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고 보는 고선웅 연출 돋보인 ‘퉁소소리’의 묵직한 희비극
살아있다는 건 무슨 의미일까. 매일 새벽 아픈 어깨를 이끌고 책상에 앉아 글을 쓰고 내게 묻곤한다. 미력하나마 무언가 세상을 향해 소리를 내고 있다는 것. 하다못해 작은 날갯짓이라고 하고 있다는 것. 그래서 그 미세한 떨림이나마 전해져 죽지 않았다는 걸 드러낸다는 것. 그런 게 아닐까. 믿고 보는 고선웅이 각색하고 연출한 연극 ‘퉁소소리’는 바로 그 살아있다는 것의 의미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끝끝내 버텨낸 이들의 대서사시를 통해 유쾌하면서도 묵직하게 그려낸 희비극이다.
아마도 현재의 청년들은 수능시험에 지문으로 등장하곤 했던 ‘최척전’을 기억할 게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그리고 병자호란의 전쟁 통에 이별과 만남을 거듭하는 최척과 옥영 그리고 그 가족들의 대서사시다. 조선에서부터 명나라, 일본, 안남(베트남)까지를 넘나드는 이 소설은 1621년 조위한이 당대 벌어졌던 전쟁의 참상 속에서 민초들이 겪은 고통을 최척과 옥영의 파란만장한 삶과 사랑으로 그린 작품이다. 극작가이자 연출자인 고선웅 서울시극단 단장은 그 최척전을 원작으로 가져와 특유의 유머와 풍자를 섞은 기발한 연극무대로 내놨다.
엄청난 스케일을 가진 원작이 가진 감동은 이 작품이 ‘기우록(奇遇錄)’이라 불리는 것처럼 기막힌 이별과 만남의 과정에서 나온다. 물론 그건 우연적 요소가 짙지만, 전쟁이라는 비극 속에서 어쩔 수 없이 그 소용돌이 속에 휘말린 운명들이 전하는 연민의 정서와 더불어 어쩔 수 없이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헤어진 자들은 그렇게 다시 만나고, 만났던 이들은 또다시 헤어지며 끝끝내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다시 만나게 된다.
“죽지 않으면 반드시 즐거운 일이 있다”는 일관된 메시지는 수백 년 전에 나온 이 작품이 현재에도 울림을 주는 이유다. 지금도 지구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들과, 그곳에서 죽어가는 무수한 생명들이 있지만 그저 글 한 줄, 뉴스 한 대목으로 치부되는 세태에 이 작품은 거기 소중한 삶들이 있다고 부르짖는다. 그리고 이건 딱히 전쟁이 아니라도, 저마다의 치열한 각자도생의 전쟁을 각자의 삶에서 치르고 있는 이 신자유주의 시대의 모든 생존자들에게 던지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살아남아라. 그러면 끝내 즐거운 일 있을 것이니.
‘퉁소소리’가 놀라운 건 이 아시아를 넘나드는 엄청난 스케일의 서사를 작은 무대 하나 위에서 생생하고 또 속도감 있게 담아내고 있다는 점이다. 고선웅 연출은 자칫 비감으로만 흐를 수 있는 서사에 특유의 유머 감각을 더한 연출로 발랄함을 더했고, 그 발랄함은 어느 순간에는 희극과 비극이 사실은 동전의 양면처럼 같은 사태의 다른 면이라는 걸 드러내면서 묵직한 울림으로 변모한다.
속도감을 만들어낸 건 막과 장의 구분을 만드는 연극의 암전을 지워내고, 무대 위에서 검은 옷을 입은 보조자들이 극이 진행되는 동안 무대 위 소품들을 옮겨줌으로써 극이 끊어지지 않게 해주는 연출방식 덕분이다. 이것은 고선웅 연출자가 갖고 있는 ‘자연스러운’ 연출(완벽함이 가진 인위성을 덜어내고 성기지만 자연스러운)철학이 투영된 것으로, 이 검은 옷의 보조자들이 가진 이미지는 삶 저편의 어떤 힘(운명이나 죽음 같은)을 상징하는 듯한 뉘앙스까지 담긴다. 그래서 후반부에 가면 최척이 그 검은 옷으로 상징되는 자들을 뚫고 나오려 안간힘을 쓰고 절규하는 장면에서 소름돋는 감동이 생겨나기도 한다.
사실 이처럼 전쟁으로 멀리 떠났던 이가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는 긴 여정을 담은 조선시대판 오딧세이는 최근 개봉한 영화 ‘글래디에이터2’의 서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 여정 속에서 헤어졌던 부부가 만나고 부모와 자식이 만나는 운명적 이야기 또한 마찬가지다. 하지만 엄청난 스펙터클로 막대한 물량의 자본을 통해 연출된 영화 ‘글래디에이터2’가 끝내 보고나면 뻔한 복수극의 허무함으로 남는대신, 그저 소박한 무대 하나지만 그 광대한 서사들을 물 흐르듯이 들려주는 ‘퉁소소리’는 끝나고 나서도 오래도록 여운을 남긴다.
그 이유는 ‘살아있다’는 그 의미에 대해 이 작품이 보여주는 깊이 있는 시선 때문이다. 어찌 보면 살아있다는 건 숨쉰다는 뜻이고, 퉁소소리는 바로 그 숨을 불어 넣음으로써 만들어내는 음악이다. 누군가 숨을 불어넣어야 그건 살아있는 게 되는데 그건 또한 예술이기도 하다. 그래서 최척이 그 멀고도 먼 외딴 나라에서 퉁소를 불어 자신이 살아있다는 걸 드러내고, 그 소리를 듣고 아내 옥영이 기적처럼 나타나는 장면은 그저 우연적 사건이 아니라 우리네 인생의 비의처럼 다가온다. 소리내어라. 그래서 살아있다는 걸 드러내는 일은 기적 같은 우리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일이라고 ‘퉁소소리’는 말하고 있다.
그래서 ‘퉁소소리’는 또한 예술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 또한 던져 놓는다. 그건 삶을 담는 것이고, 살아있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그 무대를 통해 증언하는 것이다. 매일 아픈 어깨를 이끌고 책상머리에 앉아 글을 쓰는 이유도 그것이 아닐까. 그러고 보면 아주 미력하고 소소한 세상 어느 누군가의 작은 소리와 몸짓 하나도 그래서 예술 아닌 게 없다. 살아있다는 것만으로도. (사진:연극'퉁소소리')
'대중문화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장의 진화 (1) | 2024.12.23 |
---|---|
금기를 깨고 성공한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가 시사하는 것 (1) | 2024.11.25 |
‘정년이’로 국악에도 쏠리는 비상한 관심 (0) | 2024.11.11 |
언제까지 K팝을 아이돌 음악의 틀에 가둘 것인가 (0) | 2024.10.27 |
한강의 기적 (2) | 2024.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