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유나, 어리다고 무시하지 말아요 본문

이주의 인물

유나, 어리다고 무시하지 말아요

D.H.Jung 2024. 9. 22. 20:00
728x90

‘굿파트너’에서도 증명한 아역 그 이상의 배우 유나

굿파트너

흔히들 아역이라고 하면 성인역의 보조 역할 정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과거에는 실제로 그랬지만 지금은 달라졌다. 아역이 극의 메인 캐릭터로 들어오기 시작했고, 그 아역의 존재감으로 인해 극의 흐름이 바뀌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굿파트너’에서 차은경(장나라) 이혼 전문변호사의 딸 재희(유나)는 단적인 사례다. 재희는 ‘굿파트너’라는 작품이 여타의 이혼 소재 드라마들과 차별화를 만들어내는데 중요한 변수가 되는 인물이다. 즉 이혼 소재의 드라마들은 흔히 이혼 사유를 만들어낸 배우자와 이로 인해 심적 고통을 겪는 배우자가 대결하고 이를 통해 권선징악의 단순한 결론으로는 흘러가는 경향이 있다. 불륜 배우자가 응징되는 복수극 형태의 서사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이혼의 현실은 어떨까. 그런 단순한 응징과 복수의 서사로는 이해되기 어려운 지점이 있다. 그건 바로 자녀의 문제다. 부부들끼리는 서로 상처를 주면서 되돌릴 수 없을 만큼 마음이 갈라졌다고 해도, 이들은 자신들의 이혼으로 인해 자녀가 겪을 상처에 있어서는 같은 입장이 된다. 이른바 자신은 남편을 잃었지만 자식까지 아빠를 잃게 하고 싶지는 않은 게 이들의 입장이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재희라는 캐릭터는 ‘굿파트너’라는 이혼 소재 드라마를 색다르게 만들어낸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관건이 되는 건 이 만만찮은 아역을 과연 누가 제대로 소화해낼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이 역할을 맡은 유나는 아역이라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깊이 있는 연기를 선보였다. 부모들의 문제에 있어서 아무 것도 모르는 줄 알았던 이 아이가 사실은 아빠 김지상(지승현)의 불륜 사실을 엄마보다 먼저 알고 있었다는 건 시청자들에게도 큰 충격을 주었다. 엄마를 똑닮아서 ‘리틀 차은경’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똑부러지는 시크함을 가진 재희는 그래서 부모가 이혼하는 문제에 있어서도 그건 어른들이 결정할 일처럼 대하는 듯 보였다. 하지만 그건 애써 감정을 드러내지 않았을 뿐이었다. 결국 차은경과 김지상의 이혼 소송의 핵심은 누가 재희를 키우느냐를 두고 벌이게 된 양육문제가 되고, 여기서 재희는 드디어 아빠에 대해 꾹꾹 눌러왔던 감정을 폭발한다. 자신은 나름대로 아빠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기회를 줬지만 끝내 아빠는 거짓말을 했다는 것. 차은경 앞에서도 뻔뻔하게 버텼던 김지상은 딸의 그 말에 무너진다. 같이 살자며 두고두고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갚아나가겠다는 그에게 재희는 놀라운 말을 한다. “아빠랑 안 살아. 잘못한 사람은 벌 받아야지. 아빠한테 가장 큰 벌은 나 못보는 거잖아.”

 

이 대사에서 유나의 배우로서의 무한한 가능성이 엿보이는 건, 거기에 아이 본연의 모습과 더불어 어른스러운 이 아이의 캐릭터 또한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있어서다. 아빠를 여전히 사랑하는 마음과 미워하는 감정이 겹쳐져 있다. 이 복합적인 감정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유나는 표현해낸다. 결국 엄마와 단둘이 살아가게 되면서 재희는 또한 아빠의 빈자리를 계속 느끼게 되는데 결국 그 부재를 절감한 재희가 “그냥 아빠가 너무 보고싶어”라고 말하는 대목에서도 이 인물의 복합적인 내면이 엿보인다. 아역이지만 그저 아이의 연기라고 보기 어려운 유나의 연기력이 돋보이는 지점이다. 

