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브'에 담긴 노희경 작가의 아주 특별한 인간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3. 20. 11:20728x90
장단점을 공유한 인물들, ‘라이브’ 그 따뜻한 느낌의 정체
사실 공권력을 행사하는 모습으로 우리 앞에 등장하곤 하는 경찰의 인간적인 모습을 담아낸다는 시도는 간단치가 않다. 대학생들의 총장실 점거 농성을 해산시키기 위해 투입된 경찰들의 모습은 자칫 잘못하면 드라마가 그 공권력 행사 자체를 미화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tvN 주말드라마 <라이브>는 실제로 이 장면으로 인한 논란을 겪기도 했다.
제작진이 해명한 것처럼, 그 장면은 미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고 그런 명령을 내리는 상부에 대한 비판이 담긴 장면일 게다. 상명하복의 경찰조직에서 퇴출되지 않고 살아남기 위해 이제 갓 경찰제복을 입은 신출내기들은 위에서 떨어지는 명령에 복종할 수밖에 없다. 물론 드라마이니 그걸 거부하는 문제적 인물을 그려낼 수도 있는데 어째서 그렇게 하지 않았냐고 물을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서민적 영웅상을 판타지로 그려내려는 건 <라이브>가 애초에 하려던 이야기가 아니다.
<라이브>가 하려는 이야기는 힘 있는 자들이 공권력을 행사하는 걸 정당화하려는 것이 아니고, 그 공권력 행사에서 피해를 보는 일반 국민들이 있지만, 그 명령을 따라야 살아갈 수 있는 경찰들도 그 힘 있는 자들에 의한 또 다른 피해자일 수 있다는 거다. 제아무리 술에 취해 난장판을 벌여도 자신들이 지켜야할 국민이기 때문에 “선생님”이라 부르며 챙기는 그들 또한 국민을 향해 공권력을 행사하고픈 마음이 있을 리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이들의 애환만을 담는다는 건 자칫 미화의 소지가 남을 수 있다. 그래서 <라이브>가 선택하고 있는 건 각각의 인물들이 특정한 상황 속에서 때론 좋은 선택을 하지만 때론 잘못된 선택을 하기도 한다는 걸 제목처럼 ‘가감 없이’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인간관은 노희경 작가가 인물을 바라보는 일관된 시각이기도 하다. 사람은 단순히 선악으로 나뉘어질 수 없고 장단점을 공유하고 있다는 시각이 그것이다.
오양촌(배성우)은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일에 있어서 마치 ‘살아 움직이는 매뉴얼’ 같은 경찰이다. 하지만 강력계에서 오래 일하다 보니 생겨난 ‘거친 면’들이 그의 일상까지도 조금씩 갉아먹기 시작한다. 그는 현장에서는 누구보다 능력 있는 경찰이지만,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끔찍한 인물이다. 아내가 그에게 불쑥 이혼하자고 말하게 된 건 바로 이런 점들 때문이다.
그런 그에게 이제 갓 경찰생활을 시작한 염상수(이광수)가 부사수가 되었으니 갖은 가시밭길이 펼쳐질 수밖에 없다. 툭하면 폭력을 행사하고 욕을 해대는 오양촌에게 염상수는 결국 폭발하고 만다. 그것 역시 염상수라는 인물이 가진 단점 중 하나다. 그는 무조건 살아남기 위해 어떤 굴욕도 참아내려 하지만 그건 진심이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문제를 일으킨다.
취객에게 두드려 맞을 때 그를 제압하지 않고 참고 있었던 일 때문에 그는 오양촌에게 심한 질책을 듣는다. 그래서 신고를 받고 오양촌과 함께 간 어느 집에서 쓰러져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현장 보존’을 하지 않고 구해내려다 또 질책을 듣는다. 매뉴얼대로 하지 않아 질책을 듣고, 매뉴얼을 어기고 사람을 우선 구해내려 한 행동 때문에 또 질책을 듣는다. 그가 가진 문제는 경찰로 살아남기 위해 너무 열심히 노력한다는 점이다. 자기 존재를 그렇게라도 드러내기 위해.
그러니 오양촌도 염상수도 장점만큼 단점이 뚜렷한 인물들로 그려진다. 두 사람은 결국 갈등이 극에 달하게 되고 염상수는 오양촌의 멱살을 쥔다. 그런데 그런 폭발은 어쩌면 오히려 이 인간관계에 부족한 면을 보이는 두 사람에게 해결책이 되어줄 수도 있다. 그건 다른 측면에서 보면 두 사람이 하는 어색한 방식의 소통일 수도 있으니.
그래서 <라이브>에는 서민의 편에 선 판타지적인 영웅도 아니고 그렇다고 서민들을 향해 발길질을 해대는 부정적인 공권력도 아닌 경찰의 모습이 그려진다. 음주운전을 하고도 자신들이 국회의원이라며 지구대에서 그들은 대장 기한솔(성동일)을 불러 오히려 뺨을 올려 부친다. 하지만 그 권력자들 앞에서 기한솔은 뭐라 항변하지 못한다. 물론 그 장면들을 몰래 카메라에 담고 그들을 제압해 넘기지만 결국 서장은 그들을 풀어준다.
이 씁쓸한 현실 속에서 기한솔과 지구대 사람들은 소주 한 잔으로 그 설움을 달랜다. 기한솔은 자신이 몰래 카메라를 찍었고 그걸로 선거철에 이들을 한방에 날려버릴 거라고 호언장담했지만 그건 말 그대로 잠시라도 지구대 사람들이 기분 좋으라고 한 말일 뿐이다. 실제 그런 영웅적인 행동(?)을 한다는 건 자신의 생계를 포기하는 일일 수 있으니 말이다.
지구대 경찰관들의 이러한 딜레마에 빠지는 상황들은 그래서 미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그들을 그렇게 만드는 권력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드러내기 위함이다. 또 그들은 모든 걸 국민의 편에서 척척 해내는 영웅들도 아니다. 그저 우리와 같은 직업인의 한 사람일 뿐이다. 단점도 있지만 사람으로서 어떤 인간적인 고민도 하는 그런 한 사람으로서의 경찰. 그것이 <라이브>가 가감 없이 그려나가는 경찰의 진면목이 아닐까. 노희경 작가의 특별한 인간관이 그러하듯이.(사진:tvN)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스' 감우성·김선아, 툭 던지는 말이 어째서 달리 들릴까 (0) 2018.03.21 '미스티', 김남주를 의심하는 당신 마음속 비뚤어진 시선 (0) 2018.03.20 안녕 '마더', 돌아보니 허율 덕분에 매 순간 행복했다 (0) 2018.03.17 '마더' 이혜영, 끝까지 배우의 아우라 제대로 보여줬다 (0) 2018.03.17 '리턴' 박진희가 19년 간 악벤져스를 제거하지 않은 사연 (0) 2018.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