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방송

저마다 앞것이 되려는 세상, 뒷것 김민기가 건넨 먹먹한 감동

728x90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그는 모든 위대한 낮은 자들의 뒷것이었다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나는 뒷것이야. 너희는 앞것이고.” 김민기가 했다는 그 말은 그의 삶과 그가 가난한 예술인들을 위해 만들었던 학전(學田)이 해온 일을 압축해 설명해준다. 학전을 세워 ‘지하철 1호선’ 같은 최장기 공연은 물론이고 다양한 뮤지컬, 아동극 그리고 가수들의 공연을 무대에 올렸던 김민기. 하지만 그는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무대 위가 아니라 무대 아래서 스포트라이트를 비춰주는 역할을 자임했다. ‘학전’이라는 이름 그대로 나서지 않고 묵묵히 예술가들의 못자리가 되어준 것이다.

 

SBS 다큐멘터리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3부작은 개관 후 33년을 버텨왔지만 재정난과 김민기의 건강악화로 지난 3월 폐관한 학전과 이 소극장을 세운 김민기의 삶을 담았다. 제목에도 담긴 ‘뒷것’이라는 표현은 그 자체가 먹먹하다. 모두가 앞으로 나서려 애쓰는 세상이 아닌가. 그런데 뒤를 자처한다는 뜻이 담긴 데다, ‘것’이라는 표현 또한 자신을 낮추는 뉘앙스가 담겨 있어서다. 

 

다큐멘터리가 포착한 김민기의 삶은 모든 위대한 낮은 자들의 뒷것을 자처하는 삶이었다. 다큐멘터리에 참여한 황정민, 장현성, 강신일, 이정은 등등 무수히 많은 유명 배우들은 물론이고, 고 김광석을 비롯해 윤도현, 강산에, 정재일, 노영심 같은 음악인들의 면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학전은 그들의 든든한 못자리였고, 그 못자리를 지킨 건 다름 아닌 뒷것 김민기였다. 

 

하지만 김민기가 뒷것을 자처한 건 학전을 통한 가난한 예술인들만이 아니었다. 피혁공장에서 일하며 만났던 노동자들의 어려움을 알고는 그걸 음악으로 담아 무수한 노동자들을 위로해준 ‘공장의 불빛’이라는 음악극을 만들었고, 어린 나이에 일터로 나온 그들에게 야학의 길을 열어 주었다. 노래가 모두 금지곡이 되고 모든 길이 막혀 농사꾼이 되겠다고 연천에 내려가서도 그는 농민들의 뒷것이었다. 중간유통업자들 때문에 농민들은 제 값을 못받고 소비자도 비싸게 쌀을 사야하는 상황에 직거래를 통해 모두가 좋은 길을 열어줬던 거였다. 

 

그는 공부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신정동에 중학교 과정을 무료로 가르치는 야간학교를 열기도 했고, 농사 짓겠다고 내려가서도 달동네 아이들을 위한 유아원 건립을 위해 공연을 해달라는 요청에 기꺼이 나서기도 했다. 또 ‘지하철 1호선’의 큰 성공을 거뒀을 때도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어린이들을 위한 아동극에 뛰어들었다. 돈이 되지 않지만 꼭 필요한 일이라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다큐멘터리가 조명한 김민기의 뒷것의 삶을 들여다 보면, 그가 뒷것을 자처해 지지해온 세상의 진정한 앞것들이 무엇인가가 새삼스럽게 눈에 띤다. 그들은 가난해도 삶과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작품을 통해 말하는 에술가들이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며, 집의 생계를 위해 하고픈 학업도 포기하고 어린 나이에 생업에 나선 학생들이고, 결코 돈벌이의 마음으로는 할 수 없는 농사를 짓는 농군들이며 나아가 우리 사회의 미래가 될 어린이들이다. 즉 김민기가 뒷것을 자처해 지지해온 것들은, 그 무엇보다 소중한 가치를 가진 존재들이지만 세상의 앞것을 자처하는 이들에 의해 가려져 뒷것으로 치부되어온 것들이다.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는 그래서 모든 위대한 낮은 자들의 뒷것을 자처한 김민기의 삶을 들여다 본 다큐멘터리면서, 그 삶이 지탱했던 진짜 세상의 앞것이 되어야할 존재들을 위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실로 이런 존재들이 있어 세상은 그나마 살아갈 수 있고 또 살만해지는 게 아닐까 싶다. 결국 학전은 간판을 내렸지만 모두가 염원하듯 병을 툴툴 털어버리고 돌아와 다시 부활하는 학전의 모습이 보고 싶다. 그 어두운 시대에도 늘 깨치고 나아가 끝내 이겼던 그의 모습처럼. (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