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사랑 내 곁에'의 열연, 김명민만이 아니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9. 9. 25. 07:43728x90
'내 사랑 내 곁에'의 진정성을 만든 배우들
20kg이라는 살인적인 감량. 뼈만 앙상하게 남은 몸. 심지어는 미이라 같다는 말까지 들은 김명민의 바짝 마른 몸에서는 눈물 한 방울 나오는 것조차 신기할 따름이었다. 루게릭병 환자 백종우 역을 하면서 그는 보통 사람과는 다른 중력을 견뎌내고 있었다. 손가락 하나 들어올리기가 어렵고, 얼굴에 달라붙은 모기 한 마리 쫓아내지 못하는 이 잔인한 병은 고단하고 힘겨운 육신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김명민이 왜 그런 몸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했는지 이해가 되는 대목이다. 그는 이 영화의 다른 중력을 만들어내고 있었으니까. 자칫 눈물의 신파로 번져나갈 수 있는 어수룩한 루게릭병 흉내로는 이 병이 갖는 눈물의 진정성을 보일 수 없었을 테니까.
이처럼 이 영화에서 김명민에 대한 주목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 영화에는 김명민만 있는 것이 아니다. 먼저 주목할 만한 연기자는 상대역인 하지원이다. 그녀는 점점 히스테릭해지는 백종우의 짜증을 다 받아내면서 웃음 뒤에 눈물을 삼키는 연기를 보여주었다. 손 하나 움직일 수 없는 백종우를 즐겁게 하기 위해 병실에서 핑클의 노래에 맞춰 춤을 추는 장면은 백종우가 가진 무거운 중력의 세계 속에 한 줄기 깃털 같은 미소를 만들어낸다. 다리를 다친 장의사였던 아버지, 장례지도사라는 직업은, 죽음을 공기처럼 마시면서도 밝게 살아가는 그녀가 왜 백종우 앞에 갑자기 나타나 사랑을 '불태우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그녀의 눈물은 한 사랑하는 남자 앞에서의 한 여자의 눈물이면서, 동시에 그 죽어가는 인간을 바라보는 인간으로서의 눈물을 보여준다.
이 영화가 단지 백종우와 이지수(하지원)의 슬픈 러브스토리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루게릭병이라는 소재를 통해 인간애를 다루는 것이라는 점에서, 김명민과 하지원 이외에 같은 병실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은 조역이라기보다는 또 다른 주연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눈에 띄는 인물은 개그맨에서 묵직한 연기로 돌아온 임하룡과, 삭발투혼까지 벌인 임성민의 열연이다. 거의 시체처럼 누워있는 춘자 역할을 맡은 임성민은 단 한 번 움직임을 보여줄 뿐이지만 상대역인 임하룡 특유의 너스레가 섞인 안타까운 얼굴과 어울리며 눈물 섞인 웃음을 만들어낸다. 아내의 죽음을 앞에 둔 자의 농담은 웃기는 만큼 눈물겹다.
브라운 아이드 걸스의 손가인은 피겨스케이팅에서 트리플 악셀을 하다가 사고를 당해 전신마비가 된 서진희를 연기한다. 보는 이들을 심지어 분개하게 만드는 그 자연스러운 싸가지 연기는 첫 연기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 유일하게 자신을 꾸짖는 백종우와 서로 움직이지 못하는 몸을 침상에 두고 "너 이리와 봐!"하고 한 바탕 말로 싸우는 장면은 우스우면서도 움직일 수 없는 병이 가진 삶의 조건을 다시금 떠올리게 만든다. 한편 9년 동안 식물인간 상태인 남편과 그 남편을 지켜온 아내 역할을 연기한 남능미와 최종률, 그리고 수년째 식물인간 상태인 형과 그 형을 돌봐온 동생 역할의 임종윤과 임형준은 그 애증이 교차하는 환자와 환자가족의 이야기를 먹먹하게 전해준다.
이들은 모두 김명민과 하지원의 연기와 어울려 하나의 거대한 진정성을 구축해낸다. 박진표 감독은 독특한 사건을 만들어내기 보다는 이 특별한 조건에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의 면면을 담담하게 담아내는 것으로 이 발군의 진정성을 담은 연기를 영상에 고스란히 담아낸다. 자칫 감상의 함정으로 빠져버릴 수 있는 이 소재를 멜로가 아닌 휴머니즘으로, 눈물의 신파가 아닌 작품으로 만들어낸 것은 이 배우들의 열연과 그 열연을 과장 없이 담아낸 카메라 때문이다. 이로써 우리는 올 가을 가슴을 울리는 인간애에 먹먹해지는 카타르시스의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히어로와 맞서는 서민형 히어로들 (0) 2009.12.04 '호우시절'이라는 기분좋은 감성 시간여행 (1) 2009.10.09 이들이 하면 신파도 작품이 된다 (0) 2009.09.17 영화는 시작도 안했는데 감동을 주는 배우, 김명민 (0) 2009.08.31 '차우'와 '해운대', 웃음의 롤러코스터를 타다 (0) 2009.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