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송강호, 한 발 물러남으로써 더 잘 소화하는 본문

이주의 인물

송강호, 한 발 물러남으로써 더 잘 소화하는

D.H.Jung 2024. 6. 10. 13:44
728x90

‘삼식이 삼촌’으로 첫 드라마 데뷔한 송강호

삼식이 삼촌

“사랑과 존경의 의미로 다들 그렇게 불러요. 삼식이, 삼식이 형님, 삼식이 삼촌. 전 너무 좋아요. 제 별명이요.” 디즈니+ 오리지널 드라마 ‘삼식이 삼촌’은 이 작품의 주인공인 삼식이 삼촌 박두칠(송강호)이 하는 그 대사로 시작한다. 이 첫 대사는 16부작 ‘삼식이 삼촌’이라는 작품이 사실상 이 인물의 서사라는 걸 예감케 한다. 삼식이 삼촌을 연기하는 송강호는 특유의 힘을 쪽 빼서 과장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편안한 목소리로 자신을 그렇게 소개한다. 시청자들은 궁금해진다. 도대체 왜 ‘삼식이 삼촌’이라는 별명이 붙었을까. 

 

1950년대말부터 이야기를 풀어가는 이 작품의 첫 회가 끝나갈 즈음, 이 대사의 의미는 삼식이 삼촌과 김산(변요한)이라는 인물이 던지는 ‘피자 이야기’로 분명해진다. “미국 사람들은 매일 그런 빵을 먹어. 심지어 먹다가 남겨. 우리도 공단만 완성이 되면 그런 빵을 먹다가 남기고 버릴 거야.” 삼식이 삼촌은 먹고 사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고 다니는 사람이다. 전후 피폐된 경제로 먹고 사는 일조차 힘들어진 현실에 제 권력을 잡겠다는 정치인들과 격동기에 외자를 유치해 공단을 건립함으로써 돈 벌 기회를 잡으려는 기업인들 속에서도 삼식이 삼촌이 주변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이유는 바로 이 먹고 사는 문제로 사람들을 설득하기 때문이다. 마침 국가 재건을 위해 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믿는 김산이 등장하는데, 그 역시 피자 이야기를 한다. “피자 아세요? 드셔 보신 분? 의원님, 드셔 보셨습니까? 제가 유학시절에 피자집 다락방에서 살았습니다. 하루 한 끼 제대로 못 먹던 유학시절에 매일 피자 굽는 냄새에 밤잠을 설쳤습니다. 여러분 총칼이 아니라 경제입니다. 누구도 끼니 걱정하지 않는 나라. 하루 세끼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나라! 제가 유학시절에 가장 부러웠던 건 전투기도 항공모함도 아니었습니다. 바로 피자였습니다. 전 국민이 굶으면서 전쟁에 이기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이쯤되면 알게 된다. 왜 ‘삼식이 삼촌’인지. 하루 세끼를 배불리 먹는 일이 가장 중요했던 50년대 말부터 60년대까지의 격동기를 이만큼 잘 설명하는 캐릭터가 없으니. 

 

삼식이 삼촌이라는 캐릭터는 그래서 그 시대의 한국인을 표상한다. 어찌 보면 먹고 살기 위해 누군가를 짓밟기도 하고 심지어 죽이기도 하는 살벌한 인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이 생계의 문제라 고개가 끄덕여지기고 또 ‘삼촌’ 같은 든든한 느낌마저 주는 인물. 그 먹고사니즘을 해결하기 위해 치열하게 살았던 삶이 개발시대를 거쳐 지금의 풍요를 만들어냈지만, 그 과정에서의 부정이 만들어낸 후유증도 적지 않게 남긴 인물로 그 시대의 공기를 이 인물은 고스란히 그려낸다. 배우로서 어떤 시대의 한국인을 그려낸다는 건, 어렵고도 부담되는 일이지만 송강호는 이를 마치 피자 하나 꺼내 먹듯이 너무나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소화해낸다. 

