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연
-
추영우는 어떻게 ‘옥씨부인전’의 최대 수혜자가 됐나이주의 드라마 2024. 12. 30. 13:49
‘옥씨부인전’, 추영우라는 색다른 이야기꾼 남성상의 등장“너는 네가 방금 먹은 게 주먹밥 같고 여기가 폐가 같으냐?” 불법으로 금광을 채굴하는 이들을 찾아내고 그 작업에 동원된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 산을 헤매다 폐가에서 하룻밤을 기거하게 된 옥태영(임지연)이 뭐가 그리 즐겁냐고 묻자 천승휘(추영우)는 그렇게 말한다. 그러면서 그는 전기수 답게 자신의 상상력을 더해 이야기를 들려준다. “여기는 아늑한 주막이다.” 그러면서 이야기로 그 주막이 어떤 곳인지 그 곳을 그 두 사람이 함께 찾아오면 주모가 부부로 생각해서 한 방을 주고 커다란 암탉을 잡아 저녁을 먹는 풍경을 풀어 놓는다. “어떠냐? 지금도 네가 먹은 게 주먹밥 같으냐?” 그 이야기와 더불어 두 사람 저편으로 그림자극처럼 상상의 영화관이 펼쳐진다...
-
임지연, 삶의 진가는 나를 온전히 아는데서부터이주의 인물 2024. 12. 23. 21:28
‘옥씨부인전’, 임지연이 보여주는 사람의 진가“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불태(百戰不殆)다.” 손자는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고 한 바 있다. 그런데 이 말은 병법에만 적용되는 말이 아니다. 손자병법이 사회생활에서의 처세술이면서 동시에 삶의 철학으로도 읽히듯이, 이 말은 우리가 자신의 삶을 어떻게 대해야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으로도 읽힌다. 그런데 이 말에서 우리는 흔히 ‘상대를 안다는 것’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즉 대적해야할 상대를 분석하는 일이 승리의 첫걸음이라 여기곤 한다. 그런데 상대에 대한 분석만큼 중요한 것이 ‘나를 아는 것’이다. 진짜 자신의 온전한 모습을 알지 못한다면 엉뚱한 길에서 시간만 낭비할 수 있고, 나아가 진짜 자신 안에 있는 잠..
-
‘옥씨부인전’, 평범한 삶조차 허락되지 않는 낮은 자들을 향한 시선이주의 드라마 2024. 12. 16. 14:43
토일드라마 ‘옥씨부인전’이라는 사극이 그리는 건 왕이나 장군 같은 영웅이 아니다. 그렇다고 양반 자제들의 풋풋한 사랑 이야기도 아니고, 중인들의 성장드라마도 아니다. 이 사극의 주인공은 구덕이(임지연)라는 노비다. 구더기처럼 살라고 주인이 지어준 이 참혹한 이름의 주인공은 어린 시절 눈앞에서 병든 어미가, 바로 그 병들었다는 이유로 주인의 명에 의해 아버지의 손에 버려지는 걸 봤다. 그리고 그녀 역시 주인인 김낙수(이서환)의 딸 김소혜(하율리)와 혼담이 오가던 송서인(추영우)과 놀아났다는 누명을 뒤집어쓴 채 멍석말이를 당하고 급기야 김낙수의 수청을 들게 되자 그를 해하고 도망 노비의 신세가 된다. 사극이 노비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는 건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그 첫 번째는 역사가 소외시킨 노비들의 삶..
-
작두 탄 임지연, ‘옥씨부인전’ 심상찮다이주의 드라마 2024. 12. 2. 19:42
‘옥씨부인전’, 시작부터 시청자들 뒤흔든 감정의 정체“제 이름은... 구덕입니다. 구더기처럼 살라고 제 주인이 지어 준 이름입니다.” JTBC 토일드라마 ‘옥씨부인전’에서 구덕이(임지연)는 이름을 묻는 옥태영(손나은)에게 그렇게 말한다. 구덕이. 사람 이름을 어찌 구더기라 지을까. 그것도 구더기처럼 살라고. 하지만 이건 ‘옥씨부인전’이 그리는 조선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서사의 현실이다. 노비들의 이름을 그러했다. 구덕이의 아버지는 개죽이(이상희)였고, 송서인(추영우)의 몸종도 쇠똥이(이재원)였다. 구더기, 개죽, 쇠똥 같은 미천한 존재들. 심지어 ‘몸종’이라 불리던 그들의 이름이다. ‘옥씨부인전’은 바로 그 역사의 기록 따위는 남아 있지 않은 채 구더기처럼 때론 개죽처럼 길가에 널린 쇠똥처럼 살다간 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