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친밀한 배신자’에서 읽는 드라마업계 위기극복법
지금 드라마업계는 위기라는 말이 실감나는 상황이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제작비에 비해 장르화되고 공식화된 문법 속에서 차별화된 작품이 나오지 않는 현실 때문이다. 그래서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의 성공은 눈에 띤다. 금기를 깨고 거둔 성취이기 때문이다.
범죄 스릴러는 성공 가능성 낮다? 천만에!
종영한 MBC 드라마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는 범죄 스릴러다. 시청률이 과거만큼 중요한 지표는 아니지만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는 지상파에서 스릴러는 그다지 유리한 장르는 아니다. 특히 요즘처럼 이른바 고구마-사이다의 이분법으로 드라마를 선택하는 경향에서는, 뒷부분에 이르러야 겨우 사건의 진상에 도달하고, 진범을 잡는 사이다 전개가 이어지기 마련인 범죄 스릴러는 불리하다. 사건이 터지고 시청자들을 복잡한 미로 속으로 빠뜨리는 그 과정은 자칫 긴긴 고구마 전개처럼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역시 초반 기대감이 그리 높진 않았다. 워낙 주인공인 프로파일러 장태수(한석규)가 처한 상황이 비극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장태수는 과거 어린 아들을 잃었고 그 때 함께 있었던 장하빈(채원빈)을 의심했다. 평범하지 않은 딸이었기 때문이다. 사이코패스는 아니지만 감정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 딸이었다. 하지만 이 의심 하나는 그의 가족을 파탄지경으로 몰고 갔다. 이혼한 아내는 자살을 했고, 딸은 장태수와는 말도 섞지 않은 채 엇나가기 시작했다. 딸에게서 무언가 일을 꾸미는 듯한 불안감을 느끼던 와중, 장태수는 수사하는 사건에서 자꾸만 딸의 흔적이 발견되는 일을 겪는다. 프로파일러로서 사건의 진실만을 냉철하게 바라봐야 하지만 그 정황과 증거들이 딸을 범인으로 지목하는 상황 속에서 장태수는 딜레마에 빠진다.
이런 비극이 가진 무거움에도 불구하고 첫 시청률이 5.6%(닐슨 코리아)로 시작한 건 한석규 같은 대배우의 아우라가 작용한 면이 있었다. 실제로 그는 초반 시청자들의 마음을 장태수라는 인물에 몰입하게 만드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했다. 스릴러의 고구마적인 성격 때문에 2회에 4.7%로 떨어졌지만, 한석규의 차분하면서도 고통스러워하는 아버지이자 프로파일러인 인물의 심리를 제대로 표현해낸 연기는 시청자들의 시선을 붙잡는 힘을 발휘했다. 그렇게 시청자들을 그 미로의 덫에 빠뜨리며 점점 텐션을 높인 드라마는, 갈수록 반전의 반전을 이어가며 열광적인 반응들을 이끌어냈고 마지막회에 이르러서는 최고 시청률 9.6%의 높은 수치로 마무리 됐다.
무엇이 그 저력이었을까. 그건 스릴러라 처음부터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기는 어렵지만 차곡차곡 빌드업해나가다 보면 끝내 폭발력을 발휘할거라는 그 뚝심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런 흐름은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바로 직전에 방영됐던 변영주 감독의 범죄 스릴러 ‘백설공주에게 죽음을-Black Out’에서도 똑같이 발견된 결과였다. 첫 회 2.8%로 시작한 드라마는 마지막회 8.8% 최고시청률로 마무리됐다. 스릴러가 고구마 전개라 안되는 것이 아니라, 차곡차곡 빌드업을 제대로 했는가 아닌가가 성패의 관건이라는 걸 이 두 편의 범죄 스릴러는 수치로 확인시켜줬다.
신인 감독, 작가는 어렵다? 글쎄...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가 더더욱 놀라운 건 이 대본을 쓴 한아영 작가나 작품을 연출한 송연화 감독 모두 신인 작가, 감독이라는 사실이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는 한아영 작가가 2021년 MBC 드라마 극본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은 작품이다. 본래는 ‘거북의 목을 노려라’였지만 제목만 바꿨다. 신인이지만 워낙 촘촘한 심리변화와 반전의 묘미가 가득한 정교한 플롯으로 심사위원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다고 한다. 또 이 작품을 연출한 송연화 감독은 2021년 방영됐던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경험을 쌓고 그 다음해에 4부작 ‘멧돼지 사냥’을 연출했다. 아직까지 신인이라고 해도 무방한 경력의 감독인 셈이다.
