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인물

임지연, 삶의 진가는 나를 온전히 아는데서부터

728x90

‘옥씨부인전’, 임지연이 보여주는 사람의 진가

옥씨부인전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불태(百戰不殆)다.” 손자는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고 한 바 있다. 그런데 이 말은 병법에만 적용되는 말이 아니다. 손자병법이 사회생활에서의 처세술이면서 동시에 삶의 철학으로도 읽히듯이, 이 말은 우리가 자신의 삶을 어떻게 대해야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으로도 읽힌다. 그런데 이 말에서 우리는 흔히 ‘상대를 안다는 것’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즉 대적해야할 상대를 분석하는 일이 승리의 첫걸음이라 여기곤 한다. 그런데 상대에 대한 분석만큼 중요한 것이 ‘나를 아는 것’이다. 진짜 자신의 온전한 모습을 알지 못한다면 엉뚱한 길에서 시간만 낭비할 수 있고, 나아가 진짜 자신 안에 있는 잠재력을 발휘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배우 임지연이 최근 몇 년 간 성장해온 과정을 보면 바로 이 잠재력이 느껴진다. 온전한 자신을 찾아냄으로써 거기서 비롯되어 무한정 튀어나오는 잠재력이.

 

사실 임지연이라는 배우를 대중들 앞에 각인시킨 작품은 영화 ‘인간중독’이었다. 하지만 이 작품이 임지연의 진가를 끄집어낸 작품은 아니다. 베트남전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남편의 상사와 불륜을 저지르는 인물을 연기하면서 임지연은 가녀리면서도 때론 대담한 모습을 그려냈지만 그건 그녀의 진가를 오히려 가려버렸다. 안타깝게도 이 작품과 더불어 ‘간신’에서도 관습적인 역할이 주어지면서 그녀의 이미지는 고정되고 한정되는 듯 보였다. 드라마를 통해 임지연은 그 이미지를 벗어버리려 애썼다. ‘상류사회’, ‘대박’, ‘닥터스’, ‘불어라 미풍아’, ‘웰컴2라이프’, ‘장미맨션’ 등등 다양한 작품에서 액션은 물론이고 코미디, 사극, 청춘물, 스릴러까지 도전했지만 이 초반의 굳어진 이미지의 변신은 결코 쉽지 않았다. 

 

하지만 이 끝없는 노력과 도전은 ‘더 글로리’의 박연진을 만나면서 결국 성취로 돌아왔다. 학교폭력을 스스럼없이 저지르면서도 아무런 죄의식조차 느끼지 못하는 이 희대의 악역은 드디어 과거의 그 관습적인 이미지를 깨버리고 임지연의 연기자로서의 잠재력을 끄집어냈다. 물론 ‘더 글로리’의 주인공은 학교폭력의 피해자인 문동은(송혜교)이고 그래서 그녀가 하나하나 실행해가는 복수극이 이 작품의 매력이지만, 그 동력을 만든 건 다름 아닌 박연진이라는 악역 캐릭터였다. 그녀를 미워하면 할수록 이 작품의 복수극은 시원해졌고, 그건 또한 임지연에게 덧씌워져 있던 껍질을 벗겨주었다. 대중들은 송혜교만큼 임지연에게도 열광했다. 

 

그리고 이어진 ‘마당이 있는 집’은 드디어 잠재력이 열린 임지연의 가능성들이 생각보다 훨씬 넓다는 걸 보여줬다. 이 작품을 통해 임지연이 만난 추상은이라는 인물은 ‘더 글로리’의 박연진과는 정반대에 서 있는 인물이었다. 박연진이 가해자라면 추상은은 피해자이고, 박연진이 분노를 불러일으켰다면 추상은은 연민을 불러일으켰다. 지독한 폭력 앞에 덜덜 떨던 이 인물이 드디어 벼랑 끝에서 ‘선택’을 하고 실행을 한 후 빗속에서 덜덜 떨며 보여주는 장면은 거의 접신한 듯한 몰입감을 만들었다. 특히 그 후 이 인물이 보여주는 먹방 장면은 심지어 삶의 허기까지 느껴지는 명장면으로 남았다. 

 

임지연의 이런 행보를 염두에 두고 보면 ‘옥씨부인전’이 작품이 새삼스럽게 보인다. 구덕이라는 노비가 도망쳐 우연히 만난 옥태영이라는 양반집 아씨의 삶을 대신 살게 된다는 파격적인 내용을 가진 이 사극에서, 임지연은 바로 그 구덕이였다가 옥태영이 된 인물을 연기했다. 노비와 양반으로 나뉘는 반상의 법도가 엄연한 조선사회에서 그 정체를 숨긴 채 양반행세를 하며 살아가는 인물의 생존기를 그린 작품이지만, 이 작품은 또한 연기와 삶에 대한 통찰이 엿보이는 작품이기도 하다. 노비의 삶에서 벗어나 양반집 아씨가 된 옥태영은 그 가짜 신분의 삶에서 오히려 그 진가를 드러낸다. 억울한 일을 당하고도 항변할 기회조차 없는 민초들을 대변하는 외지부(당대의 변호인) 일을 하게 되면서 놀라운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그것은 아마도 진짜 양반집 아씨로 살아왔다면 알 수 없었을 민초들의 삶을 옥태영이 속속들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작품은 아이러니를 담고 있다. 진짜가 아닌 가짜의 삶을 선택한 이가 바로 거기서 자신의 진가를 발휘하게 된다는 아이러니다. 

여기서 들여다 봐야 할 것은 과연 무엇이 진짜이고 가짜인가 하는 점이다. 구덕이라는 노비로서의 삶은 스스로 선택한 삶이 아니다. 그저 주어진 운명에 의해(외부의 힘에 의해) 정해진 삶일 뿐이다. 하지만 옥태영으로서의 삶은 자신이 선택한 삶이다. 그래서 구덕이가 선택하고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옥태영의 삶은 진짜 옥태영의 그것과는 다른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구덕이는 옥태영이라는 자신이 선택한 제2의 삶을 살아간다고 말할 수 있다. 

 

‘옥씨부인전’이 보여주는 구덕이가 옥태영이라는 인물이 되어 제2의 삶을 살아가는 과정은 연기자들이 역할을 맡아 연기하는 과정과 그리 다르지 않다. 임지연은 박연진도 아니고 추상은도 아니며 그렇다고 구덕이도 또 옥태영도 아니다. 하지만 그 역할을 맡아 임지연은 자신의 안에 숨겨져 있는 박연진, 추상은, 구덕이, 옥태영을 끄집어낸다. 그것이 바로 연기의 세계다. 그래서 어떤 경우는 특정한 역할이 그 연기자의 진짜 잠재력을 꺼내주기도 한다. 임지연이 소화했던 박연진, 추상은 같은 역할들이 그것이다. 

 

결국 삶에서 중요한 건 진정성이 아닐까. 온전히 나를 깊게 들여다보지 않으면, 그저 주어진대로 누군가 원하는대로 휘둘리는 삶을 살게 될 수도 있다. 보다 나은 삶은 그래서 먼저 진짜 나를 아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옥씨부인전’에서 구덕이가 온전히 옥태영이 되어서야 비로소 자신의 진가를 찾아낸 것처럼. 또 ‘더 글로리’를 만난 후 진가를 알게 된 임지연처럼 우리가 먼저 알아야 할 것은 바로 나 자신이다.(글:국방일보, 사진: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