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들이 추격하는 것은 무엇인가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8. 2. 26. 01:17728x90
‘추격자’의 엄중호와 ‘노인을 위한...’의 안톤 시거
최근 주목받고 있는 ‘추격자’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기묘하게도 유사한 스토리 구조를 갖고 있는 영화들이다. 거기에는 희대의 살인마가 등장하고 쫓고 쫓기는 추격전이 숨가쁘게 펼쳐진다. 즉 이 영화들은 모두 고전적인 형사물이나, 스릴러에 단골로 등장하는 ‘추격과 도망’이라는 장르적 모티브를 잘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이 영화들은 그 장르적 틀 위에서 어떤 의미망을 포착하려 한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추격자’에서 추격자는 보도방을 운영하는 전직형사 엄중호(김윤석)이고 도망자는 연쇄살인범 지영민(하정우)이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서 이것은 정반대다. 추격자는 희대의 살인마인 안톤 시거(하비에르 바르뎀)이고 도망자는 그다지 선해 보이지만은 않은 모스(조쉬 브롤린)다. 한쪽은 살인범이 쫓기고 또 한쪽은 정반대지만 둘 다 나쁜 놈이 나쁜 놈을 쫓는다는 설정은 유사하다. 물론 여기서 형사는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늘 뒤늦게 나타나는 존재들이다.
재미있는 것은 두 영화가 모두 추격하는 자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인데, 그 추격자는 도망자보다 더 세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안톤 시거는 감정이 없는 살인마다. 반면 엄중호는 희대의 살인마인 지영민에 비해 약할 것 같지만 실상은 정반대다. 늘 지영민을 구타하고 도망치게 만드는 인물은 다름 아닌 엄중호다. 하지만 우리네 삶이 그러하듯이 여기에는 변수가 작용한다. 센 놈이 약한 자를 잡는 것이 쉬울 것 같지만 그 변수가 작용하면서 상황은 조금씩 어려워진다.
‘추격자’에서 그 변수는 무능한 공권력이다. 엄중호는 그 탁월한 동물적인 감각으로 지영민을 떡 하니 경찰서 안에까지 끌고 가지만, 경찰은 눈앞에 혐의가 분명한 살인자를 버젓이 거리로 내보낸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서 변수는 조금 철학적이다. 그것은 안톤 시거 바로 자신이기 때문이다. 그는 살인자로서 자신만의 룰을 따르는 자이다. 그런데 그 룰은 어떤 인과가 있는 것이 아닌 우연의 산물이다. ‘추격자’의 지영민은 포획한(?) 미진(서영희)에게 “네가 살아서 돌아가야 할 이유를 말해봐”하고 묻지만 안톤 시거는 그런 이유는 묻지 않는다. 대신 동전던지기로 죽일 것인가 말 것인가를 정할 뿐이다.
물론 지영민은 그 이유가 타당하면 살려주기 위해 그런 질문을 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동물적인 본능일 뿐이다. 그러니 그 이유로 충분한 “딸이 있어요”라는 답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것이다. 반면 안톤 시거는 감정을 배제한 채 철학적인 사변을 통해 운명을 결정한다. 따라서 그는 동전이 정하는 우연에 따를 뿐이다. 인과과정으로 수사를 하는 형사들에게 인과가 없는 그는 좀체 추격하기 어려운 존재다. 어찌 보면 그는 인과관계에 잔뜩 얽매여 있는 사회적 그물망을 벗어나 있는, 그 누구에게도 잡히지 않을 것 같은 절대 자유의 사냥꾼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것은 그렇지 않다. 안톤 시거 역시 그 우연의 법칙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니 그를 옭아매는 것은 에드 톰 벨(토미 리 존스) 보안관 같은 법망이 아니라 그 우연 자체다. 쫓고 쫓기고 하던 추격전이 결국 누가 잡히고 누가 죽었다는 식으로 끝나지 않고 모든 걸 다 해치워버린 안톤 시거가 교통사고를 당하는 장면으로 끝내는 것은 바로 이 우연의 법칙 속에서 그 무엇도 허무하지 않은 것이 없다는 전언이다. 결국 이 추격전이라는 우리네 삶의 메타포는, 어느 날 우연히 현장에서 돈을 발견한 모스가 그 날 밤 물 한 모금을 전해주러 갔다가 우연히 발각되고, 살인자에게 쫓고 쫓기는 과정 자체가 허무하게도 필연이 아닌 우연의 산물이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추격자’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가 그리고 있는 추격전은 그 긴박하고 흥미진진한 과정 속에 각각의 메시지를 포착한다. ‘추격자’는 엄중호라는 추격자를 내세워 그 일면 견고해 보이는 사회적 시스템의 무능함을 추격하는 격이고,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안톤 시거라는 추격자를 내세워, 우연의 법칙 속에 무력하기만 한 필연적 삶의 시스템을 추격하는 격이다.
이 두 영화가 흥행에 있어 전혀 상반된 길을 걷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전국 극장가를 거의 장악하고 있는 ‘추격자’가 곧 200만 관객을 바라보고 있는 반면, CGV 인디영화관에서만 개봉하고 있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1만5천 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관객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관객수의 차이는 물론 개봉관 수가 가장 큰 이유겠지만 역시 추격하는 그 대상 때문이 아닐까. 우리네 관객들은 무능한 정부에 대한 사변적이지 않은 동물적이고 본능적인 비판이, 먼 나라 얘기처럼 들리는 철학적 사유보다는 더 마음에 와 닿나 보다. 어쨌든 두 영화 모두 요즘 들어 보기 드문 수작인 것만은 틀림없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스티 보이즈’, 자본에 포위된 청춘들 (1) 2008.05.03 ‘바보’, 착한 서민의 자화상 (11) 2008.03.04 ‘추격자’, ‘괴물’을 닮았다 (2) 2008.02.22 ‘람보’, 미국의 열등감이 낳은 영웅 (2) 2008.02.20 ‘우생순’, 당신 생애 최고의 순간은? (2) 2008.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