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 엄마들의 포르노? 로맨스가 더 세다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에 붙은 ‘엄마들의 포르노’라는 캐치 프레이즈는 확실히 강렬하다. 주로 남성들에 의해 소비되는 것으로 치부됐던 ‘포르노’라는 단어에 ‘엄마들’이 수식어로 붙었으니 말이다. 그러니 이 ‘포르노’는 남성들의 그것과는 확실히 다르다는 뉘앙스가 이 표현 속에는 담겨 있다. 그것은 도대체 뭐가 다를까.
사진출처 : 영화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그것은 단지 육체적인 성적 쾌감만을 추구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것은 물리적이기보다는 화학적인 반응들이 더 많이 전제된다. 즉 처음 순수한 영문학도인 아나스타샤가 억만장자인 그레이를 만나 나누는 대화에서조차 그런 성적인 느낌이 묻어난다. 무언가 자기만의 세계에 갇혀 있는 듯한 신비로운 인물 그레이에게서 아나스타샤는 살짝 묻어나는 우울과 자책 같은 것들을 읽어낸다. 그 말 몇 마디와 눈길을 주고받는 과정에 생겨나는 설렘 같은 화학작용은 아마도 여성들에게는 육체적이고 물리적인 성적 쾌감보다 훨씬 더 자극적일 수 있다.
게다가 이 그레이를 둘러싼 매끈하고도 우아하며 귀족적으로 잘 정돈된 세계는 여성들의 로망을 자극한다. 그레이는 영문학을 전공하고 있다는 아나스타샤에게 토마스 하디 쪽이냐 아니면 제인 오스틴 쪽이냐를 물을 정도로 감성적인 면모도 갖고 있다. 하지만 그 감성은 그가 아나스타샤에게 토마스 하디의 <테스> 초판본을 선물해줄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통해 더욱 부각되는 면이 있다.
그는 뭐든 해줄 수 있는 인물이다. 원한다면 시애틀의 밤 풍경을 전용 헬기를 태워보여 줄 수도 있고 자동차 하나쯤은 졸업선물로 줄 수도 있는 능력자다. 하지만 이렇게 완벽한 경제적 조건과 잘 생긴 외모, 그리고 감성과 지성을 겸비한 인물이 사실은 어린 시절의 깊은 상처를 안은 채 자기만의 제국에서 은밀한 삶을 살고 있다는 건 묘한 동정심과 모성애를 일깨운다.
이 사랑할 수밖에 없는 매력적인 인물이 가진 치명적인 성적 취향은 그래서 이 ‘로맨틱’이 심지어 ‘포르노’ 같은 파국과 갈등하고 긴장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즉 이 ‘로맨틱’한 그레이의 겉면과 어찌 보면 짐승 같은 본능을 끄집어내게 만드는 ‘포르노’ 같은 성적 세계는 마치 존립이 불가한 이율배반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하나로 묶여져 있다는 것이다. 로맨틱을 전제하지만 성적 본능은 때론 포르노 같은 세계로 관계를 이끌어간다.
흥미로운 건 도무지 그 ‘포르노’ 같은 가학-피학의 세계 속으로 들어갈 수 없을 것 같던 아나스타샤가 기꺼이 그 세계로 들어가려 하게 되는 것은 단지 그 쾌감을 경험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레이가 겪었던 그 어린 시절의 상처를 똑같이 공감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그녀는 그를 사랑하기 때문에 ‘포르노’의 세계로 들어가지만 그것을 감당해내는 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영화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는 그런 점에서 보면 ‘포르노’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로맨스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물론 원작 소설은 훨씬 더 ‘엄마들의 포르노’에 적합한 자극들이 들어 있을 수밖에 없다. 시각보다는 청각, 혹은 문학적 상상력이 오히려 여성들의 성감대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영화는 상당 부분을 시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문학작품이 그려내는 감각적 묘사들의 우아한 자극을 영상을 통해 100% 구현해낸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아마도 이 영화가 지나치게 성적인 영상으로 흐르지 않고 오히려 남녀 간의 로맨틱한 화학작용에 치중한 건 그래서일 게다. 어쨌든 로맨스에 포인트를 맞춰 본다면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는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영화로서의 흥행성공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킹스맨' 펄펄 나는데 '그레이'는 왜? (0) | 2015.03.13 |
---|---|
'순수의 시대', 어쩌다 신하균의 몸으로만 남았을까 (0) | 2015.03.07 |
'킹스맨', 무엇이 이 청불 영화에 불을 붙였나 (3) | 2015.02.20 |
'강남1970', 유하 감독에게 강남은 어떤 의미였을까 (2) | 2015.01.30 |
'허삼관', 이 탈경계의 아버지는 왜 감동을 줄까 (0) | 201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