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닭강정 된 김유정? 이병헌 감독의 ‘닭강정’, 통할 수 있을까 본문

이주의 드라마

닭강정 된 김유정? 이병헌 감독의 ‘닭강정’, 통할 수 있을까

D.H.Jung 2024. 3. 18. 13:09
728x90

‘닭강정’, 명작과 괴작을 가를 이 황당한 드라마의 분수령은?

닭강정

어느 날 갑자기 의문의 기계에 들어갔던 딸이 닭강정으로 변했다? 넷플릭스 시리즈 <닭강정>이 펼쳐놓는 상상의 세계는 이토록 황당하다. 치킨집을 소재로 해 무려 1600만 관객을 동원한 초대박 영화 <극한직업>에 이어 이병헌 감독이 또다시 닭을 소재로 한다는 점을 <닭강정>은 강조한다. 그래서 작품 소개도 ‘신계(鷄)념 코믹 미스터리 추적극’이라고 적시했다. 하지만 이 작품을 시청자들이 ‘신계(鷄)념’ 추적극으로 보게 될지 아니면 ‘황당무계(鷄) 추적극’으로 볼 지는 아직 미지수다.

 

포스터만 봐도 느껴지듯이 <닭강정>은 B급 병맛 코미디다. 이상한 노래를 중얼거리며 춤을 추며 거리를 활보하는 모습으로 첫 등장하는 백중(안재홍)만 봐도 딱 알아차릴 수 있다. 이건 평범한 이야기가 아니다. 현실에서 몇 발짝 정도 하늘 위로 들어올려져 있는 상상의 세계가 펼쳐질 거라는 걸 백중의 그 등장만으로 금세 예감할 수 있다. 그 병맛 가득한 백중의 등장을 길거리 사람들은 이상하다는 듯 바라보는데 그건 바로 시청자들의 시선 그대로다. 하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백중은 자기 세계에 빠져있는 듯 노래를 흥얼거리고 춤을 추며 거리를 걸어나간다. 그건 <닭강정>이 앞으로 펼쳐나갈 상상의 소신을 드러내는 것만 같다. 

 

민아(김유정)가 닭강정으로 변해버리자, 그의 아빠 선만(류승룡)과 그를 짝사랑해온 백중은 충격과 절망감에 빠져버리고, 어떻게든 이 닭강정을 다시 민아로 되돌리려 안간힘을 쓰는데 그 황당한 상황은 그 자체로 코미디가 된다. 누가 봐도 닭강정일 뿐인데 그걸 딸이라며 소중하게 챙기려는 두 사람의 진짜 절실해 보이는 안간힘이 부조화를 만들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은 그 황당한 상황에 처음에는 어이없어 하다가, 마치 하나하나의 시트콤처럼 상황이 주는 웃음에 조금씩 빠져들다가, 점점 이 말도 안되는 상황 속으로 깊숙이 들어가 선만과 백중의 절실함까지 공감하게 되는 이상한 경험을 마주하게 된다. 

 

하지만 이건 이병헌 감독이 꿈꾸는 것이고 <닭강정>이라는 세계가 제대로 시청자들을 그 안으로 빨아들임으로써 사람이 닭강정이 되는 그 세계관을 받아들이게 됐을 때의 일이다. 만일 그걸 받아들이지 못하게 되면 이 작품은 “도대체 뭐 하는 짓”인지 알 수 없는 괴작처럼 느껴질 수 있다. 그래서 관건은 <닭강정>이라는 세계를 받아들이게 만드는 어떤 힘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힘을 만드는 관건은 세 가지가 아닐까 싶다. 하나는 코미디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으니 얼마나 ‘웃음의 밀도’를 높여 놓았는가 하는 점이다. 사실 황당한 상황도 정신없이 웃게 만드는 빵빵 터지는 코미디를 촘촘하게 세워두면 결국 비현실도 선선히 받아들이게 되는 힘이 만들어진다. 이건 많은 판타지나 비현실을 담는 콘텐츠들이 자주 전략적으로 쓰는 방식이기도 하다. 지나치게 현실을 강조하면 오히려 비현실이 드러나는 콘텐츠들은 유머 코드를 슬쩍 채워넣음으로써 정반대로 비현실성을 가리는 전략을 쓰는 것. 

 

이병헌 감독의 <극한직업> 같은 작품이 그 비현실성을 뛰어넘어 관객들을 몰입하게 만들어줬던 힘 역시 바로 이 웃음의 밀도가 그만큼 촘촘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 웃음에서도 중요해지는 건 그저 황당하고 표피적인 웃음이 아니라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현실의 은유나 풍자적인 웃음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바로 이 지점이 <닭강정>의 다소 황당무계한 세계관을 시청자들이 받아들이고 열광할 수 있는가를 가르는 두 번째 관건이다. 

 

<닭강정>의 황당한 설정이 주는 코미디는 과연 어떤 현실을 은유하고 풍자하는 것일까. 사람이 닭강정으로 변한 그 상황은 우리에게 표피적인 웃음 그 이상의 어떤 의미를 전하고 있는 것일까. 화면만 열면 여기저기 우후죽순 등장하는 먹방들처럼 지나치게 먹거리에 집착하는 사회에 대한 풍자적 시선이나, 혹은 이를 산업화하는 자본화된 세상 꼬집기 같은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결국 비현실을 가져와 만들어내는 웃음은 현실을 밑그림에 깔고 있을 때 그저 휘발되지 않는다. 시리즈 같은 긴 호흡의 작품이라면 그걸 끝까지 보게 만드는 힘은 결국 이 현실 공감에서 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닭강정>이 괴작이 아니라 재기발랄하고 기발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명작이 되기 위한 관건은 이 비현실을 현실로 믿게 만드는 연출과 연기적 요소다. 적어도 이 점에서는 신뢰가 투텁다. 안재홍은 첫 등장부터 이 작품이 어떤 세계를 갖고 있는가를 그 길거리를 노래를 흥얼거리고 춤추며 걸어나가는 장면으로 납득시켰고, 류승룡은 딸이 닭강정으로 변했다는 황당한 사건을 금세 믿게 할 정도로 충격에서부터 부정이 느껴지는 슬픔까지 담아 진지하게(그래서 웃기지만) 연기해냈다. 

 

여기에 이병헌 감독 특유의 말맛이 살아있는 대사와 그 상황들을 효과적인 병맛 코미디로 그려내는 연출이 더해졌다. 그러니 일단 온라인 시사회로 언론에 선공개된 3회까지만 보면, 황당하지만 저도 모르게 빠져드는 힘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걸 단언할 수 있다. 다만 그 힘이 연기와 연출적인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인지, 아니면 진짜 이 작품의 코미디가 건드리는 현실 은유의 깊이에서 나오게 된 것인지는 나머지 7회분을 다 봐야 제대로 평할 수 있을 것 같다. 과연 명작일지 괴작일지, 공개된<닭강정>을 의구심과 설렘이 교차하는 마음으로 보려는 이유다. 닭강정에 맥주 한 잔 곁들여 불금을 달려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테니. (사진:넷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