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습관처럼, 분리불안처럼’ 살아가는 건 아닐까이주의 드라마 2024. 12. 9. 07:24728x90
‘트렁크’, 시스템의 관계들을 분해하자 드러난 것들
우리는 어쩌면 습관처럼, 분리불안처럼 살아가는 건 아닐까. 결혼은 사랑의 결실로 이야기하지만, 결혼 후의 삶은 과연 사랑으로 계속 채워질까. 사랑은 과연 그렇게 영원한걸까. 사랑이 아니라면 결혼 후의 관계는 무엇일까. 저마다 각자가 가진 외로움과 불안과 습관 그리고 혹은 상처들이 뒤범벅되어 그저 서로를 붙들고 있는 그런 건 아닐까.
넷플릭스 시리즈 ‘트렁크’는 이처럼 많은 질문들을 던지게 만드는 작품이다. 사랑과 관계 그리고 결혼에 대해 그 실체를 질문하는 작품인지라 클리셰적인 멜로나 로맨스 혹은 치정을 기대했지만 실망감만 가득할 작품이다. 게다가 ‘기간제 결혼’이라는 과감한 가상 설정은 이 드라마의 문턱을 높인다. 일단 이 문턱을 받아들이고 나면 그 안을 탐험하는 색다른 경험이 가능하지만, 문턱 바깥에서 설정 자체가 이해가 안간다고 여겨지면 이들의 행동이나 말들이 너무 난데없게 느껴질 수 있다.
왜 하필 ‘기간제 결혼’이라는 파격적인 가상 설정을 가져왔을까. ‘트렁크’에는 NM이라는 기간제 결혼을 매칭해주는 회사가 등장한다. 기간은 1년이고 철저한 계약서와 매뉴얼에 따라 회사에서 ‘파견’된 직원이 배우자가 되어 그 기간 동안 함께 부부처럼 살아간다. 그건 감정이 개입되지 않는 일종의 서비스이고 업무의 차원이지만, 그 일을 감정을 가진 사람이 한다는 점에서는 그 차원의 경계가 아슬아슬하다. 그래서 드라마는 한정원(공유)이 파견직 배우자로 오게 된 노인지(서현진)와 겪게되는 감정의 파고들을 따라간다.
1년이라는 기간제 결혼을 설정으로 가져온 건 거꾸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검은 머리 파뿌리될 때까지 살자’며 하는 결혼이라는 관계(혹은 제도, 시스템)를 모색하려는 실험 같은 것이라 여겨진다. 결혼 하면 무한정 죽을 때까지 살아야 한다는 결혼이 어쩌면 ‘습관처럼, 분리불안’처럼 유지되는 것일 수 있지만, 1년이라는 한정된 기간은 그 통상적인 관계에 균열을 만든다. 언제든 떠날 수 있다는 상황은 좀더 우리의 실존과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결국 우리는 혼자라는 것. 그것이 실존이지만 애써 그걸 부인하고 그래서 욕망하고 집착함으로써 때론 타인을 상처주기도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한정원도 또 노인지도 바로 그 일반적으로 사회통념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결혼 같은 관계 때문에 깊은 트라우마를 가진 인물들이다. 한정원의 아버지는 상습적으로 어머니를 폭행했고 그 때 들려온 소리에 대한 트라우마는 한정원이 이어폰을 뒤집어쓰고 음악 속으로 빠져들게 된 이유가 됐다. 그래서 이서연(정윤하)과 결혼했지만 그건 사랑이 아니라 연민에 가까웠다. 하지만 이서연은 상대를 온전히 소유하려는 욕망으로 관계를 이어가는 인물이다. 결혼했지만 한정원을 소유할 수 없다는 걸 알고는 기간제 결혼이라는 파격을 통해 그를 자극하고 그래서 온전히 소유하고픈 욕망을 드러낸다.
하지만 기간제 결혼 배우자로 들어온 노인지와 한정원이 서로의 상처를 들여다보며 ‘매뉴얼’이 아닌 마음까지 나누는 관계로 진전되자, 이서연은 오히려 한정원에 집착하기 시작한다. 한정원과 노인지의 기간제 결혼이라는 ‘가짜 결혼’과, 한정원과 이서연의 ‘진짜 결혼’이 묘한 대결구도를 만들며 긴장감을 형성한다. 그런데 결국 드라마가 보여주는 건 그 1년 간의 기간을 한정하고 매뉴얼 같은 차갑디 차가운 계약에 근거한 ‘가짜 결혼’이 더 우리의 실존에 맞닿는 관계라는 것이다.
김려령 작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는 ‘트렁크’는 그 은유와 상징이 담겨진 문학적 상황들 때문에 그저 스토리만 따라가면 공감이 쉽지 않은 작품이 된다. 대신 작품 속에 담긴 트렁크나 샹들리에, 카약 같은 오브제들이 담고 있는 은유적 상징들을 곱씹어가면 다양한 의미들을 찾아낼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거대한 샹들리에의 화려함은 한정원을 잡아먹을 것 같은 공포와 감시의 은유로 그려지고, 한정원이 깨버린 파편들을 마치 속죄라도 하듯 저도 모르게 몸으로 막아준 노인지가 흘리는 피는 이들의 진짜 관계가 외로움과 상처를 기반으로 시작될 수 있다는 걸 말해준다.
트렁크가 솟아오른 호수와 그 곳에서 노인지가 새벽부터 나가 혼자 타는 카약은 인간의 실존이 얼마나 외로운 혼자인가를 드러낸다. 물론 혼자가 아닌 두 사람이 카약을 함께 타고 행복한 시간을 갖기도 하지만 그것 역시 끝은 존재하고 결국은 혼자 덩그라니 호수 위에 섬처럼 떠 있는 것이 우리라고 이 드라마는 말하고 있다. 복잡한 심리와 우리의 관계를 뒤집어 보는 파격을 담은 작품이지만 공유와 서현진의 연기는 그 감정의 파고를 고스란히 느껴볼 수 있게 만들어준다. 한 번 볼 때와 두 번 볼 때의 느낌이 다른 작품이기도 하다. 일단 문턱을 넘어본다면 시스템의 관계를 분해해 보여주는 색다른 우리네 관계들의 풍경들을 발견할 수 있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사진:넷플릭스)
'이주의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은 외나무 다리에서’, 뻔해도 보게 만드는 로맨틱 코미디 (0) 2024.12.09 기발한 상상력, 강풀의 ‘조명가게’ 오싹한데 뭉클한 이 세계 (0) 2024.12.09 작두 탄 임지연, ‘옥씨부인전’ 심상찮다 (0) 2024.12.02 최원영, 요즘 이 아빠 땜에 미치겠다, 너무 따뜻해서(‘조립식 가족’) (0) 2024.11.25 ‘페이스 미’, 수술과 수사의 공조, 피해자 마음 다독이는 범죄스릴러 (0)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