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
'슬로우비디오', 요란하지 않아 더 좋다 차태현이니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10. 4. 09:27
입소문이 대세라면, 는 만만찮다 요즘 과도한 홍보는 오히려 독이 될 때가 많다. 과도한 홍보가 만들어낸 잔뜩 커진 기대감을 작품이 만족시켜주지 못할 때 그 실망감은 더 커지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차태현이 동체시력(남들은 볼 수 없는 찰나의 순간까지 보는 능력)을 가진 존재로 등장하는 는 그 첫발을 잘 디딘 작품이라고 여겨진다. MBC 에 출연한 차태현이 의 김영탁 감독에게 “천만 영화 죽어도 안 나올 거다”라고 일종의 셀프 디스를 한 것은 어쩌면 대단히 적절했다고 여겨진다. 는 그의 말대로 대단히 빠른 속도로 이어지는 현란한 영화가 아니다. 에 차태현과 함께 나온 김영탁 감독이 자신은 돈 벌면 ‘지루한 영화’를 찍을 것이라는 얘기는 틀린 말이 아니다. 는 블록버스터들의 틈바구니에서 보면 ‘지루한 영화..
-
'씬시티2', 전라로 나와도 자극으로 치닫지 않는 까닭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9. 22. 09:53
그래픽노블 속으로 들어간 의 흥미로운 경험 아마도 이렇게 영화 내내 벗고 나오기도 어려울 듯싶다. 의 팜므파탈 에바 그린은 그 캐릭터가 ‘노출’이라고 해도 될 만큼 시종일관 전라로 출연하는 파격을 보여주었다. 옷을 입고 등장하는 장면보다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채 등장하는 장면이 더 많고, 그러다보니 나중에는 그것이 오히려 더 자연스럽게 여겨지는 기이한 감각체험(?)을 하게 만든다. 흥미로운 건 전라로 출연하지만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느낌이 덜 하다는 점이다. 이렇게 된 것은 프랭크 밀러와 로드리게즈 감독이 만들어낸 예술적인 영상 경험 때문이다. 는 전작이 그랬던 것처럼 감독이 꿈꾸었던 세계, 즉 그래픽 노블의 느낌이 그대로 살아있는 세계를 영화로 구축해낸 작품이다. 흑백 영화 위에 얹어진 컬러 포인..
-
'루시', 만일 최민식이 아니었다면 어쩔 뻔 했나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9. 11. 09:13
의 최민식, 진화론적 보고서를 액션으로 만들다 만일 뤽 베송 감독의 영화 에 최민식이 없었다면 어땠을까. 이 영화는 그저 진화론적 가설의 보고서에 머무르지 않았을까. 예고편을 통해 또 뤽 베송 감독이 만들어냈던 일련의 영화들을 통해 가 스칼렛 요한슨이 나오는 그저 그런 신나는 액션 영화라고 생각한다면 영화를 보고 극장을 나서는 발길이 허무해질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는 그런 액션 영화가 아니다. 는 흥미로운 진화론적 보고서에 가깝다. 이제 겨우 뇌의 10%를 사용하는 인류가 20%를 넘겨 궁극적으로 100%를 사용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인가에 대한 가설들이 한편의 영화 속에 담겨져 있다. 그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과학적 편견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고, 어떤 면에서는 우리의 근원을 찾..
-
100만 돌파 '비긴 어게인', 흥행돌풍 원동력은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9. 8. 09:18
'비긴 어게인', 또다시 음악의 마법을 증명하다 아무도 호응해주지 않는 무대에서 노래를 한다는 기분은 어떨까. 그런 노래에 누군가 놀라운 가능성을 발견해준다면? 영화 의 시작은 마치 의 한 장면처럼 압축적이면서도 인상적이다. 그냥 들려주는 노래보다, 그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 어떤 일을 겪었고 또 그 감정 상태가 어떤가를 보여준 후에 들려주는 노래는 감흥이 다를 수밖에 없다. 은 로 음악의 특별한 힘을 보여줬던 존 카니 감독이 7년 만에 다시 들고 온 음악을 소재로 한 영화다. 한 때는 잘 나갔으나 지금은 루저 취급을 받는 음반 프로듀서 댄(마크 러팔로)과, 스타가 된 남자 친구에게 버림받은 싱어 송 라이터 그레타(키이라 나이틀리)가 뉴욕에서 만나 함께 음악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담았다. 이 영화는 가 그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