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스맨>, 타란티노식 유머와 007 스파이액션의 만남
쿠엔틴 타란티노식의 유혈이 낭자한 폭력 미학과 007식의 스파이액션이 만나면 이런 그림일까. 우리에게는 <킥애스>로 잘 알려진 매튜 본 감독의 <킹스맨 : 시크릿에이전트>의 액션이 서 있는 지점은 절묘하다.
사진출처 : 영화 <킹스맨>
첫 시퀀스부터가 그렇다. 마치 제임스 본드처럼 잘 차려입은 누가 봐도 스파이인 사내가 누가 봐도 제임스 본드 같은 영국식 절도의 권총 액션을 보여주지만 그 후에 등장하는 건 발이 칼날로 되어 있는 여 고수에 의해 반 토막 나는 사람들이다. 앞부분이 007 스파이액션을 기대케 한다면 그걸 바로 도륙하는 건 이 영화가 그렇게 젠틀맨의 겉모습만이 아닌 적나라한 타란티노식의 유혈낭자 액션 히어로를 그릴 거라는 걸 암시한다.
그런데 이 흐름은 또 엉뚱하게도 에그시(태런 애거튼) 같은 청년의 성장드라마로 그려진다. 영화는 흥미진진한 액션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지만 그래도 하나의 메시지를 잡아내는 건 바로 이 루저로 살아가던 청년이 어떻게 젠틀맨이 되어 가는가 하는 지점이다.
<킥애스>에서 청소년물에 피가 철철 흐르는 액션을 시침 뚝 떼고 잘도 연결해낸 매튜 본 감독은 역시 <킹스맨>을 통해서도 몸이 반으로 나뉘는 그 살벌한 긴장감과 함께 심지어 그것을 블랙유머로 승화시키는 면모까지 보여준다. 만일 타란티노가 이 영화를 봤다면 박장대소하며 즐거워 했을 지도 모를 장면들이 <킹스맨>에는 가득하다. 특히 이 영화의 클라이맥스에 해당하는 ‘폭죽(?)’ 장면은 영화 속 대사 그대로 놀라운 스펙타클을 보여준다.
당연히 영화는 청소년 관람불가다. 게다가 스파이 액션은 이미 냉전시대가 끝난 후 007 시리즈를 통해 보여진 것처럼 끝물 아니냐는 관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킹스맨>이 이토록 대중들의 열광을 얻어낸 것은 그 액션 자체가 독특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매튜 본 감독 특유의 인간관과 이질적인 것들을 엮어내는 연출 덕분이다.
007 시리즈가 힘이 있었던 것과 또 힘이 빠졌던 것은 모두 냉전시대가 가진 흑백논리와 선악구도 덕분이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게 단순하게 구분되는 시대가 아니다. 적인지 아군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존재들이 때로는 자기만의 논리에 빠져 무수한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기도 하는 시대. <킹스맨>의 베테랑 요원 해리 하트(콜린 퍼스)가 갖고 있는 압도적인 살상 능력은 그가 어느 편에 서느냐에 따라 든든한 기사가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악마 같은 괴물이 되기도 한다.
즉 매튜 본 감독이 바라보는 인간관은 성악설에 가깝다. 가만히 내버려두면 무슨 짓을 저지를 줄 모르는 존재, 때로는 그 위협이 엄청난 결과를 만들어내기도 하는 그런 존재가 매튜 본이 바라보는 인간이다. 바로 이 인간관은 이 스파이 액션에 타란티노식 유혈 미학이 곁들어지면서도 그 안에 젠틀맨이 되어가는 청년의 성장담을 담아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킹스맨>의 놀라운 선전은 우리가 지금껏 봐왔던 액션과는 사뭇 다른 결을 갖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놀라운 균형감각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스파이 액션의 틀 위에서 폭력 미학이라고 해도 좋을 자극적인 액션을 보여주면서도 감독이 갖고 있는 인간관에 대한 이야기를 적절히 메시지로 담아내는 능력. 이것이 <킹스맨>이라는 이종 액션 영화의 매력이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수의 시대', 어쩌다 신하균의 몸으로만 남았을까 (0) | 2015.03.07 |
---|---|
'그레이', 로맨틱은 성공적, 하지만 흥행은 글쎄 (0) | 2015.03.04 |
'강남1970', 유하 감독에게 강남은 어떤 의미였을까 (2) | 2015.01.30 |
'허삼관', 이 탈경계의 아버지는 왜 감동을 줄까 (0) | 2015.01.20 |
'언브로큰', 일반화하지 않은 안젤리나 졸리의 선택 (0) | 201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