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
'최종병기 활', 올 여름 최종병기 된 이유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8. 26. 09:07
'최종병기 활', '퀵'보다 빠르고 '7광구'보다 팽팽한 이유 이것은 활 그 자체다. 시위가 당겨진 화살이 목표물을 향해 곧장 날아가듯, '최종병기 활'은 군더더기 없이 시작에서 끝까지 정직하게 날아간다. 활의 바람 가르는 소리가 경쾌하면서도 섬뜩한 것처럼, 영화는 시종일관 그 활의 팽팽한 긴장감을 놓치지 않는다. 그래서 첫 시퀀스의 강렬함으로 잔뜩 시위가 당겨진 화살은 그 힘 그대로를 유지하며 끝까지 날아가고, 관객은 그것을 바라보다가 어느새 끝을 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 정도의 몰입과 집중력이라면 할리우드에서 내놓는 그 어떤 블록버스터와도 결코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최단기간에 3백만을 넘어 5백만을 향해 달려가는 그 흥행의 속도 또한 영화의 속도감을 그대로 빼닮았다. 막상 영화가 개봉하기 전..
-
‘고지전’은 어떻게 전쟁영화를 넘어섰나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8. 10. 15:53
'고지전', 원근법이 백미인 전쟁영화 어떻게 보는가 하는 점은 무엇을 보는가 하는 점만큼 중요하다. 멀리서 볼 것인가, 아니면 가까이서 볼 것인가. 또 어느 쪽의 시점으로 볼 것인가. 그것이 전쟁영화라면 더더욱 그렇다. 전쟁영화를 먼 거리에서 보다보면 스펙터클의 덫에 걸릴 수 있고, 너무 가까이서 바라보면 지나치게 인물들의 감정 속으로만 매몰될 수 있다. 전쟁영화는 스펙터클이 될 때 비판받을 수밖에 없고, 감정에만 매몰될 때 소소해질 위험성이 있다. 또 실제 겪었던 전쟁을 다루는 경우 어느 한쪽의 시각에 맞추다보면 다른 편의 시각이 소외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고지전'만큼 적절한 원근법을 고수하고 있는 전쟁영화는 보기 드물다. 일단 그 '애록고지'라는 영화의 공간이 그렇다. 한국전쟁의 끝 무렵..
-
'써니', 추억을 조립하는 재미 쏠쏠하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5. 20. 09:55
'써니', 당신의 추억만큼 재밌는 건 없다 익숙한 80년대 풍경. 매캐한 최루탄 냄새와 일렬로 도열해 있는 전경들. 그리고 그들과 대치해 있는 학생들. 일촉즉발의 상황. 그리고 급기야 뒤엉켜버리는 전경들과 학생들, 시민들. 그런데 엉뚱하게도 이 순간 배경음악으로 흐르는 Joy의 'Touch by touch'. 80년대를 살았던 사람치고 이 잿빛 기억의 시대를 순식간에 발랄한 추억으로 만들어놓은 이 장면에서 빵 터지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써니'가 위치한 유쾌한 지점은 바로 이 장면 속에 압축되어 있다. 어떻게 보면 유쾌하고, 어떻게 보면 도발적인 '써니'의 이 기묘한 조합은 어떻게 가능한 걸까. 광주 민주화 운동을 초반에 겪은 80년대는 시대적으로만 보면 암울한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심지어 어떤 이..
-
미디어 정치 시대, '킹스 스피치'가 시사하는 것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4. 3. 08:30
히틀러와 라디오로 한 판 붙은 말더듬이 왕, '킹스 스피치' 말더듬이가 연설을 했다. 만일 이런 스토리라면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그 말더듬이가 한 국가의 왕이라면? 흥미를 느낄만하지만 그다지 확 끌만한 매력적인 스토리라고 말하기는 그렇다. 하지만 그 말더듬이 왕이 전쟁을 맞아 라디오로 대국민 연설을 해야 한다면? 이만큼 흥미진진한 이야기는 없을 듯하다. 말이 가진 힘이 라디오라는 매체를 통해 증폭되기 때문이다. 이미 많은 히틀러를 다룬 저술들이 말해주듯이 라디오는 나치즘을 말해주는 가장 대표적인 매체다. 만일 라디오가 없었다면 히틀러의 나치즘도 없었을 것이라 말해질 정도로. 라디오는 전형적인 일방향적인 매체다. 한쪽에서만 말을 한다. 그것은 당연히 듣는 다수를 상정한다. 한쪽이 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