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나래의 '농염'은 어째서 넷플릭스에서만 가능한 걸까옛글들/명랑TV 2019. 10. 22. 11:03728x90
넷플릭스 박나래의 ‘농염주의보’와 국내 코미디 현실
“세상의 남자는 둘로 나뉩니다. 저랑 잔 남자, 저랑 잘 남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박나래의 농염주의보>는 스탠드업 코미디다. 박나래 혼자 무대에 나와 마이크 하나 들고 한 시간 동안 관객들을 들었다 놨다 한다. 제목에서부터 드러나듯 19금으로 보기가 제한될 정도로 수위가 높다.
사실 수위라는 것은 보는 이의 느낌에 따라 달리 느껴질 수 있다. 그래도 이런 스탠드업 코미디의 맛을 현장에서 봤던 분들은 좀 더 높은 수위의 토크를 기대했을 수 있다. 그런 분들에게 <박나래의 농염주의보>는 그래도 순화된 느낌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단 한 번도 19금 스탠드업 코미디를 경험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세게 느껴질 수 있다.
박나래는 무대 위에서 거침이 없다. ‘섹스’의 경험담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섹스’를 연상시키는 농담으로 웃음을 유발하기도 한다. 박나래의 19금 토크는 그래서 “기한84와 하지 못했다”는 말로 빵 터트린 후, “속 깊은 대화를 하지 못했다”고 뒤집어놓는 방식으로 관객들에게 웃음을 준다.
흥미로운 건 그 웃음에서 어떤 해방감이나 카타르시스 같은 걸 느끼게 된다는 점이다. 그간 어디서도 쉽게 꺼내놓지 못해 마치 금기시되어 있는 말들을 공공연하게 꺼내놓는 것이 주는 해방감이다. 욕도 등장하고, 과감한 성적인 소재의 농담들도 마구 꺼내진다. 하지만 그것은 불쾌감을 주기보다는 속 시원한 해방감으로 다가온다. 그 수위 높은 농담에 객석에 남녀를 불문하고 성인들이 같이 깔깔 웃을 수 있다는 사실은 어째서 우리에겐 이런 무대가 금기시되다시피 했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넷플릭스가 아니었다면 <박나래의 농염주의보> 같은 19금 스탠드업 코미디는 불가능했을 게다. 그건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는 우리에게 스탠드업 코미디라는 형식 자체가 불모지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물론 굳이 찾아보자면 우리에게 스탠드업 코미디의 전통은 저 마당극에서 재담으로 행인들을 끌어 모으는 이에서 찾을 수 있을 게다. 그만큼 마이크(말) 하나만 있으면 되는 스탠드업 코미디는 웃음의 기원에 맞닿아 있을 만큼 본질적인 코미디 형식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방송이 코미디의 중심으로 차지하기 시작하면서 스탠드업 코미디는 설 자리를 잃어버렸다. 처음 극단에서 방송으로 온 코미디는 콩트가 중심이었고, 그 다음에는 버라이어티쇼가 중심이었다. 그러다 리얼 버라이어티로 또 리얼리티쇼로 예능의 트렌드는 움직여왔다. 거기에 혼자 서서 관객들을 웃기는 스탠드업 코미디의 자리는 없었다. 과거 <유머일번지> 시절에 시사개그의 일인자였던 고 김형곤씨 같은 개그맨이 스탠드업 코미디를 클럽에서 시도해오긴 했지만 미국처럼 하나의 방송의 쇼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그러니 <박나래의 농염주의보> 같은 본격 스탠드업 코미디는 넷플릭스처럼 그 형식이 주류 장르가 되어 있는 플랫폼이 있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박나래의 농염주의보>가 넷플릭스가 아니었으면 불가능했을 또 한 가지 이유는 역시 우리에게는 불모지나 다름없는 19금 코드 개그라는 소재 때문이다. 국내의 방송 콘텐츠들은 19금 소재에 인색했던 게 사실이다. 그건 드라마도 마찬가지도 예능은 더더욱 그렇다. 그렇게 된 건 지상파 시절 그 플랫폼이 갖는 이른바 ‘보편적 시청자’ 지향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플랫폼이 다원화되어 ‘보편적 시청자’라는 틀이 하나의 허상이 되어버린 마당에 이런 스스로 한계를 지우는 제작자나 방송사의 마인드는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19금 소재도 이제는 지상파에서 연령 제한을 두고 방영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소재의 한계도 넘어설 수 있다. ‘성인들을 위한 콘텐츠’ 자체를 낮고 저급하게 바라보는 시각은 구시대의 소산이다. 저급이냐 고급이냐의 문제는 소재가 아니랴 콘텐츠의 완성도에서 판가름 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현재로서는 <박나래의 농염주의보> 같은 19금 스탠드업 코미디는 넷플릭스가 아니면 공공연히 볼 수 있는 곳이 없다. 물론 콘서트를 직접 찾아가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겠지만, 우리네 방송에서도 과감하게 보여주지 못할 이유가 있을까. 최근 국내 개그와 코미디업계가 어렵다고 한다. 그런데 그건 시대가 바뀌고 있는데도 여전히 과거 지상파 시절의 틀 안에서 개그와 코미디의 영역이 머물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업계도 방송사도 한번쯤 고민해볼만한 문제다.(사진:넷플릭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긴어게인3', 왜 우리는 패밀리밴드에게 이토록 열광하는가 (0) 2019.10.28 ‘스푸파2’ 아니었다면 이런 길거리 음식 친근해졌을까 (0) 2019.10.22 '놀면 뭐하니' 김태호·유재석의 취향 도전, '무도'와 달라진 건 (0) 2019.10.22 '삼시세끼' 염정아·윤세아·박소담, 이런 트리오 또 없습니다 (0) 2019.10.20 '시베리아' 이선균부터 이상엽까지, 사람 냄새 진동 매력덩어리 (0) 2019.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