서 가진 자와 갖지 못한 자들의 선명한 대비를 만들어낸다. 당장 로또 한 장 살 돈도 없으면서 10억이 돈이냐 말하는 허세가 그렇다.
너 로또 되면 10억 당첨 되면 뭐 할거야? 10억이 돈이냐? 요즘 10억 갖곤 강남에 집 한 채도 못 사. 그렇긴 하지. 10억 은행에 넣어봤자 한 달 이자 이백도 안 나와. 하긴. 너 이번 주 로또 샀어? 아직 돈 모으고 있는 중이야. 다음 주에는 같이 사러 가자. 그 때까지 무리야.
여자 친구도 없을 법한 그들이 그래도 자존심을 지키려 하는 여자 이야기는 그 대상이 온통 연예인들뿐이다. 김태희나 이민정, 한혜진, 이효리 같은 언감생심 꿈에도 못 꿀 연예인들을 끌어다 마치 사귈 것처럼 고민하는 대화는 그 엄청난 격차 때문에 큰 웃음을 주지만 쓸쓸함을 남긴다. “김태희와 자기가 사귀면 누가 더 아깝냐”는 말도 안 되는 질문에 그래도 친구라고 고민하는 모습이 그러하며, 모두 남자친구가 있다는 친구 이야기에 말이라도 “뺐을까?”하고 던져보는 허세가 쓸쓸하다.
어딘지 허무함까지 느껴지는 이들이지만 그 힘없는 캐치볼의 대화 속에는 세상을 향한 뾰족한 풍자들도 숨어 있다. 영어공부해서 미국 간다는 친구에게 가서 뭐할 거냐는 말에 “대변인.”이라고 천연덕스럽게 하는 얘기나, 욕을 막 하며 “취업 준비 중”이라는 친구에게 어디를 갈 거냐고 묻자 “우유회사”라고 하는 얘기, 또 끝말잇기에서 ‘아베’라는 단어가 나오자 “할 말이 없다..”고 속내를 드러내고 십센티의 ‘아메리카노’를 “아 베 아 베”로 부르는 친구에게 누구 노래냐고 묻자 “십 센티? 십팔 센티인가?”하고 말 장난 개그를 거는 식의 얘기가 그렇다. 현실에서 멀어져 있는 이들은 뒤틀어진 세태에 대한 공분을 저들의 언어 속에 담아낸다.
한음아. 넌 다시 태어나면 뭐가 되고 싶냐? 난 거위. 왜? 꿈이 있잖아. 넌? 난 갈매기가 될 거야. 왜? 새우과자 배터지게 먹을 수 있잖아.
거위나 갈매기로 다시 태어나고 싶다는 이들의 이야기가 어찌 우스울 수만 있을까. ‘오성과 한음’이 그리는 세태 풍자는 이처럼 한없이 맥빠진 허무의 세계를 보여주지만 그 깊은 허무가 어디서부터 비롯되었는가를 더 명쾌하게 보여주는 면이 있다.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애써 무덤덤한 듯 얘기하고 있는 이들의 처절함. 이것이 이 개그가 가진 빵빵 터지다가도 먹먹해지는 한 방이 아닐까.
<개콘>이 그간 직설화법으로 던진 세태 풍자들이 답답한 세상에 대한 속 시원한 일갈을 보여주었다면, ‘오성과 한음’은 그 한없는 무표정과 캐치볼처럼 하릴없이 반복되는 어눌한 대화를 통해 이들과 현실 사이에 놓여진 엄청난 괴리감을 실감하게 해준다. 오랜만의 <개콘>다운 풍자정신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을 다시 되살려낸 <개콘>의 현실감각이 반갑고 또 반갑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박' 복불복보다 '런닝맨' 게임이 나은 이유 (1) 2013.06.25 '정글', 왜 자꾸 다큐가 되려는 걸까 (1) 2013.06.23 이혁재, '일밤' 출연 희망 멘트 왜 논란 커졌나 (1) 2013.06.18 강용석에 대한 호불호, 왜 극과 극으로 나뉠까 (1) 2013.06.17 강호동, 유재석보다는 김구라를 모델 삼아야 (2) 2013.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