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의 축소판, 'SKY 캐슬'에 득실대는 괴물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12. 23. 10:53728x90
'SKY캐슬', 염정아·김서형 같은 괴물들만 있는 줄 알았는데
우리네 비뚤어진 교육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인 줄만 알았는데, 들여다보면 볼수록 우리 사회 전반의 부조리들이 보인다. JTBC 금토드라마 <SKY 캐슬>이 이토록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건 여기 등장하는 ‘SKY캐슬’이라는 대한민국 상위 0.1%가 모여 사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대한민국의 축소판처럼 여겨지기 때문이 아닐까.
이 드라마의 시작점으로 되돌아가보면 영재(송건희)네의 비극이 과연 이 SKY캐슬이라는 곳에서 벌어졌던 사건인가가 무색해질 정도로 아무 변화도 없는 이 곳의 현재에 놀라게 된다. 서울대 의대에 합격했다며 축하파티가 열렸지만, 그 지옥 같은 삶에 복수하듯 가출해버린 영재로 인해 그의 엄마 이명주(김정난)가 자살함으로써 한 집안이 하루아침에 풍비박산 나버렸다.
가장 가까이서 이명주를 따르고 입시 코디네이터 김주영(김서형)까지 이어받아 자신의 딸 예서(김혜윤) 또한 서울대로 보낼 꿈에 부풀었던 한서진(염정아)은 이 사건으로 충격을 받아 김주영의 뺨을 때리기도 하지만, 결국은 그에게 무릎을 꿇는다. 그래서 다시 예서의 입시 코디가 된 김주영은 보란 듯이 아이를 전교회장으로 만들어냄으로써 이를 반대하던 한서진의 남편 강준상(정준호)까지 설득시킨다.
한 집안이 박살나는 비극을 보면서도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불나방처럼 그 속으로 다시 뛰어드는 이 이야기는, 잘못된 부조리한 경쟁시스템들에 의해 그토록 많은 비극들이 벌어지고 그 때마다 큰 충격에 빠지지만 그럼에도 금세 잊어버린 채 다시 그 비극을 반복하는 우리네 사회의 이야기를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사람이 죽어나가도 시스템은 건재하다. 그래서 비극은 반복된다.
<SKY 캐슬>은 입시라는 문제를 전면에서 다루고 있지만 그것은 이 드라마가 다루려는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 하나의 결과일 뿐이다. 그래서 이 드라마는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증상들(?)이 어디서부터 비롯되고 있는가를 들여다본다. 한서진의 둘째딸 강예빈(이지원)이 편의점에서 도둑질을 하는 그 증상은 그걸 입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방법으로 허용하는 그 엄마 한서진이 있어서다. 한서진은 교육의 목적이 좋은 대학에 보내는 것이다. 그러니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도둑질은 그 과정으로서 허용되는 것이다. 어른들의 비뚤어진 가치관과 세계관은 고스란히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예서가 전교회장이 된 걸 축하한다는 명분으로 열린 파티에서 영재네의 비극을 소재로 이수임(이태란)이 동화를 쓰려 한다는 사실을 끄집어내자 이에 대해 보이는 반발은 우리 사회가 가진 일그러진 얼굴들을 드러낸다. 이 곳에 사는 이들은 그런 사건이 있었다는 걸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그런 비극을 끄집어내는 일을 “명예가 손상되고 품위가 실추되는” 일로 여긴다. 지진희(오나라)는 이런 일이 알려지는 게 “집값부터 떨어지는” 일이라고 말한다. 강준상은 그래서 이수임이 하려는 일을 “남의 비극을 소재삼아 돈벌이를 하려는 짓”이라 폄하한다.
이에 대해 이수임은 자신이 글을 쓰려는 진짜 의도를 밝힌다. “영재네에서 있었던 엄청난 비극이 여러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절망스러워서요. 입시경쟁으로 해마다 수많은 아이들이 죽어가는 데도 우리 사회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게 비통하다 못해 참담해서요.”
하지만 이들은 비극을 멈추려 하기보다는 비극 자체가 없는 것처럼 치부하며 그 경쟁시스템에서 살아남으려 몸부림친다. 그건 입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들이 일하는 일터에서도 똑같이 벌어지는 일이다. 촌극처럼 그려지는 우양우(조재윤)가 끊임없이 강준상의 눈치를 보며 대학병원 내 서열극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이 그렇고, 이런 경쟁시스템이 만들어낸 김주영 같은 사실상 사설 불법정보원 같은 일까지 하는 입시 코디네이터 괴물이 그렇다.
이들은 끊임없이 그 시스템이 야기하는 비극들을 보고 있고 가까이서 겪고 있지만 그걸 근본적으로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 아니 그런 사건은 없는 것처럼 여기려 한다. 게다가 그 비극의 주인공들을 심지어 이 경쟁시스템의 낙오자 정도로 취급함으로써 그 부조리한 시스템을 더 공고하게 만든다. 결국 아이들은 죽어나가거나 그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세계에서 괴물이 되기도 한다. 한서진이나 김주영 같은 어른들만이 괴물이라 여겨졌던 <SKY 캐슬>에 엄마가 죽은 후 자신이 강준상의 딸이었다는 걸 알게 된 혜나(김보라)가 또 다른 괴물처럼 등장하게 되는 건 그래서다.
도대체 이 비극은 어째서 도돌이표처럼 반복되는 걸까. <SKY 캐슬>에 시청자들이 집중하게 되는 건 이 곳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이 우리네 사회가 갖고 있는 부조리를 축소판처럼 담아내고 있어서다. 경쟁시스템 안에서 하루하루를 정신없이 경쟁하듯 살아가다 보니 제대로 그 시스템이 어떻게 굴러가는지를 들여다보지 않았던 우리들은 이 드라마가 그려내는 그 축소판을 통해 새삼 그 현실과 마주하게 된다. 몰랐던 건 아니지만 부지불식간에 모르는 것처럼 지나치곤 했던 그 현실과.(사진:JTBC)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은 사치? '땐뽀걸즈'의 꿈이 있어 버텨내는 삶이란 (0) 2018.12.27 게임 잘 모르는 시청자도 폐인 만드는 '알함브라' 신묘한 매력 (1) 2018.12.25 잘되라고 한 짓? '붉은 달 푸른 해'가 담은 끔찍한 아동학대 (0) 2018.12.22 '남자친구' 송혜교 위한 박보검과 장승조의 다른 사랑법 (0) 2018.12.22 '알함브라', 어느덧 현빈에 몰입하고 있다는 게 기상천외하다 (0)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