 

박찬욱 감독은 일찍이 송강호의 이 자연스럽고 편안한 연기를 그의 라이벌로 꼽히는 최민식과 비교해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최민식이 고전주의자라면 송강호는 자연주의자”라고. 그건 그가 주로 맡았던 배역들이 대부분 주역보다는 주역의 뒤편으로 한 발 물러서 있는 인물들이었다는 데서도 잘 드러난다. 물론 중심에 서서 작품 전체를 앞으로 끌고 나가는 역할을 하지 않았던 건 아니다. 그렇지만 그가 돋보이는 건 다른 인물들과 함께 앙상블을 이루는 연기이고, 특히 상대 역할보다 한 걸음 뒤로 물러나 있을 때다. 

 

이창동 감독의 ‘초록물고기’로 대중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후 이를 눈여겨 본 송능한 감독의 ‘넘버3’에서 지금도 대중들에게 회자되는 인물은 바로 송강호다. ‘헝그리 정신’을 강조하며 그가 하는 일장연설 장면은 무수한 패러디가 될 정도로 화제가 됐다. 주인공보다 더 주목받는 장면을 인상적인 연기로 만들어냈던 것이다. 그래서 박찬욱 감독의 ‘공동경비구역 JSA’에서는 이병헌만큼 송강호가 빛났고,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에서는 김상경만큼 송강호의 존재감이 두드러졌다. 이것은 박해일, 배두나, 변희봉, 고아성이 함께 한 ‘괴물’에서도, 이병헌, 정우성과 함께 했던 김지운 감독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어딘가 한 발 물러서 있다. 그래서 작품이 그리고 있는 세계를 좀더 관망하면서 거기에 맞는 가장 자연스러운 연기들을 꺼내놓는다. 한 발 물러서 있어 오히려 도드라지는 역설이 가능해지는 이유다. 

 

송강호의 이런 면모가 가장 매력적으로 드러난 작품은 전도연에게 칸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안겼던 이창동 감독의 ‘밀양’에서였다. 남편과 사별후 어린 아이와 함께 밀양에 오게 되지만 아이마저 유괴로 잃은 후 모든 게 무너져 버린 신애(전도연) 옆에서 그를 지켜보며 주변을 맴도는 종찬 역할을 연기했다. 사실상 ‘밀양(密陽)’ 즉 ‘Secret sunshine’ 같은 존재로, 어둠 속에 갇힌 신애에게 작은 빛을 주는 그런 역할을 역시 ‘한 발 물러서 있는’ 모습으로 송강호는 연기함으로써 전세계 평단의 극찬을 받았다. 

 

특히 이런 자연스러운 면들은 그가 표현한 인물들이 너무나 한국적인 초상들을 그려내게 한 이유가 됐다. ‘변호인’의 국선변호인, ‘밀정’의 독립운동가, ‘택시운전사’의 5.18 민주화운동의 증언자, ‘기생충’의 반지하 서민 등등 그는 다양한 시대적 인물들을 연기했지만 그 인물들에는 모두 송강호 특유의 한국적인 정감 같은 것들이 묻어난다. 이것은 우리가 그 시대를 떠올릴 때 연상될만한 당대 인물들의 초상 같은 느낌이 있다. 

 

‘삼식이 삼촌’ 역시 마찬가지다. 60년대부터 70년대까지 압축성장을 해온 그 시기를 막연히 어둠으로만 기억하고 있는 이들에게, ‘삼식이 삼촌’은 당대의 먹고 사는 일이 얼마나 사람들의 욕망을 건드렸던가를 한국적인 느와르로 보여준다. 물론 그 욕망이 비뚤어진 행동으로 이어지고 그것이 만만찮은 후유증으로 남아 그가 연기했던 ‘택시운전사’의 비극과 ‘기생충’의 양극화로 훗날 돌아오게 되지만, 적어도 그의 설득력 있는 연기는 이 인물을 미워할 수만은 없게 만든다. 한 발 물러서 보면 다르게 보인다던가. 그것이 지나간 시대이건, 한 사람의 아픈 삶이건, 혹은 치열한 연기의 세계이건, 한 발 물러서 보면 보이는 게 다르고 그래서 그걸 더 잘 소화할 수 있다는 걸 송강호만큼 잘 보여주는 배우도 없을 듯 싶다. (글:국방일보, 사진:디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