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 아는 뻔한 얘기? ‘미녀와 야수’가 새롭게 보인 몇 가지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7. 4. 13. 10:59728x90
'미녀와 야수', 다시 보니 도드라지는 여성주의적 시선들
아마도 <미녀와 야수>의 이야기를 모르는 이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이미 그 유명한 애니메이션을 통해 어떻게 마법에 걸려 야수가 됐던 왕자가 본 모습으로 돌아오는지 우리는 이미 잘 알고 있고, 하다못해 그 유명한 OST의 강렬한 음률 정도는 기억해낼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제아무리 실사판이라고 해도 영화 <미녀와 야수>를 보러 가는 이들이 있을까 하는 의아함이 생기는 건 당연한 일이다.
사진출처:영화<미녀와 야수>
하지만 의외로 <미녀와 야수>는 봄꽃이 한창 피어나 콘텐츠들의 비수기로 불리는 현 시점에 11일 현재 460만 관객을 넘어섰다. 다 알고 있는 뻔한 얘기일 수도 있는 <미녀와 야수>의 그 무엇이 우리네 대중들의 발길까지 잡아끌었을까.
그 첫 번째는 아마도 뮤지컬 영화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미녀와 야수>로까지 이어진 것이 아닐까 싶다. <라라랜드>의 대성공은 뮤지컬 영화가 갖고 있는 묘미 역시 대중들에게 인식시킨 면이 분명히 있다. 어찌 보면 대사 도중 노래를 하는 뮤지컬 영화의 특성은 관객들에게 그 장르적 특성을 납득시키지 못하면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라라랜드>는 뮤지컬 영화의 음악이 어떻게 대사보다 더 감성적으로 관객들을 몰입시키는가 하는 그 경험을 충분히 연습시켜주었다.
<미녀와 야수>는 물론 애니메이션 판에서도 그 유명한 OST를 누구나 다 알고 있듯이 음악이 중요했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 흘러나오는 OST와 뮤지컬 영화로서 전편에 걸쳐 음악적이 재해석이 들어간 건 완전히 다른 느낌을 준다. 특히 영화적 특성과 뮤지컬적 특성을 잘 연결해 마을에서 숲으로 숲에서 야수의 성으로 스펙터클한 카메라의 이동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깔아 넣는 음악의 묘미는 뮤지컬 영화만이 가진 힘을 제대로 보여준다. 내용을 다 알고 있는 관객이라도 그 음악을 듣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재미를 다시금 느낄 수 있다는 것.
이런 뮤지컬 영화가 주는 새로움이 눈과 귀를 사로잡는 <미녀와 야수>의 힘이 되어주었다면, 다시 보게 됨으로써 이 스토리가 가진 여성주의적 관점을 다시금 찾아내는 건 생각을 자극하는 지적인 힘이다. 공주를 구하러 가는 왕자의 이야기가 아니라, 마법에 빠진 왕자를 구해내는 공주의 이야기이고, 진정한 미가 무엇인가를 묻는 도발적인 질문은 벨(엠마 왓슨)이라는 여자주인공의 면면을 새롭게 느끼게 한다.
마법에 걸린 야수와 잘 생겼지만 폭력적 성향을 보이는 사냥꾼 개스톤(루크 에반스)의 대비는 비뚤어진 남성성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의식이 들어가 있다. 사냥꾼이 가진 폭력성은 심지어 사람까지 사지에 내버려두는 잔혹함을 드러내지만 야수는 단 한 차례도 인간을 공격하지 않고 오히려 늑대들의 공격으로부터 벨을 구하기 위해 몸을 던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야수와 개스톤이라는 상반된 캐릭터를 세워두고 영화는 누가 진짜 야수인가를 묻는다.
여기에는 이성의 빛이 비이성의 어둠을 깨치고 나오는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계몽주의적 시각 또한 깔려 있다. 책 읽기를 좋아하는 벨이 엄청난 야수의 서재에 들어가면서 그의 지적인 매력을 알게 되는 장면이 그렇고, 책과는 담을 쌓고 대신 사냥에만 몰두하는 개스톤이 모든 걸 힘으로 얻어내려는 모습이 그렇다.
여러모로 <미녀와 야수>에는 그 뻔한 이야기 이상을 담아내는 새로운 재미들이 촘촘하다. 뮤지컬 영화 특유의 음악적 재해석에 귀를 기울이며 영화에 빠져들다 보면, 이 이야기가 이토록 혁신적인 생각들을 일찍이 담고 있었다는 데 새삼 놀라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성과 비이성, 미와 추,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관점들은 시대가 변해도 여전히 생각할 지점을 준다는 것 역시.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플랜', 왜 누구도 김어준의 질문에 대답하지 못할까 (1) 2017.04.28 천재를 알아본 천재, '지니어스'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것 (0) 2017.04.19 ‘다시, 벚꽃’이 장범준이라는 아티스트를 통해 말하려는 것 (0) 2017.04.02 '프리즌', 감옥의 왕 한석규에게서 누군가 떠올랐다면 (0) 2017.03.31 '콩', 이 괴수물에 담긴 미국의 전쟁 트라우마 (0) 2017.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