 

유나라는 배우의 가능성은 이미 애플TV+ 오리지널 드라마 ‘파친코’에서 어린 선자의 모습으로 등장했을 때부터 눈에 띠었다. 갈대 숲속에서 잠자리를 잡아주는 아버지를 향해 미소를 짓는 어린 선자의 매력적인 모습이 그랬다. 또 영도 어시장에서 일본인 순사가 지나가자 모두가 고개를 숙일 때 홀로 고개를 숙이지 않는 어린 선자의 모습은 향후 이 인물이 얼마나 당차게 거친 세상을 헤쳐나갈 것인가를 가늠하게 만들어준 면도 있었다. 

 

유나의 이런 연기 잠재력이 폭발한 건 ‘유괴의 날’에서 천재 소녀 로희 역할을 연기해내면서다. 김명준(윤계상)이라는 착하고 어설픈 유괴범에게 유괴된 로희는 오히려 유괴범에 이것저것을 요구하는 모습으로 유괴를 소재로 하는 범죄스릴러의 평이한 서사구조를 뒤집는다. “유괴를 했으면 책임을 져야지.”라고 로희가 말하면 명준은 “뭘 책임 져? 유괴를 당한 아이는 경찰이 책임을 져야지.”라고 말하는 식이다. 범죄스릴러의 틀을 갖고 있지만 ‘유괴의 날’은 아이들을 성적 순으로 세우고 그래서 1등과 꼴등을 나눠 그 가치를 판단하는 비뚤어진 어른들의 세상을 꼬집는 드라마다. 로희는 바로 그 어른들의 욕망이 투사된 1등 천재를 만들어내기 위한 실험의 연구대상이 된 아이다. 그래서 착한 유괴범이 차라리 가장 어른다운 모습으로 로희를 지키려는 상황을 통해 진정한 어른이 부재한 우리네 현실을 꼬집는다. 여전히 아이지만 아이답지 않은 조숙한 면들을 가진 로희를 유나는 완벽하게 소화해낸다. 사실상 김명준을 쥐락펴락할 정도로 똑똑한 로희는 그러나 그렇게 정들었던 아저씨와 헤어지는 순간에 아이의 면모를 그대로 드러낸다. “나 이런 말 하기 진짜 싫은데 난 아저씨랑 같이 있는게 너무 좋단 말이야. 나한테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고 바라지 않는 사람이랑 내가 배고픈지 졸린지 심심한지 그런 관심 주는 사람이랑 나 처음 있어본단 말이야. 제발 가지마. 아저씨 가지마.” 천상 어린아이의 모습과 더불어 조숙한 면모를 왔다갔다 하는 연기. ‘유괴의 날’에서부터 ‘굿파트너’까지 이어진 유나라는 배우의 잠재성이 느껴지는 연기가 아닐 수 없다. 

 

유나의 배우로서의 성장은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 2022년 ‘파친코’를 내놨고, 2023년 ‘유괴의 날’을 그리고 올해 ‘굿파트너’로 매년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 과정을 보면 우리가 막연히 어리다고만 생각해온 아이의 다른 면들을 생각하게 된다. 물론 그 나이의 아이다운 면을 보이는 건 당연하지만, 그렇다고 어른들의 잣대로 함부로 얘기할 수 없는 생각과 아픔 같은 것들도 갖고 있다는 걸 이 배우의 깊이 있는 연기가 보여준다. 하긴 아역을 성인역의 보조 역할로 생각하는 그 태도 자체가 구시대적 산물이다. 아이는 어려도 아이 나름대로의 세계가 있다는 걸 유나라는 배우의 필모가 말해주고 있다. (글:국방일보, 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