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균성의 다중인격에는 무언가 특별한 게 있다옛글들/명랑TV 2015. 3. 26. 09:08728x90
대중들이 다중이 강균성에 빠져든 까닭
화장실 급한 JYP, 갓 태어난 박정현, 하동균의 모창을 한다면서 갑자기 “왜 이러셩”하며 저팔계로 넘어가고, 정인을 흉내 내다 꼬부랑 할머니의 모습을 연출한다. 요즘 예능 대세로 불리는 강균성에게는 확실히 지금껏 우리가 봐왔던 예능인들의 개인기와는 사뭇 다른 무언가가 숨겨져 있다.
'비정상회담(사진출처:JTBC)'
사실 성대모사나 모창 같은 개인기라는 것 자체가 현재의 예능에서는 공룡화되어가는 과거의 유물이다. 그런데 이 강균성의 개인기는 다르다. 보면 볼수록 또 다른 개인기를 자꾸 보고 싶게 만든다. 그것은 강균성의 모창은 기존 우리가 봐왔던 여타의 개인기들과 달리 반전요소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그는 똑같은 걸 흉내 내려 하지 않고 심지어 비슷하지 않은 것도 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흥미로워진다. 우리가 늘 봐왔던 <K팝스타>의 심사위원으로 앉아 있던 JYP에 ‘화장실이 급하다’라는 수식어를 덧붙였을 때 나오는 독특한 지점은 우리가 보지도 상상하지도 못했던 것들이다. 누군가의 모창이 비슷한 점을 강조한다면 강균성의 모창은 비슷한 듯 보이지만 다른 점을 강조한다.
여기서 돋보이는 건 강균성이라는 인물이 보여주는 다층적인 모습이다. 그가 ‘다중인격’으로 불리는 건 짧은 순간에도 계속해서 색다른 모습들이 보여지기 때문이다. 그는 차분해 보이다가도 갑자기 특유의 “음하하하하-”하는 웃음과 함께 어딘지 악동 같은 느낌으로 돌변하는가 하면 난데없이 팔굽혀펴기를 하는 듯 보이더니 특유의 ‘음란(?)’한 동작으로 좌중을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그의 다중인격적인 모습은 모창과 어우러질 때 독특한 쾌감을 선사한다. 우리가 생각한 연예인의 이미지를 모창을 통해 무너뜨릴 때 그 권위적 요소들이 해체되어 버린다. 그가 조현아를 흉내 냈을 때 대중들이 느낀 건 통쾌함이었다. 모사는 근본적으로 원본의 권위를 해체하는 힘을 지녔다. 강균성은 본능적으로 그 힘을 인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JTBC <학교 다녀오겠습니다>에서 강균성은 때 아닌 언니 포스로 앉아 여고생들에게 남자아이돌들에 대한 칭찬을 늘어놓았다. “샤이니는 정말 실력이 좋다”, “빅스 정말 착하다”고 자신이 봤던 그들의 실체를 얘기하고는 갑자기 거기 앉아 있는 여고생들의 외모를 추켜세웠다. ‘눈이 예쁘니 쌍꺼풀 수술 하면 안된다’거나 ‘마치 코를 세운 것처럼 높다’는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강균성을 언니 캐릭터로 만들어주었다.
그런데 이 다중인격에 대해서 왜 대중들은 비난이 아닌 열광을 쏟아내는 걸까. 사실 최근 들어 다중인격은 대중문화 콘텐츠의 한 트렌드를 이루기도 했다. MBC <킬미힐미>나 SBS <하이드 지킬 나> 같은 드라마가 동시간대에 다중인격을 소재로 다뤘다는 건 우연치고는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다중이는 KBS <개그콘서트>의 박성호가 일찍이 캐릭터화해 웃음의 코드로 선보인 바 있다.
그러고 보면 <무한도전> 식스맨 특집에 후보로 나온 유병재 역시 강균성과 비슷한 다중심리를 보여준 바 있다. 그는 식스맨이 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가 곧바로 하고 싶다는 얘기를 반복하며 종잡을 수 없는 심리상태를 보여줘 웃음을 주었다. 겉으로 하는 행동과 ‘마음의 소리’가 달라지면서 생겨나는 이 균열은 보는 이들에게 반전과 공감의 웃음을 자아내게 해준다.
최근 들어 대중문화 전반에서 다중인격을 소재로 한 콘텐츠들이 많아지고 이를 캐릭터화 하는 인물들이 나오고 있는 건 현대인들이 가진 불안 심리를 상당부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여기에는 다중인격을 바라보는 달라진 시선도 한 몫을 차지한다. 다중인격은 그저 비정상의 이상한 성격이 아니라 어찌 보면 솔직한 모습이라고 여겨지는 것이다.
불안한 현실 속에서 다중인격은 그 누군가의 특정한 이상 징후가 아니라 사회 전반에 나타나는 징후처럼 받아들여진다. 일관된 자아를 유지하기가 좀체 어려운 현실에서 한 가지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오히려 가식처럼 여겨진다는 점이다. 그래서 강균성의 다중인격에 열광하는 대중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면 지금 현재 우리 사회가 가진 불안 정도를 가늠하게 된다. 강균성의 다중인격은 그 불안심리에 대한 공감이고, 나아가 권위적인 사회에 대한 도발과 해소의 욕구이기도 하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주미, '용감한 가족'이 사람 하난 잘 들였네 (0) 2015.03.29 콘텐츠로 기억되지 않는 수지의 당면과제 (0) 2015.03.27 편성 바꾼 '웃찾사', 이미 절반은 성공적 (0) 2015.03.24 '아빠를 부탁해', 우리가 몰랐던 이경규의 쓸쓸한 민낯 (0) 2015.03.23 유재석, 강호동 부럽지 않은 박명수의 예능 생존력 (0) 201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