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
‘블랙스완’, 소름은 어떻게 전율이 되었나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3. 8. 07:48
‘블랙스완’, 예술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느꼈어요. 저는 완벽했어요.” 니나(나탈리 포트만)가 무대 마지막에 이런 얘기를 건넬 때 아마도 대부분의 관객들도 똑같이 느꼈을 것이다. 그 완벽함에 대한 전율을. ‘블랙스완’. 발레를 소재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은 제목처럼 백조가 아닌 흑조를 다룬다. 그러니 발레라는 백조의 겉모습을 생각하고 극장문을 들어선 관객이라면, 그 충격적인 흑조의 모습을 발견하고는 경악을 금치 못할 지도 모른다. 휴먼드라마 같은 장르를 기대했다면, 심지어 공포에 가까운 파격적인 영상으로 주인공의 이상 심리를 포착한 이 작품을 과잉으로 여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예술의 겉면이 아니라 그 뒷면을 경험하거나 목도한 적이 있는 관객이라면 그 소름끼치게 충격적인 장면들에 두려움을 느끼..
-
이순재의 관록, 원작을 이겨내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2. 19. 09:33
'그대를 사랑합니다', 원작만큼 좋은 이유 이미 강풀 원작의 '그대를 사랑합니다'를 본 관객이라면 아마도 첫 장면에서부터 어떤 깊은 울림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할아버지 김만석(이순재)이 할머니 송씨(윤소정)를 골목길 언덕빼기에서 작은 사고(?)로 처음 만나고, 거의 습관이 된 듯 죽어 들어가는 소리로 "괜찮다"고 말하는 송씨에게 다짜고짜 만석이 "큰 소리로 말해!"하고 소리칠 때부터 마음은 뭉클해진다. '그대를 사랑합니다'는 그런 영화다. 원작이 있어 이미 스토리를 다 알고 있어도(아니 어쩌면 그렇기 때문에) 마음을 움직이는 영화. 그리고 이게 가능한 건, 거기 원작을 뛰어넘는 관록의 배우, 이순재가 있기 때문이다. 입만 열면 육두문자를 풀풀 쏟아내고, 그러면서도 마음 한 구석은 늘 따뜻해 어려움에..
-
설 연휴, 아이랑 볼만한 영화 뭐가 좋을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1. 31. 15:23
설 가족영화, 어른들의 눈높이, 아이들의 눈높이 본격적인 설 명절이 시작되면서 영화관은 벌써부터 북새통이다. 특히 이번 명절에는 어른과 아이들이 함께 볼만한 가족영화들이 대거 포진해 있어 주목을 끈다. 1천만 관객 파워를 갖고 있는 강우석 감독의 '글러브'와 이준익 감독의 '평양성', 김명민의 코믹 명연기로 주목을 끄는 '조선명탐정', 잭 블랙의 코믹 연기와 걸리버라는 소재로 주목을 끄는 '걸리버 여행기', 또 기존의 공주이미지에서 탈피한 모습으로 돌아온 월트디즈니의 애니메니션 '라푼젤'이 그 작품들이다. 먼저 가족영화에 걸맞게 이 다섯 작품은 각각의 장르적 성격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메인으로 코믹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조선명탐정'은 코믹 연기에도 명품이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는 김명민이 역시..
-
왜 '라스트 갓파더'의 영구는 공감이 가지 않을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1. 5. 09:32
'라스트 갓파더', 옛 영구가 그리운 이유 '슬랩스틱'은 말 그대로 '막대기 같은 것으로 철썩 때리는' 형태로 웃기는 코미디다. 이렇게 액면 그대로 이 문구를 해석하면 마치 이 코미디는 맥락도 없고 의미도 없이 자빠지고 두드려 맞는 가학적인 어떤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이런 식의 관점을 끌어들여 군부독재 시절에 '슬랩스틱'은 저질 코미디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기도 했다. 하지만 어디 찰리 채플린의 슬랩스틱을 보면서 그 누가 저질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한참 보다보면 그 깊은 통찰에 심지어 마음 한 구석이 짠해지는 건 '슬랩스틱'의 웃음이 그저 아동기적인 유희가 아니라, 그 밑바탕에 어떤 페이소스를 깔고 있기 때문이다. 찰리 채플린은 '모던타임즈'를 통해 산업화되어가는 사회를 통찰했고, '독재자'를 통해 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