신인 작가의 대본에 아직은 경험이 많지 않은 감독에게 10부작의 범죄 스릴러를 맡겼다는 건 이 작품이 얼마나 도전적이었는가를 잘 말해준다. 드라마업계에서는 파격적인 선택인데다, 요즘처럼 업계가 힘든 상황에서는 더더욱 어려운 선택일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이러한 도전적인 선택은 오히려 식상함을 깨고 참신한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가 되어주었다.
범죄 스릴러지만 가족이라는 코드를 넣어 치밀한 심리 대결이 펼쳐지는 색다른 서사가 시청자들을 열광케 했다. 그리고 의심이 만들어낸 파국 속에서도 끝까지 진실을 찾아가고 나아가 불신했던 자신의 과오를 뉘우침으로써 가족이 신뢰를 찾아가는 그 과정이 작위적인 느낌없이 펼쳐졌다. 여기에 송연화 감독의 ‘미친 디테일’과 심리 묘사가 담긴 연출이 빛을 발했다. 자칫 시청자들을 답답하게 만들 수도 있는 어두운 연출과, 반복되는 미장센을 통한 심리 묘사는 뚝심 있게 밀고 나감으로써 끝내 빌드업의 카타르시스를 만들어냈다.
신인이어서 리스크가 크다는 드라마업계의 오랜 금기는 이 작품에서는 오히려 깨버려야할 어떤 틀에 박힌 공식이라는 걸 드러냈다. 거꾸로 이야기하면 중견이어서 갖게 되는 리스크 또한 클 수 있다는 걸 이 작품은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도망치고 추격하는 범죄 스릴러의 그 흔한 공식은 이제 시청자들도 식상해하는 것이 아닌가. 또 어디서 본 듯한 적당한 고구마와 사이다를 반복하는 연출방식도 마찬가지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는 그래서 이러한 금기로 여겨진 틀들이 어쩌면 우리네 드라마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일 수 있다는 걸 드러내줬다.
한국 드라마 업계의 위기, 결국 작품으로 돌파해야
최근 한국 드라마 업계는 ‘위기’라는 말이 일상어가 되었다. K드라마의 위상이 높아졌지만, 그만큼 제작비도 급상승함으로써 제작하면 할수록 손실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높아진 제작비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야 하지만, 글로벌에서 통하는 배우들도 한정적이다. 출연하기만 해도 해외 판권이 팔리는 배우들이 있는 반면, 연기력으로는 국내에서 누구나 인정받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팔리지 않는 배우들도 적지 않다. 이러한 양극화는 출연료의 양극화도 만들어내면서, 전반적인 제작비 상승을 부추긴다. 이건 물론 액수의 차이는 있지만 스타 작가나 스타 연출자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처럼 해외에서 이른바 ‘팔리는 배우’를 세우고 들어가는 제작은 작품의 부실을 가져올 위험성이 있다. 실제로 과거 2000년대 초반 ‘겨울연가’가 욘사마 열풍을 타고 한류 바람을 일으켰을 때, 몇몇 스타 배우들을 앞세운 기획들이 연달아 실패하는 일들이 벌어진 적이 있었다. 스타 배우에 집중한다는 건, 제작비의 쏠림 현상도 만들어 상대적으로 작품의 완성도는 부실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글로벌 OTT를 상대로 이른바 잘 나가는 제작사들이 내놓은 일련의 작품들이 들인만큼의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는 건 어쩌면 이러한 기형적 흐름이 ‘본질’에 충실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가 도드라져 보이는 건 그래서다. 특정 장르가 어렵다거나 혹은 신인은 안된다는 관행들을 깨고 그것이 오히려 성공 가능성이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있어서다. 결국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은, 본질로 다시 돌아가는데서 나올 수 있다. 어떻게 하면 재기발랄한 신인들을 찾아내 작품 본질에 집중할 것인가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글:시사저널, 사진:MBC)
'대중문화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핵 정국에 다시 보이는 K콘텐츠의 진면목 (2) | 2024.12.23 |
---|---|
광장의 진화 (1) | 2024.12.23 |
‘퉁소소리’, 나는 이 조선시대판 오딧세이가 ‘글래디에이터’보다 낫다 (0) | 2024.11.18 |
‘정년이’로 국악에도 쏠리는 비상한 관심 (0) | 2024.11.11 |
언제까지 K팝을 아이돌 음악의 틀에 가둘 것인가 (0) | 2024.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