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
‘쌍화점’을 보기 전 버려야할 선입견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8. 12. 30. 00:25
동성애 영화? 에로 영화? 무협 영화? NO! (이 글은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쌍화점’. 제목부터 묘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 영화는 개봉 전부터 이미 화제가 되었다. 유하 감독이 하는 사극이라는 점도 그랬지만 아무래도 그 화제의 첫 번째는 조인성과 주진모가 벗었다는 것. 그것도 동성애를 연기하기 위해서다. 시사회를 통해 미리 본 관객이라면 누구나 느꼈겠지만, 그 동성애 장면은 꽤 충격적이다. 그것도 조인성과 주진모라니.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해 이 영화는 동성애 영화가 아니다. 여자를 사랑하지 못하는 왕(주진모)이 왕의 호위무사인 홍림(조인성)을 사랑하고, 그래서 둘 사이의 묘한 멜로 구도가 들어가 있지만, 이 영화가 말하는 것은 소수의 성으로서 동성애자가 갖는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작품이 아니다..
-
‘과속스캔들’, 좀 합디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8. 12. 11. 11:38
‘과속스캔들’의 겸양어법 통했다 “좀 합디다.” ‘과속스캔들’에서 남현수(차태현)는 다 커서 애까지 딸린 미혼모로 찾아온 딸 황정남(박보영)이 노래하는 걸 보고는 이렇게 말한다. 이 말의 뉘앙스는 보통의 아버지가 딸에게 하는 말과는 다르다. “잘했다”도 아니고 “아직 부족하다”도 아닌 그 중간쯤에 위치한 이 말은 이 영화가 관객들에게 던지는 화법이기도 하다. 이 영화 속에서 차태현이 연기하는 남현수는 차태현이 그런 것처럼 더 이상 아이돌 스타가 아니다. 이제는 30대 중반의 연예인으로 그럭저럭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존재. 그런 그에게 갑자기 다 큰 딸이 애까지 데리고 찾아온다. 영화는 이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이질적인 존재들이 한 집에서 살아가며 좌충우돌하는 코믹을 선보인다. 재미있는 것은 이 가족 드라..
-
‘아내가 결혼했다’, 그 3단계의 사랑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8. 10. 30. 10:07
사랑한다, 나를, 나만 혹은 나도 결혼하면 사랑은 어떻게 변할까. 혹은 결혼은 사랑을 구속할 뿐인가. ‘아내가 결혼했다’라는 이 도발적인 제목의 영화가 보여주는 것은 바로 그 결혼과 사랑의 이중주다. ‘아내가 결혼했다’는 말은 ‘결혼한 아내가 또 결혼했다’는 앞뒤가 맞지 않는 진술이 된다. 그런데 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말은 우리네 관습적, 윤리적, 법적 기준에 의한 것이다. 이것을 넘어선다면 그것은 문장으로서 말이 된다. ‘아내가 결혼했다’는 바로 그 관습적으로 말이 안 된다고 판단하는 그것을 눈앞에 보여주면서 이것도 말이 된다고 주장하는 영화다. 아내 주인아(손예진)는 그 이름에서부터 역전되어 있는 남녀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남편 노덕훈(김주혁)은 그녀를 “주인아씨”라고 부르게 된다. 따라서 영화 ..
-
꿈이 아니거나(非夢), 슬픈 꿈이거나(悲夢)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08. 10. 15. 23:54
‘비몽’, 내가 꾸는 꿈이 누군가의 현실이라면 내가 꾸는 꿈이 누군가의 현실이라면. 김기덕 감독의 ‘비몽’은 이 단순한 가정에서부터 시작한다. 진(오다기리죠)이 꾸는 꿈은 란(이나영)의 현실이 된다. 즉 진이 꾸는 꿈을 란은 몽유병 상태에서 행동에 옮기는 것이 이 영화의 단순한 구조다. 하지만 이 단순한 구조는 그 안에 살아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만나면서 복잡해진다. 진은 꿈속에서 자신을 버리고 떠난 여자를 집착적으로 찾아가고, 바로 그 순간 란은 이미 헤어져 만나는 것조차 끔찍한 남자친구를 몽유병상태에서 찾아가게 된다. 의사인지 심령술사인지 모호한 여자(장미희)는 이 두 사람을 앉혀 놓고 한 사람의 행복이 다른 사람의 불행인 당신들은 ‘한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바닥에 깔려있는 문양, 즉 하얀 색과..