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썰전', '마녀', '비정상', 지상파는 이런 토크쇼 못 만드나옛글들/명랑TV 2014. 7. 16. 09:18728x90미남들의 수다 <비정상회담>, 연예인 토크보다 낫네
JTBC에서 새로 시작한 토크쇼 <비정상회담>의 상승세가 심상찮다. 2회 만에 2%에 육박하는 시청률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 참신한 형식이 대중들의 시선을 잡아끌기 때문이다. 반면 같은 시간에 방영된 SBS <힐링캠프>는 지상파라는 플랫폼 우위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이 4%대까지 추락했다. 항간에는 이제 연예인 신변잡기 토크쇼는 식상하다는 얘기가 심심찮게 나온다.
'비정상회담(사진출처:JTBC)'
토크쇼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고들 말한다. 주중 11시대를 거의 장악하다시피 했던 토크쇼들이 일제히 고개를 숙이고 있다. 유재석이 이끌던 <놀러와>가 폐지되었고 강호동의 <무릎팍도사> 역시 폐지되었다. 이 양대 스타 MC가 현재 출연하고 있는 <해피투게더>와 <별바라기> 역시 시청률은 물론이고 화제성에 있어서도 그다지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토크쇼가 고개를 숙인 이유는 물론 토크쇼라는 형식 자체가 가진 한계 때문이다. 아무래도 스튜디오에서 말을 중심으로 하는 소통은, 요즘의 리얼리티 카메라 시대에 진정성의 면에서나 영상적인 측면에서나 약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런 태생적인 한계만이 이유일까. 그렇지 않다. 토크쇼는 최근 생긴 트렌드가 아니고 오랜 세월을 버텨냈던 방송의 고전적인 형식이다. 중요한 건 형식 자체가 아니라 시대에 맞는 진화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JTBC가 작년부터 올해까지 내놓은 일련의 토크쇼들은 토크쇼의 추락이 태생적인 형식의 한계가 아니라는 걸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썰전>, <마녀사냥> 그리고 최근 시작한 <비정상회담>이 그 새로운 토크쇼들이다. <썰전>은 토크쇼의 지평을 정치와 비평 분야로까지 넓혔고, <마녀사냥>은 19금 연애 토크쇼의 새장을 열었으며 <비정상회담>은 해외 각국의 청년들을 출연시킨 글로벌 토크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최근 시작한 <비정상회담>은 그 형식과 기획면에서 토크쇼의 새로운 진화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외국인들이 출연하는 토크쇼가 <비정상회담>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미녀들의 수다>가 그런 시도를 했던 적이 있다. 하지만 미녀가 아닌 미남들을 출연시킨 부분은 이 토크쇼의 괜찮은 차별화라고 여겨진다. 즉 <미녀들의 수다>가 문화 다양성을 알려주는 좋은 취지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늘 불편하게 여겨졌던 건 ‘미녀’라는 출연자들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선입견과 편견 때문이었다. 때로는 마치 성 상품화하는 듯한 느낌에 논란이 생긴 건 그 때문이다.
하지만 미남들(?)이 출연하면서 이런 불필요한 논란의 소지는 사라져버렸다. 또한 이들이 함께 모여 나누는 대화의 주제 역시 훨씬 과감해졌다. 혼전동거를 소재로 심지어 자신들의 동거 경험을 커밍아웃하는 이야기는 <미녀들의 수다>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좀체 기대하기 힘든 일이다. 물론 이것은 비지상파로서 JTBC가 갖는 플랫폼의 특성 때문에 가능한 소재이기도 할 것이다. 사실 <마녀사냥>이나 <썰전> 역시 그 형식의 참신함과 도발성은 지상파가 다룰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썰전>의 정치 토크는 그렇다 치고 ‘예능심판자’ 같은 코너는 지상파 3사를 모두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 바깥에 있는 종편이나 케이블 같은 방송사들에서나 가능할 수 있는 형식이다. <마녀사냥>의 19금 토크 역시 마찬가지다. 이를 지상파에서 시도하려 했다가 불편함만 잔뜩 양산했던 <화신>이나 <매직아이> 파일럿은 그 단적인 사례다. <비정상회담>에서도 새로운 형식 위에 파격적인 토크 주제를 얹을 수 있는 건 그것이 종편이라는 틈새 플랫폼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비정상회담>은 연예인이 아닌 여러 나라의 외국인청년들이 출연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예인 토크쇼의 신변잡기에 지친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이것은 또한 토크쇼의 경제적인 선택이기도 하다. <비정상회담> 같은 토크쇼는 초호화 게스트 섭외에 열을 올릴 필요가 거의 없다. 그만큼 비용 대비 효과도 좋다는 얘기다.
지상파 토크쇼의 추락. 이것은 어쩌면 지상파가 가진 역설적인 한계인지도 모른다. 한때는 적은 비용으로 그만한 효과를 거둔 효자상품이었던 토크쇼는 이제 종편이나 케이블로 그 주도권이 넘어가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저 뒷북치듯 따라 하기 바쁜 지상파 토크쇼들의 태만 역시 그 이유로 지목된다. 위기의식을 좀 더 느낀다면 지금처럼 여전히 연예인 신변잡기만 늘어놓는 토크쇼를 반복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해진 '정글의 법칙', 모두가 김병만이 될 순 없다 (0) 2014.07.20 예능의 달인 이경규, 왜 요즘은 잠잠해졌을까 (0) 2014.07.19 '개콘'의 ‘참 좋은’ 부활, 힘들어도 ‘렛잇비’ (1) 2014.07.15 '룸메이트', 어쩌다 비호감 연예인만 만들고 있나 (1) 2014.07.15 '무도'에서 빛난 책임지는 리더 유재석의 진심 (1) 2014.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