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왕 김탁구
-
김탁구라는 빵에는 시대의 맛이 난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8. 27. 10:11
'제빵왕 김탁구', 빵으로 시대를 풀어내다 굶주린 아이가 빵집을 들여다보는 장면은 배고팠던 70년대의 감성을 자극한다. 그 고소하고 달콤한 향기에 씹을수록 말랑말랑한 질감의 기억은 당대의 가난을 향수할 수 있을 만큼 아련하게 다가온다. '제빵왕 김탁구'가 처음 그려낸 정서는 바로 이 가난한 시대에 맡았던 빵의 향기처럼 유혹적이면서도 처절하다. 가난은 폭력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김탁구(아역 오재무) 모자를 삶의 바깥으로 밀어낸다. 그런 탁구를 다시 본래 자리로 돌아오게 하는 것은 다름 아닌 그 배고팠던 시절에 코를 자극했던 빵의 기억이다. 그가 팔봉빵집으로 들어오기까지의 세월은 가난이 몸에 배어 배고픔을 잊기 위해서는 뭐든 했던(그래서 그것이 심지어 '생활의 달인'을 만들었던) 시대를 함축한다. 김탁구..
-
'제빵왕 김탁구', 이것이 중견의 힘이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8. 26. 09:10
'제빵왕 김탁구', 중견의 힘이 40%대의 시청률을 낳았다 "삶이란 겪는 것이다." 이 말을 남기고 팔봉선생(장항선)은 눈을 감는다. 삶이란 힘겨운 일도 있고 즐거운 일도 있지만 그저 그렇게 겪어내며 살아가는 것이라는 뜻. 파란만장한 삶의 한 가운데 서 있는 김탁구(윤시윤)에게 자신을 힘겹게 하는 동생 구마준(주원) 역시 평생 함께 가야할 동반자라는 것을 일깨워준 말이다. 그런데 이 이야기 속에 팔봉선생은 자신의 경험을 덧붙인다. 즉 자신과 경쟁했던 춘배(최일화)와 함께하지 못했던 자신을 한탄한다. 이런 이야기 구조는 '제빵왕 김탁구'의 특징이다. 이 작품에서 이야기는 이처럼 이전 세대와 현 세대가 중첩되며 이어진다. 김탁구와 구마준의 제빵을 두고 벌어지는 경합은 그 세대의 경쟁으로 그려지는 것처럼 보이..
-
모든 악역들은 말한다, "네까짓 게 감히!"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8. 11. 08:00
사회의 양극화를 잘 드러내는 대사, "네까짓 게" "네가 뭔데. 네까짓 게 뭔데 내 자존심을 건드려!" 이 대사는 '나는 전설이다'에서 차지욱(김승수)이 그 아내 전설희(김정은)에게 던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 대사는 화를 못 참아 돌발적으로 나온 그런 것이 아니다. 그는 습관적으로 아내를 이런 식으로 부르곤 한다. 이 상류층 집안사람들도 전설희를 늘 이런 식으로 대한다. 뭐 하나 가진 것 없고 그저 그런 집안에서 태어난 전설희가 언감생심 이 좋은 집안에 시집왔다는 것 자체가 불쾌하다는 식이다. 전설희의 시어머니는 입에 '네까짓 게'를 달고 산다. 결국 이혼을 결심한 전설희는 그런 시어머니에게 말한다. "결혼 내내 어머니께 수도 없이 들었던 네까짓 거라는 말 더 이상 듣기 싫습니다." 우연의 일치인지 아니..
-
70년대가 피었습니다, 활짝!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7. 29. 07:16
'이끼', '자이언트', '제빵왕 김탁구'가 70년대를 택한 이유 드라마와 영화의 시대적 배경으로 70년대가 다시 피어나고 있다. 수목드라마로 40%의 시청률을 넘보고 있는 '제빵왕 김탁구'는 70년대의 질곡을 겪고 자라난 김탁구(윤시윤)가 온갖 고난을 이겨내고 제빵왕으로 성장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고 현재 상승세를 타고 있는 '자이언트'도 70년대 개발시대 강남땅을 놓고 벌이는 치열한 개발전쟁을 다루고 있다. 한편 벌써 25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이끼'도 그 근간을 보면 70년대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70년대 개발시대에 아버지가 겪은 고통의 시간들을 현재의 신세대 주인공이 하나씩 되밟아가는 이야기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하필 70년대 개발시대를 이들 콘텐츠들이 다루고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