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경구와 김희애의 육탄대결을 선택한 ‘돌풍’의 속내이주의 드라마 2024. 7. 14. 11:23728x90
‘돌풍’은 왜 정치드라마가 아닌 정치 활극을 선택했을까
2010년 방영된 드라마 ‘대물’에서 선거 유세 중 서혜림(고현정)이 테러를 당하고 병원에 누워 있다 깨어나 “유세장은요?”라고 했던 대사는 당시 큰 화제가 됐다. 그 대사는 비슷한 상황을 겪었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했다는 “대전은요?”와 너무나 유사했기 때문이다. ‘대물’은 이외에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소재로 내세웠다는 점이나, 대통령 탄핵, 잠수함 침몰, 아랍지역에서의 피랍사건 같은 소재들로부터 멀지 않은 과거 정치사의 한 장면들을 떠올리게 만들었다. 외압이 있었던 것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 이 작품은 초기에 작가와 PD까지 교체되는 일이 벌어졌고 그것이 정치라는 소재의 민감한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실제 박근혜 전 대통령의 모습과 드라마 속 서혜림은 여성이라는 점을 빼고 닮은 구석이 거의 없었고, 또 극중의 그가 보여주는 행동들 속에는 다른 정치인들의 이미지가 더해져 있었던 게 사실이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표적인 그 정치인 중 한 명이다. 탄핵 정국은 물론이고 TV토론 연설에서 서혜림이 이른바 “회초리를 들어주십시오”라고 했던 대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통령의 어버이는 국민입니다. 잘하면 칭찬과 격려를 해주고 잘못하면 회초리를 듭니다”라고 했던 내용을 연상시키기도 했다.
‘대물’의 사례는 정치드라마가 왜 우리네 현실에서 쉽지 않은가를 잘 보여준다. 그만큼 민감한 사안이고, 때로는 전혀 의도치 않게 현실 정치에서 작품을 끌어다 자기 진영에 유리하게 해석하는 ‘아전인수’가 벌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당시 ‘대물’에 대해 친박계 의원들은 대놓고 서혜림이 박근혜를 닮았다는 이야기를 공공연히 꺼내놓기도 했다. 실로 닮은 구석은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생각해보면 2007년 대션 때 방영되어 당시 이명박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던 드라마 ‘영웅시대’가 준 잔상이 분명히 우리네 정치드라마에는 그림자처럼 남아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니 넷플릭스 시리즈 ‘돌풍’의 도전은 그 자체로 만만찮다고 여겨진다. 정치에 관심이 좀 있는 분들이라면 이 작품 속에 등장하는 소재들은 어딘가 현실 정치에서 너무나 익숙한 것들이다. 정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때가 되면 당적으로 옮기는 철새 정치인의 이야기나, 시대가 한참 지났어도 여전히 태극기부대를 동원해 북풍 공작을 일삼는 수구 정치인 이야기, 탄핵 정국과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벌어지는 상황이나, 들불처럼 번지는 촛불 시위 같은 사건들이 그것이다. 게다가 노벨평화상을 받은 대통령에서는 김대중 대통령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대통령의 이야기는 누구나 선명하게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만일 총선 전에 방영되기라도 했다면(아마 이건 의도적으로 피했을 것으로 보이지만) ‘돌풍’의 화제성은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더 높았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 드라마 속 내용들을 조목조목 잘라다가 제 입장에 유리한 방향으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으니 말이다. 그런 우려들을 염두에 뒀던 것일까. ‘돌풍’은 시작부터 파격적인 전개로 현실성보다는 허구성을 더 드러낸다. 대통령을 시해하는 국무총리의 이야기가 그것이다. 대통령의 경호가 그렇게 허술할 수 없다는 개연성의 허점을 감수하고라도 이런 전개를 선보인 건 이건 그저 드라마일뿐이라는 걸 강변하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그렇게 판을 열어 놓고 ‘돌풍’은 박동호(설경구)와 정수진(김희애)의 끝없는 대결구도로 드라마롤 몰아간다. 판세가 뒤집히고 또 뒤집히는 그 과정은 과거 박경수 작가의 ‘펀치’를 그대로 닮았다. 그래서 드라마는 마치 게임처럼 흘러간다. 서로 한 대씩 펀치를 날리는 게임. 흥미로운 건 서로 판세를 바꾸기 위해 쓰는 카드들이 현실 정치에서 우리가 많이 봐왔던 소재들(이를 테면 북풍이라든가)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시청자들은 ‘돌풍’이 철저히 허구로 재구성된 드라마라는 걸 인식하면서도 그걸 통해 순간순간 틈입하는 현실 정치의 요소들을 느끼게 된다.
물론 이렇게 함으로써 ‘돌풍’은 정치드라마로서의 복잡미묘한 과정들을 담아내지 못한다. 빠른 속도감으로 치고받는 이야기를 펼치게 되면서 개연성도 상당부분 허술해지고, 대사들은 마치 구호처럼 작가의 목소리를 담는다. 그래서 드라마로 보면 결코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작가가 갖고 있는 현실 정치에 대한 분노에서 비롯된 극단적인 허무주의가 던지는 메시지만은 더 선명해진다. 어느 쪽도 희망을 발견하기 어려운 정치를 모두 쓸어버리고 싶다는 간절한 욕망이 그 메시지로 등장한다.
아쉬움이 적지 않지만 적어도 현실 정치에 답답함을 느끼는 분들에게는 잠시나마 ‘돌풍’ 같은 시원함을 안겨줄 수 있는 드라마다. 물론 지나치게 현실과 연관지어 사건들을 들여다보게 되면 불편함도 생겨날 수 있다. 그러니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그 속도감과 몰입감을 즐기는 방식으로 보는 편이 낫다. 그러다 보면 끝내 작가가 절규하듯 외친 진짜 메시지를 여운처럼 느낄 수도 있을 테니 말이다. (사진:넷플릭스)
'이주의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망의 괴물화를 거쳐 신인류로... ‘스위트홈’에 담긴 K콘텐츠의 포부 (0) 2024.07.30 윤병희, 코믹 연기를 너무 잘해 존재감이 주연급인 이 배우(‘낮밤녀’) (0) 2024.07.20 설경구는 왜 대통령 시해까지 결심하게 됐을까(‘돌풍’) (0) 2024.07.07 이거 왜 눈물 나지? 아이들 목소리로 내놓은 우직한 진심 (0) 2024.06.24 문제의식 없던 정려원을 뒤흔들어 놓은 위하준, 이게 안판석표 멜로다 (0) 2024.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